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 of "Integrated Activity Program"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숙
Abstract
통합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장애학생이 정상화된 환경에서 필요한 기술을 배울 뿐만 아니라 일반학생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면서 독립적이고 가치 있는 삶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미 초등특수교육에서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교육의 당위성이 입증되면서 사회적 통합을 위한 결정적인 요인으로서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 개선,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특수교육대상학생 6명과 함께 요리부를 계발활동으로 신청한 일반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특수교육 대상학생 6명과 일반학생 15명이었고, 비교집단에게는 상호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영화감상을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대상들은 장애를 가진 가족이 없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통합활동 프로그램으로 선택한 요리활동은 초등학생의 발달수준에 적절하고 특수학급교육과정의 주제와 연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종류로 선정하여 총 10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통합요리활동 프로그램의 목적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자연스럽고 즐거운 활동을 통하여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타인을 위한 배려와 나눔, 바람직한 의사소통방법, 갈등해결방법과 같은 중요한 요소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활동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한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Siperstein & Gottieb, 1997)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수용성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17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질문지(Voeltz, 198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의 대상학생은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한 달에 2번, 2주·4주 수요일 계발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총 10회기의 통합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집단에서는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사전검사에 이어 통합활동 프로그램인 ‘요리활동 프로그램’(10회)을 시행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에는 사전검사를 하고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영화감상활동 프로그램’(10회)을 동일한 계발활동 시간에 시행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활동 프로그램(요리)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영화감상프로그램에 참여한 비교집단 학생들에 비해 활동 선호도에 대한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통합활동 프로그램(요리)이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둘째, 통합활동 프로그램(요리)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영화감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교집단 학생들에 비해 수용성 태도에 대한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통합활동 프로그램(요리)이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성 태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적극적 상호작용이 일어난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수동적 상호작용이 일어난 통합활동 프로그램보다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특수교육 장면에서의 통합활동 프로그램에서 적극적 상호작용을 촉진해주는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수동적 상호작용만 일어나는 물리적·시간적 통합프로그램에 비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임을 밝혀주고 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특수교육 장면에서 적극적 상호작용을 촉진해주는 유형의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보다 활발하게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주고 있다.;The objective of inclusion is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ll be able to develop necessary social skills,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live meaningful and independent lives. I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it has already been proven that inclusion is essential. Many studies show that for effective inclusion, the behavior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t change and they also need to have active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tegrated activity program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ty non-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ix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Y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mong the six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e was legally blind, two had emotional disorders, two had mental retardation, and one had a learning dis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consisted of fifteen children. Ten different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program throughout one semester. The Acceptance Scale developed by Voeltz (1980, 1982)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developed by Siperstein (1982)were used in this stud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integrated cooking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watching movies. These designed experiments consisted of a pre-test, an intervention program (integrated activity program), and a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 the program of integrated activity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non-disabled students' behavioral prefer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