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동섭-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creat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67-
dc.description.abstract국내 디지털교과서는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의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정책 발표 이후 그 연구와 개발이 눈부시게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교육 당국과 산·학·연구 기관의 열띤 노력의 성과일 것이다. 디지털교과서는 offline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online 환경에서도 플랫폼과 지원시스템에 접속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실 현장에서는 디지털교과서 단말기(PC 또는 Tablet PC) 외에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전자 칠판 등의 장비와도 연동되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교과서는 학교 교육 체제에 공식적으로 도입되어 활용되는 교과서로서 아직 자리매김을 하지 못한 시험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는 다른 매체와 달리 인프라적 측면에서 플랫폼, 서버, 네트워크, 지원시스템, 전자칠판 등의 관련 장비에 대한 ‘신뢰성’은 물론 ‘보안성’이나 ‘접근성’과 같은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며,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운영상의 원할한 서비스 지원도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디지털교과서가 이와 같은 품질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디지털교과서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과 풍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매체로서 개발한다고 할지라도 미래 학교 교육에 새로운 대안으로써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신뢰성’, ‘접근성’, ‘휴대성’, ‘보안성’은 디지털교과서 및 플랫폼이 보장해야 할 중요한 품질 평가 지표라 할 수 있다. 동 지표는 개발과 시범 운영을 동시에 진행하는 어려움과 단기간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보안을 소흘히 하는 국내 여건 상 간과하기 쉬운 지표들이지만, 사용자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인식의 전환과 새로운 매체 활용에 대한 공감대의 형성이 필요한 현 시점에서는 더욱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한 어떠한 사용자도 그 매체를 사용하려 하지 않을 것이며, 학습 동기마저도 저하시키고, 학습에 무력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디지털교과서는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연구에 치중되어 있으며,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에 대한 연구는 2008년 5월 초·중등 교육 이러닝 품질 관리 가이드 라인 개발의 일환으로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도구를 개발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 외에는 여타 연구 기관이나 관련 단체 및 전문가들에 의한 연구 활동이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한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도구에서 간과한 ‘신뢰성’과 ‘보안성’의 평가 지표와 학습자 관점의 ‘접근성’과 ‘휴대성’에 대한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교육공학적 측면보다는 컴퓨터공학적 측면에서 ‘인프라’라는 평가 영역을 확대하여 품질 관리 도구를 개발하였다. 더불어 ‘교수설계 영역’, ‘학습 내용 영역’, ‘교수 학습 전략 영역’, ‘지원체계 영역’, ‘평가 영역’에 대해서도 품질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품질 관리 도구의 타당도, 중요도 검사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디지털교과서 연구원, 국립특수교육원의 디지털교과서 연구원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20개의 디지털교과서 시범 초등학교 중에서 시·군·구를 대표할 수 있는 7개 시범 초등학교의 5학년 교사들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사를 위한 프리테스트(pre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시스템에 ‘품질 관리 도구’, ‘요구 관리 도구’, ‘검정 관리 도구’ 등 세 가지의 대분류 기능을 정의하여, ‘품질 관리 도구’의 기능과 프로세스, 데이터모델 및 화면을 설계하고, RIA 기반의 Flex와 데이터 파일 표준인 XML을 사용하여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활동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품질 평가 영역과 요인, 지표 등의 관리 지침을 확장하였다. ■ 디지털교과서의 신뢰성과 접근성의 품질 향상을 지원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품질 관리 도구를 개발함에 있어서 교육공학적 측면보다는 컴퓨터공학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품질 관리 도구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품질 관리 조치 기능을 통해 피드백 처리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 품질 관리 시스템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학습 현장에 적합한 디지털교과서의 개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시스템은 시범 운영 및 개발 중에 있는 디지털교과서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개발 방향과 전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참신한 요구를 수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We have developed the tools and systems for total quality management of Digital Textbooks that can improve the public education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recognizing that the national education goes along with the quality of textbooks in public education. We have complemented the Quality Management Tools(QMT) developed by the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in May, 2008 with new evaluation indexes for the reliability and the security that were overlooked in the QMT. In additions, the indexes for the user accessibility and portability are also included. The evaluation field for the ‘Infrastructure’ is enlarged by putting more emphasis on the user-friendly interface rather than on the educational management, and new evaluation fields such as ‘Teaching-Method Plan,’ ‘Learning Contents,’ ‘Supportive Systems,’ and ‘Evaluation’ are added.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our QMT, a survey was performed on the digital textbook researchers of KERIS and KISE(Korea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nd a preliminary test was applied to the teachers who take charge of the 5th-grade students and work in seven major schools out of 20 schools that have already been using digital teaching materials. Our QMT has three major functional categories, ‘Quality Management Tools,’ ‘Demand Management Tools,’ and ‘Certification Management Tools’ whose functionalities, procedures, data models, and interfaces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RIA-based Flex and XML that is standard data file format. For reusability in future, our system is built up based on a database. We expect that our QMT can contribute to perpetual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digital teaching materials that are under development and to the demands on inventing new framework of the quality manag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방향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디지털교과서의 개념과 특성 = 6 B. 디지털교과서의 기능과 유형 = 14 C.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고려 사항 = 18 D.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방향 = 25 E.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현황 = 28 F. 서책형교과서의 품질 평가와 관리 = 38 Ⅲ.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도구 개발 연구 절차 및 방법 = 51 A. 연구 대상 = 51 B. 연구 도구 = 52 C. 연구 절차 = 54 D. 자료 분석 = 56 Ⅳ.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도구 개발 연구 결과 = 57 A. 품질 관리 도구의 평가 영역 및 요인 = 57 B. 품질 관리 도구의 내용 타당도(Validity) = 66 C. 품질 관리 도구의 중요도(Importance) = 69 D. 품질 관리 도구의 신뢰도(Reliability) = 74 Ⅴ.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시스템 개발 = 77 A.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 = 77 B.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시스템 (DTbook TQMS) 설계 = 80 C. 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시스템 (DTbook TQMS) 개발 = 84 Ⅵ. 결론 및 향후 과제 = 87 참고문헌 = 89 부록 = 92 ABSTRACT =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112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디지털교과서 품질 관리 도구 및 품질 관리 시스템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Tools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s for Digital Textbook-
dc.creator.othernameLee, Eu Gene-
dc.format.pageⅹ,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컴퓨터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