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

Title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ly Verbal Control Modes and Child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Regulation of Emotion
Authors
김경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a children's regulation of emotio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regulation of emotion and a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and childrearing behaviors. This study analyzed 295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cales of measurement used are the father's verbal control modes scale(Lee, 1993), childreaing behaviors scale (Park, 1995)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cale(Lim, 2001).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sults showed fathers were inclined to use imperative control and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with their boys more frequently than with their girls. 2. The results of correlations analysis show imperative contro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rmth-acceptance behavior, problem-focused copying & support pursuit strategy whi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venting strategy, aggressive expression strategy, and avoidance strategy.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person-oriented contr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warmth-acceptance behavior, problem-focused copying & support pursuit strategy. Person-oriented contro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Warmth-acceptance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focused copying & support pursuit strategy, and avoidance strategy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ve expression strategy.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and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venting strategy, aggressive expression strategy, and avoidance strategy. 3.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hildren's problem-focused copying & support pursuit strategy are influenced by a father's warmth acceptance behavior. Venting strategy are influenced by father's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warmth acceptance behavior,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 and position-oriented control. Aggressive expression strategy are influenced by a father's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 and imperative control. Avoidance strategy are influenced by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and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behavior. These observations suggest a positive strategy for the regulation of emotion in children is are related to positive fatherly verbal control and childrearing behavior. Children’s emotion development is negatively influenced by fatherly rejection-restriction behavior and imperative control.;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아버지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의 5개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아동 29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kins(1994)의 정의에 근거하여 Eisenberg(1993)가 사용한 아동 정서조절 방식을 바탕으로 임희수(2001)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rnstein(1971)의 이론에 근거하여 Gumperz (1973)가 제작한 8개 개방형 질문들과 국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이경희(1993)가 제작한 것을 이종헌(2000)이 수정한 질문지에서 아버지 척도만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Schaefer의 부모 양육행동 모형을 토대로 박영애(1995)가 개발한 양육행동 검사를 김문정(2003)이 수정한 척도에서 아버지 척도만을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성별에 따라 지각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양육행동,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양육행동, 아동의 정서조절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변수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양육행동, 아동의 정서조절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중 명령적 통제와 양육행동 중 거부·제재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조절 전략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아버지들은 여아보다 남아에게 명령적 언어통제와 거부적이고 제재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에서는 남아와 여아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양육행동,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명령적 통제를 사용하는 아버지일수록 거부적이고 제재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며, 인성적 통제를 사용하는 아버지일수록 온정적이고 수용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정서조절과의 상관을 보면, 아버지가 인성적 통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은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 추구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아버지가 명령적 통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공격적 표현이나 회피, 감정 발산 등 부정적 정서조절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과의 상관을 보면, 아버지가 온정적이고 수용적이라 지각하는 아동일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 추구 전략을 사용하고, 허용적이고 방임적이라 지각할수록 감정 발산과 회피 전략을 사용하며, 아버지가 거부적이고 제재적인 행동을 보일수록 아동은 감정 발산, 공격적 표현, 회피 등의 부정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중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 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온정·수용 행동이었으며, 감정 발산에는 거부·제재 행동, 온정·수용 행동, 허용·방임 행동, 지위적 언어통제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적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거부·제재 행동, 허용·방임 행동, 명령적 언어통제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거부·제재 행동, 허용·방임 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가 온정적이고 수용적일수록 아동이 긍정적이고 기능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고 아버지가 명령적이고 거부적이며 제재적일수록 아동은 부정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버지의 보다 합리적인 언어통제와 긍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긍정적이고 기능적인 정서조절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아동의 정서조절이 아버지의 바람직한 언어통제유형과 양육행동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아동이 긍정적인 정서 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아동에 대한 아버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긍정적 아버지상을 정립하기 위한 아버지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