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공간 디자이너를 위한 공간 디자인 마케팅에 관한 연구

Title
공간 디자이너를 위한 공간 디자인 마케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ace Design Marketing for Space Designer
Authors
전진화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21C is the design age. Functionality became a rightful value due to the elevation in the income level and the needs of the consumers and as the consumers, rather than the manufacturers, gained the leadership within the markets, the social interests and influences rose for the value and role of design for it to settle as a very significant factor of competitive power. In accordance, the marketing activities utilizing design and designers have become immediate and design marketing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have been actively enforced until now. Although it isn't as though, there had not been the argument for design marketing within the field of space design, it is true that its importance had not been greatly recognized and the arguments were focused on the flagship stores of mainly brands for the research of space design marketing to have been insufficient. The present situation is that current terms or concepts have not yet been clearly established and the publications in relation to the topic are also insufficient.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publications are consistent merely with successful instances of unique exteriors, to be in the designer's perspective who has to produce space, it is a very difficult situation to establish a logical system. Therefore, the present thesis is a research on understanding the new paradigm of the field on space design and finding what method of marketing concept will be applied and used to space design, which has different distinct qualities in comparison to the other fields of design. The research purpose is settled as contributing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concept thesis of space design marketing that is possible for practical usage within the space designer's standpoint. Within the present research, the logical background in relation to space and marketing were depicted previously to discussing the marketing of space design.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space and the changes in value of the space in accordance to the changes in time were closely examined and after inquiring into the role of space at the viewpoint of design marketing, the roles and relationships amongst the subjects for space communication were defined. Thereafter, with the start of early store architectures, the instances of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malls were closely inspected for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space with the application of marketing concepts. Next, after examining the definition related to space design marketing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 the concept of space design marketing was redefined and by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space design that differentiate with other fields of design as well as the necessity and expectancy effects, the research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marketing was held. The differences between design marketing and space design marketing were examined and after predicating in relation to the strategies of space design marketing according to the 4P strategies, the types of space design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to the marketing standpoints. Lastly, a Frame-Work was established on through what method the space design marketing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project operations of the space designers. This was predicated and viewed within the standpoint of the space design process and by using the space design marketing, the cases that have found the spatial solutions were classified in types of space to be analyzed within the surface of processes. It does not signify for all projects to follow the various phases of processes presented within the present research. Rather, it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when flexibly using the processes that are selectively combined of adequate processes for each case of the projects. Moreover, the present thesis places its significance in presenting the new methodology at the present time when it is imminent in designing that is close to imitation repetitively and habitually without the reinterpretation of the designer, themselves, by force of habit and standardization. Although it is definite that space design is a task that depends on the creativity and the intuitions of the designer, through the process of space design marketing, it is anticipated for the designers to construct the scientific considerations and systems of logical methods and to provide the logic of persuasion to the consume;소비자의 소득 수준과 니즈의 향상으로 기능성은 당연한 가치가 되었고, 시장에서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가 주도권을 쥐게 되면서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와 영향력이 높아져 디자인의 가치와 역할은 매우 중요한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디자인 및 디자이너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이 절실해졌으며, 그동안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디자인 마케팅이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 디자인 마케팅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지 않았고 주로 브랜드 위주의 플래그쉽 스토어(flagship store)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공간 디자인 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미비했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 용어나 개념조차도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며 관련 서적 또한 미비하다. 또한 서적의 내용도 독특한 외관으로 성공한 사례들로만 일관하고 있어 공간을 연출해야하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 디자인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타 디자인 분야와 다른 특성을 가진 공간 디자인에 어떤 방식으로 마케팅 개념을 적용하여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연구이다. 공간 디자이너 입장에서 실무에 활용 가능한 공간 디자인 마케팅의 개념 정립과 이론 토대의 확립에 기여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디자인 마케팅을 논의하기에 앞서 공간과 마케팅 관련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다. 공간의 현대적 의미와 시대 변화에 따른 공간의 가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 공간의 역할을 규명해본 후, 공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주체간의 관계와 그 역할을 정의하였다. 그 후 마케팅 개념이 적용된 공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위해 초기 상점 건축을 시작으로 백화점, 쇼핑몰 등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음은 선행 연구를 통해 공간 디자인 마케팅 관련 정의에 관해 살펴본 후 공간 디자인 마케팅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필요성과 기대효과, 그리고 타 디자인분야와 구별되는 공간 디자인의 특성을 통해 공간 디자인 마케팅의 특징에 관해 연구해보았다. 디자인 마케팅과 공간 디자인 마케팅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4P전략에 따른 공간 디자인 마케팅 전략에 관해 서술한 후, 마케팅 관점에 따라 공간 디자인 유형을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질적으로 공간 디자이너가 프로젝트를 진행함이 있어 공간 디자인 마케팅을 어떤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Frame-Work을 설정하였다. 이를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측면에서 서술하여 보고, 공간 디자인 마케팅을 활용하여 공간적 해법을 찾은 사례를 공간 유형별로 분류하여 프로세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러 단계의 프로세스를 모든 프로젝트가 따라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의 사안별로 적합한 절차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탄력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획일화 되어있고 타성에 젖어 디자이너 스스로의 재해석 없이 습관적, 반복적으로 모방에 가까운 디자인을 하는데 급급한 현재에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논문의 의의를 둔다. 공간 디자인이 디자이너의 창조력과 직관에 의존하는 작업임에 분명하지만, 공간 디자인 마케팅 프로세스를 통해 디자이너는 과학적 사고와 논리적 방법체계를 구축하고 고객에게 설득의 논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