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인문계와 예술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학교적응간의 관계 비교분석

Title
인문계와 예술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학교적응간의 관계 비교분석
Other Titles
he Relationship of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 Comparision Between Arts, Academic, Vocational High Schools
Authors
이선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는 인문계와 예술계 그리고 실업계 고등학생들간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 학교 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서로 다른 세 계열의 각기 다른 특성들을 이해하고, 그 특성에 따라 세 집단의 학생들에게 좋은 학교, 좋은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부천시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예술계,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28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다변량분산분석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중다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예술계, 실업계 전체 집단에 대해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세 계열의 전체집단에 대해서는 진로성숙도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학교적응에도 용이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각 계열별로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계열별 특징에 따라 각각의 하위척도에 대한 상관관계에는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인문계, 예술계, 실업계 학생간에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세 집단간에는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 두 부분 모두 예술계, 인문계, 실업계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여 세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학교계열별로 진로성숙도가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로성숙도의 총점을 독립변인으로 학교적응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인문계, 예술계, 실업계 세 계열 모두 학교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학교적응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분석을 해 보면, 계열별로 다른 특징들을 나타내는데, 이런 현상은 진로성숙도가 학교적응에 대해 설명력을 갖지 못한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진로성숙도의 하위 변인간의 높은 공변량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결론에 비추어 볼 때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학교의 학생만을 표집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다소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늘리고, 지역을 확대하여 표집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인문계나 실업계에 비해 양적으로 적은 예술계 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연구에서는 각 집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까지 고려하여 세밀하게 변량들을 통제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이므로 발달적으로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성숙도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때, 근본이 되는 진로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career maturity in three school types which are academic, art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degree of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to identify some differences among school types and on these findings ultimately to offer some basic data for building good educational surroundings optimized to each school type. This study was done by surveying 360 male and female students of academic, art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Bucheon and total 328 copies were analysed.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0.0 program and as the method of post verification,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sing this study. First, there i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degree of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academic, art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is,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career maturity are likely to adapt to their schools more easily in three school types. However, in the low level of both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three types of school showed somewhat difference. Second, the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ree types of school in the career maturity and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That is, in both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aptation, students of art high school have the highest scores, the second and the third being academic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t the total score of career maturit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used in order to know how career maturity affect the degree of school adjustment in each type of school.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can explain meaningfully the school adaptation in all three types of school. However, set the subordinate variable of career maturit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gree of school adaptation as dependent variable, the test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all types of school. This phenomenon does not indicate that career maturity has no explanatory power about school adjustment, bu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ause of the phenomenon is high covariance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chool adaptation. As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as the followings First, a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only in Bucheon cit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subjects and region of research after this study. Second, the continual study about art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made, for the number of them is smaller than that of academic or vocational school students. Third, it seem to be necessary to control various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of each group after this study. Fourth,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one,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longitudinal study which can identify the cause and effect. Fifth, when career maturity affects school adaptation, the post study that consider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awareness should be m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