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은경-
dc.contributor.author이주현-
dc.creator이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15-
dc.description.abstract상악동저를 증강하는 일은 비교적 안전한 술식이나, 상악동 측벽에 골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맥이 손상될 경우 심각한 출혈이 보고되기도 한다. 따라서 술 중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악동의 혈관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상악동 측벽에 존재하는 후상치조동맥과 하안와동맥의 문합혈관의 빈도와 분포를 컴퓨터 단층촬영 (CT scans) 상에서 조사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2002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속 목동병원 치과에서 측벽접근법을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술을 시행한 환자 중 상악동 컴퓨터 단층촬영이 행해진 177명 환자에서 284개의 상악동을 조사하였다. 여자 환자는 68명 (109개 상악동), 남자 환자는 109명 (175개 상악동) 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5.9세 (33세&#8211;78세) 였다. 컴퓨터 단층촬영 축주위상(para-axial images)에서 디지털 캘리퍼스(digital caliper)를 이용하여 골내가지의 골성관(bony canal)의 높이 (치조정에서 골성관 하연까지 거리), 잔존치조골의 높이 (치조정에서 상악동저까지 거리) 및 상악동저로부터의 골성관 높이 (골성관 높이와 잔존치조골 높이의 차)를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위치에서 측정하였다. 상악동 측벽 내에서 canal의 수평적 위치를 상악동을 향한 부분골내형, 완전골내형, 치주막을 향한 부분골내형의 3가지로 분류하여 빈도를 조사하였다. 치아 위치에 따른 골성관 높이, 잔존치조골 높이, 상악동저로부터의 골성관 높이와 연령에 따른 골성관 높이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성별, 완전/부분무치악, 좌/우측에 따른 canal 높이는 t-test 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전체 상악동 컴퓨터 단층촬영 중 32%에서 상악동맥 골내가지의 골성관이 관찰되었다. 2.치조정으로부터 수직적인 평균 골성관 높이는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에서 각각 23.45(±2.81)mm, 15.92(±2.65)mm, 16.61(±2.92)mm로 나타났다. 3.상악동 측벽 내에서 골성관의 수평적 위치는 완전 골내형이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4.측정된 골성관의 높이는 15-17mm인 경우가 가장 빈도가 높았고 (33.7%), 13mm 이하인 경우는 전체의 12.0% 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골성관의 위치는 상악동 골이식술 시 적절한 측벽 형성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방사선적 연구라는 한계 때문에 골성관이 32% 에서만 관찰되었으므로, 골성관이 관찰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출혈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며,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The knowledge of blood supply to the sinus is important to prevent vascular complication in sinus surgery.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the prevalence of intraosseous loop (anastomosis between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and infraorbital artery) in Koreans which could be detected on computed tomographic(CT) images taken prior to sinus augmentation surgery.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8, 284 CT scans from the 177 patients who underwent sinus augmentation with lateral approach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Implant Dentistry were evaluated. Of 177 patients and 284 sinus CT scans, 68 (109 scans) were women and 109 (175 scans) were men, age ranged from 33 to 78 years (mean 55.9 years). The canal height (CH), ridge height (RH) and canal height from the sinus floor (CHS) were measured on para-axial views using a digital caliper at the 1st premolar, the 1st molar, the 2nd molar each.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bony canals in lateral wall were also evaluated and classifi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estim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canal heights in each tooth region, and in groups of different ages, genders, edentulous/partial edentulous and right/left (p<0.05). 1.The intraosseous loops were detected in 92 CT scans (32%). 2.The mean vertical heights of bony canals from the alveolar crest(CH) were 23.45(±2.81)mm, 15.92(±2.65)mm, and 16.61(±2.92)mm at the 2nd premolar, the 1st molar and the 2nd molar each. 3.In the horizontal positions of bony canals, intraosseous type was most predominant. 4.The canal heights more than 15mm and less than 17mm were most prevalent (33.7%) and those under 13mm were 12.0%. The radiographic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cide the lateral osteotomy line avoiding potential vascular complication. However, only one third of the canals could be detected in CT scans, a precaution should be taken for the possibility of severe bleeding during lateral osteotom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 1 Ⅱ. MATERIALS AND METHODS = 3 Ⅲ. RESULTS = 6 Ⅳ. DISCUSSION = 10 Ⅴ. CONCLUSION = 13 REFERENCES = 14 국문초록 = 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7887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A Radiographic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Maxillary Intraosseous Vascular Canal in Koreans-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한국인에서 상악동맥의 골내분지 분포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dc.creator.othernameLee, Juhyon-
dc.format.pageⅸ, 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