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빈칸 채우기와 의미 오류 수정 및 전체 받아쓰기를 이용한 듣기 수업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빈칸 채우기와 의미 오류 수정 및 전체 받아쓰기를 이용한 듣기 수업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loze, Error Identification and Full Dictation on English Listening Ability :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최은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주
Abstract
우리는 영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있다. 특히,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구두 언어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영어 듣기 능력은 기본이 되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외국어로써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듣기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 교사는 적절한 듣기 상황을 제공하고 연습시켜야 하는 의무가 있다. 따라서 교사가 교실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받아쓰기 활동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받아쓰기는 교실 내에서 제한된 시간 내에 효과적인 듣기 교육을 할 수 있는 경제성을 지녔다. 또한 그 효용성에 관해서는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널리 입증이 되었다(Oller, 1971; Postovsky, 1975; Sutherland, 1967; Valette, 1977).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더욱 효율성 있는 받아쓰기의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유형을 달리한 받아쓰기를 활용하여 중학교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받아쓰기는 방법과 형태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고 그 한 형태로써 현재 중·고등학교의 다수 교과서에는 빈칸 채우기(cloze dictation)와 오류 수정(error identification)을 이용한 받아쓰기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대표적으로 이 두 유형의 받아쓰기의 방법이 과연 학습자에게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빈칸 채우기와 오류 수정을 이용한 받아쓰기를 각각 실행하고 기존에 널리 쓰이던 방식의 전체 받아쓰기를 다른 한 집단에 실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소재 K 중학교 117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달간 일주일에 두 번씩 총 8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유형의 받아쓰기 수업이 모두 끝난 세 집단 A, B, C의 사전 및 사후 듣기 능력을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오류 수정 받아쓰기 집단과 전체 받아쓰기 집단의 경우 점수가 다소 향상되었다. 그리고 받아쓰기 유형에 따른 듣기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집단의 사후 듣기 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좀더 구체적으로 결과를 분석하고자 상향식과 하향식 문항을 구분하여 살펴 보았지만,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받아쓰기의 유형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다른 유형의 받아쓰기 활동이 상위 및 하위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향식(bottom-up)과 하향식(top-down)문항을 구분한 후 분석해 보았다. 먼저, 빈칸 채우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 A의 상 · 하위 학습자의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점수의 향상은 모두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오류 수정 집단 B는 상위집단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하위집단에서는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체 받아쓰기 집단의 평균 변화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게 다소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상향식 문항과 하향식 문항을 구분하여 듣기 점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하위권 학생들이 빈칸 채우기와 오류 수정 받아쓰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상위권 학생들은 전체 받아쓰기에서 다소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학습 동기가 낮은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빈칸 채우기와 오류 수정 받아쓰기가 듣기 수업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체 받아쓰기의 경우 상위권 학습자들에게 듣기 능력의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상위권 학생들에게는 전체 받아쓰기가 듣기 수업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 수준에 따라 받아쓰기 유형이 듣기 능력 향상에 다른 효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셋째, 받아쓰기 수업을 모두 마친 후 학습자의 듣기 학습과 관련하여 태도와 흥미에 정의적인 변화가 있는지 설문지를 통해 살펴본 결과 듣기 학습의 필요성과 흥미에는 사전과 사후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 심층 개방형 설문 결과 대체적으로 하위권 학생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분 받아쓰기가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의 변화에 관한 질문에서는 사전보다 사후에 상대적으로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설문 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받아쓰기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학생들의 대다수가 매 시간마다 낯익지 않은 내용을 듣고 받아쓰기를 해야 하는 심리적인 부담감이 있었고 모르는 어휘의 철자를 쓰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서 적절한 난이도 조절과 함께 학습자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받아쓰기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우리나라의 영어 듣기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받아쓰기의 유형을 다양화하여 활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수준별 듣기 교육을 시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받아쓰기의 유형을 응용하여 활용한다면 특정 학습자 수준에 국한되지 않는 영어 듣기 교육을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현재까지 받아쓰기의 유익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행해져 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에 더해 전통적으로 널리 쓰이는 전체 받아쓰기 방법뿐 아니라 다른 유형의 받아쓰기도 듣기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여러 학자들에 의해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받아쓰기가 제안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하위권 학습자들에게 빈칸 채우기와 오류 수정 받아쓰기가 적극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위권 학습자에게도 빈칸 채우기와 오류 수정 받아쓰기가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지만 점수의 향상도는 하위권 학습자들에 비해 높지 않았다. 위와 같은 시사점을 통해 받아쓰기의 유형을 달리한 듣기 학습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The primary goal of the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English is emphasized as international relations advance and globalization continues to spread. Therefore, the aural comprehension is accepted as an important aspec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methods for developing students'listening proficiency. Particularly, the effect of the dictation as a teaching listening skill method was examined by scholars such as Oller(1972), Postovsky(1975), Sutherland(1967), and Valette(1977.)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influence of different kinds of dictation on the listening skill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explore the ways for more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ability to listen. The dictation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nd types. Currently, the types of cloze dictation and error identification which are included in most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refore, finding out whether the types of dictation are effective or not, tests on each type was conducted respectively. Full dictation was also included in the experiment which is a typical existing method. Also,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listening class was observed. For this study, 117 second year middle female students in K middle school in Kyungki-do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loze dictation group, the error identification group and the full dictation group.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month, which totaled 8 experiment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essment scores among groups; the types of dictation used did not affect the group's 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influence on the types of dictation to the high-level and low-level students in the three group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r the high-level and low-level studen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bottom-up questions on the test, the low-level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after the cloze and error identification dictation. This showed that the cloze dictation and error identification could improve the low-level students'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through effective listening class. Otherwise, the full dictation didn't br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for both the high-level and low-leve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partial dictation could be a good method for the low-level students to improve the English listening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at tried to find out a difference in the interest and attitude after the listening class according to listening studying,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interest. However, the low-level stud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in general after the listening class. In case of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 partial dictation was more effective for listening ability than the full dictation, they showed a more negative attitude after the test. From the analysis of the detailed questionnaire, numerous students expressed psychological pressure when they had to dictate what they listened to in every class and the students also had difficulty in writing the letters of words they didn't know.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duct dictation with the consideration for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the interest of students. Based on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educational field of English listening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dictation can be diversified for the improvement of English listening ability for learner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various types of dictation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the listening comprehension as well as the full dictation. Second, it was proved that cloze dictation and error identification were more effective for the low-level students than the full dictation. The cloze dictation and error identification were also effective for the high-level students, but the degree of improvement was less prominent than that of low-level students. Therefore, the cloze dictation and error identification can be positively used for the low-level students as a way of improving the listening a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e top-down test items affected the advanced-level students positively. Thu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ull dictation regarding top-down test items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listening competence of the advanced learner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different types of dictation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listening learners. However,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e limited types of dictation, so the results of this thesis cannot be generalized as all types of dictation. Therefore, when the dictation is conducted, the effort for the more effective listening instruction is needed through the various trainings with the degree of length, difficulty and type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the concrete methods of using dic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ability in English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