View : 11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우애자-
dc.contributor.author임숙향-
dc.creator임숙향-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5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of the practice and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science learning attitude and cognitive levels. The subjects are 817 boy and girl students who attended middle school in Seoul and capital region.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704 copies. The questionnaire amended and complemented about the practice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science learning attitude and short version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SPSS Win 13.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practice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the rate of students who did not have experience of prior learning was higher than those who have. And also the rate of boys students was higher than girls students. The motive scoring highest for prior learning on science was 'for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in science learning,' while the point of time scoring highest for start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was 'just after advancement to middle school'. The place scoring highest for prior learning on science was 'private tutoring institute,' while the Internet science learning programs were popular, too. Most of the students were learning once or more a week in advance about the science taught in the 1st semester of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The cost for prior learning on science was 100 thousand Won or more in Gangnam and Bundang, but less than 100 thousand Won in Gangbuk, Ilsan and Incheon, which proves that there is a clear gap of prior science learning costs among regions. The primary reason why students were not learning science in advance was 'no concern about or interest in science,' and the majority of thes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studied science only during the period of the in-school test. Only 51.1% of them gave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Will you learn science in advance if given an opportunity?" On the other hand, 75.6% of the students learning science in advance reported that their knowledge about science had improved, which suggests that most of these students admitted the effects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However, 53% of them answered 'No' to the question "Were you more interested in the science classroom?" Such finding suggests that prior learning on science had some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interest in the science classroom. In addition, many students answered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contents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more or less, while boys seemed to understand them more than gir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prior learning on science, science learning attitudes and cognition levels, it was fund that the students who had learned science longest in advance and thus, had entered into 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had the highest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had improved their science learning performance highly at school, and had shown the most positive science learning attitudes. After all,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prior learning on science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science learning attitudes and performance at school, but that it had some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classroom. On the other hand, those students who had entered into 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had poor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than those who had entered into 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which suggests that students need to be taught about science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ir cognitive development. In view of the regions, the finding that the students living in Gangnam scored higher in their cognitive level and science learning attitudes may well suggest some gaps among regions, and therefore, multi-faceted researches and efforts are deemed required to narrow the gap. In overall terms, boys had more experiences of prior learning on science and Olympiads than girls, feeling easier for science learning, while being more interested in science.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search into the learning methods conducive to enhancement of girl students' concern about or interest in science.;오늘날 우리 사회는 과도한 주입식 사교육 문제로 인해 사회 전체가 큰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러한 사교육의 최근 큰 흐름이 바로 학교에서 가르치는 진도보다 앞서 배우는 ‘선행학습’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선행학습의 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과학 선행학습이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생의 인지수준이 과학 선행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습 환경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중학교 여섯 곳(인천, 분당, 강남, 강북(2), 일산)을 선정하여 중학교 1학년 817명을 대상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무성의 하게 응답한 113부를 제외한 704부를 유효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과학 선행학습의 실태에 관한 설문지와 과학 학습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했으며, 인지수준 검사지로는 GALT 축소본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13.0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교차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증, 분산분석,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 선행학습의 실태 조사에 따르면 선행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없는 학생이, 선행학습 경험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학습 시작 동기는 과학 성적 향상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선행학습 시작 시기로는 중학교 입학 후가, 형태로는 학원이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강의 또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선행학습 진도는 중학교 2학년 1학기 내용을, 횟수는 1주일에 1번 이상 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으며, 선행학습 비용은 지역 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과학 선행학습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과학에 대한 관심⋅흥미가 없어서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과학 선행학습을 하지 않는 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시험기간에만 과학 공부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기회가 된다면 선행학습을 하겠냐는 질문에는 51.1%만이 긍정적인 대답을 보였다. 과학 선행학습 후 과학실력 향상에 대한 질문에서는 향상되었다는 의견이 75.6%로 대다수의 학생이 선행학습의 효과를 인정하고 있었으나 과학수업에 대한 흥미도 향상에서는 53%의 학생이 부정적인 응답을 보여 과학 선행학습이 과학수업에 대한 흥미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 선행학습 수업의 이해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이해한다는 응답이 많았는데,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의 선행학습 수업이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선행학습과 과학 학습태도, 인지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선행학습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형식적 조작기의 학생들이 선행학습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고, 과학실력이 향상됐다는 응답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과학 학습태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선행학습이 과학 학습태도와 과학실력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과학수업에 대한 흥미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체적 조작기의 학생들은 형식적 조작기의 학생들보다 선행 수업의 이해도가 떨어지며 과학실력 향상에서도 낮게 나타나,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에 맞는 학습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적으로는 강남에서의 선행학습 비용과 인지수준, 과학 학습태도가 높게 나타나 지역 간 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다각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전반적으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과학 선행학습 경험 및 올림피아드 경험, 과학수업에 대한 흥미, 과학이 쉽다는 생각 등이 높게 나타나 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이나 흥미를 높여 줄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 5 A. 사교육 = 5 B. 과학 관련 태도 = 8 C.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 9 D. 선행연구 = 1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5 A. 연구대상 = 15 B. 연구절차 = 15 C. 검사도구 = 16 D. 자료 분석 방법 = 2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2 A. 과학 선행학습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 22 B. 과학 선행학습이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42 C. 학생의 인지수준이 과학 선행학습에 미치는 영향 = 58 D. 과학 선행학습, 과학 학습태도, 인지수준 간의 상관관계 = 69 Ⅴ. 결론 및 제언 = 72 A. 결론 = 72 B. 제언 = 74 참고문헌 = 76 부록 = 80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02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 선행학습이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rior Learning on Science on Science Learning Attitudes-
dc.creator.othernameLim, Suk Hyang-
dc.format.pageⅹ,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