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오유진-
dc.creator오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07-
dc.description.abstractBy dramatic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demand for to enter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have also increased. Writing is in great demand because it directly relates to academic performance at undergraduate schools and graduate schools, and yet writing has not been emphasiz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find it difficult to adapt formal academic writing in Korean graduate schools, which could make their studies very difficul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1) introduce a genre-based mode of instruction as a better method for teaching academic writing and (2) analyze results from this method as used in writing cours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pedagogic goal of a genre-based instruction is to allow learners to focus on social contexts so that they can perform quality writing within the discourse community. Because academic writing should observe the conventions within the discourse community, a genre-based instruction is a suitable method for teaching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Observing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genre-based instruction was practiced on Chinese students, which make up the most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five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method based on language, content and organiz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s of writing ability. Also,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nge of perception on writing and genre awareness. Four out of the five participants have considerably high test results. There were few improvements in content but they exhibited good results in organization and literacy. After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post-test writing, changes in each factor were revealed. Based on the post-test results,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good organization by adequately arranging their words; their contents also developed consistently. In terms of the language, they used the appropriate suffix '-da' and it was notable that the usage of Chinese expression and words related with research increased, while frequency in using colloquial words decreased. Also, the participants tried to express the core sentences in introducing themselves by using related languages, although they did not internalize markers that were supposed to be related to the core sentences. Genre awareness increased and the perception of a genre-based instruction as a teaching method proved to be positive, although the perception of writing was not favorable. The study revealed that before implementing a genre-based method of instruction, the perception on writing was negative and this attitude did not changed after. However, the high demand for academic writing classes was confirmed and that the confidence of the participants in writing increased. Before practicing a genre-based instruction, there was no awareness of the course paper genre. This, however, changed as the participant mentioned the course paper genre afterwards during the interviews. Furthermore, the positive evaluation results prove that the participants appreciated the value of a genre-based instruction as a method for teaching academic writing. Although this method of studies was also suggested in several studies, until now there are no extensive studie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a genre-based method of instruc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is method using qualitative analysis. Moreover, this study confirmed a learner’s writing capacity through writing outcomes, surveys and interviews. This study hopes to offer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an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 for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현재 한국어 학습자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그 중 쓰기의 경우 대학(원)에서의 학업 수행에 필요한 기능 중 평가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 학습자의 요구가 크지만 한국어 정규 교육 과정에서 다른 기능과 다르게 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대학(원)에 진학한 학습자들은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학습한 쓰기 장르보다 격식성이 강하며 내용면에서 어려운 학술적 쓰기에 적응하지 못하여 학업 수행에 차질을 빚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런 현실에서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교육에 적합한 교수법으로 장르 중심 교수법(Genre-based Instruction)을 소개하고 보고서 쓰기 수업에 적용해 변화한 쓰기 결과물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장르 중심 교수법은 장르가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에 주목하여 해당 담화 공동체(discourse community) 내에서 수용되는 글쓰기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 교육 목표이다. 학술적 글쓰기의 특징이 학문 공동체 내의 일정한 규약에 따라 글을 써야 하는 것임을 상기하면 장르 중심 교수법은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 알맞은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으로 현재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유학생인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르 중심 교수가 이루어졌다. 한국어 교육기관 5․6급에 재학 중인 학문 목적 학습자 5명에게 보고서 장르에 관한 장르 중심 교수를 실시하고 사전․사후 시험의 답안을 내용, 구성 및 언어의 측면에서 질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의 교수 후 쓰기 능력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쓰기 인식과 장르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참여자 5명 중 4명의 사후 답안에서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 중 내용 점수는 상승이 거의 없었으며 구성 점수와 언어 중 문체의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르 분석 결과, 사후 시험 답안의 구성 측면에서는 보고서 서론의 내용 요소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서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내용 측면에서는 제시된 연구 정보를 이용해 일관성을 유지하며 전개하였다. 언어 측면에서는 보고서에 알맞은 종결 어미 ‘-다’를 사용하였으며 한자어와 연구 관련 어휘의 사용이 증가하고 구어의 사용이 감소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내용 요소 관련 표지를 완전히 내재화하지는 못하였지만 관련 어휘를 사용해 내용 요소를 나타내려는 모습이 보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쓰기에 관한 인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보고서 장르 인식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보이며 장르 중심 교수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 전 쓰기가 어렵고 재미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런 생각은 수업 후에도 변함없었다. 그러나 학문 목적 쓰기 수업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보고서 쓰기에 대해 수업 전보다는 자신감이 생겼음을 드러냈다. 보고서 장르 인식은 수업 전 거의 없었으나 수업 후 면담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자연스러운 보고서 구성에 대한 언급을 통해 보고서 장르 인식이 내재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장르 중심 교수에도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뤄 앞으로 학문 목적 쓰기 교육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할만한 교수법으로 가치가 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동안 여러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에서 장르 중심 교수법을 제안하였으나 직접 수업으로 효과를 살핀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보고서 쓰기 수업에 장르 중심 교수법을 직접 적용하여 그 효과를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답안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나타난 교수 효과와 특징을 알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 개발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3 C. 논문의 구성 =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4 A.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 4 B. 장르 중심 교수법 (Genre-Based Instruction) = 10 1. 장르(Genre) = 10 2. 교수학습 모형 = 15 3. 보고서 장르의 특징 = 20 C. 선행연구 = 25 1. 장르 분석 연구 = 25 2. 장르 중심 교수 연구 = 28 D. 연구문제 = 32 Ⅲ. 연구 방법 = 33 A. 연구 설계 = 33 B. 교수 학습 = 33 1. 연구 참여자 = 33 2. 연구 도구 = 34 가. 교재 개발 = 34 나. 설문지 = 37 다. 면담 = 38 3. 교수학습 과정 = 40 C. 평가 = 42 1. 평가 문항 개발 = 42 2. 채점 기준 = 4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7 A. 연구 참여자의 쓰기 능력 변화 = 47 1. 채점자 신뢰도 = 47 2. 연구 참여자 사전.사후 시험 점수 = 47 B. 쓰기 결과물 장르 분석 = 49 1. 모국어 화자 글 분석 = 49 가. 구성 분석 = 49 나. 내용 분석 = 54 다. 언어 분석 = 56 2. 한국어 학습자20) 글 분석 = 60 가. 구성 분석 = 60 나. 내용 분석 = 68 다. 언어 분석 = 70 C. 쓰기와 장르에 관한 인식 변화 = 74 Ⅴ. 결론 = 84 A. 연구 결과와 의의 = 84 B.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 86 참고문헌 = 88 부록 = 93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67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중국인 대학 예비교육과정 학습자 대상 장르 중심 교수법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a Genre-based Instruction on Chinese KAP Learners' Writing in Korean-
dc.creator.othernameOh, Yu Jin-
dc.format.pageⅸ,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