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학습자의 선개념에 기초한 교육과정 재구성

Title
학습자의 선개념에 기초한 교육과정 재구성
Other Titles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students' preconception : Focusing on application of the cognitive conflict process model to electricity uni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uthors
최소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최근 사회적 변화 및 학교교육 개혁에 따라 교사에게 새로운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은 교사에게 가장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실정에 맞게,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떤 것인지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 주지 못 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지식과 사고 체계에 바탕을 두고 초등학교 4학년 전기 단원을 재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선개념을 토대로 한 교육과정 개발 및 수업 전략의 구체적인 절차 및 재구성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 개발 및 수업 전략을 구안하는 데 있어서 학습자의 선개념을 토대로 하는 것이 교과 내용과 학습자의 사고를 보다 의미있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과학과 전기 단원에서 다루어지는 과학적 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4학년 과학과 전기 단원에서 다루어지는 과학적 개념과 관련된 학습자의 선개념은 무엇인가? 셋째, 학습자의 선개념을 토대로 한 초등학교 4학년 과학과 전기 단원의 교육과정 재구성안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내용을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P. F. Hunkins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사용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의 선개념 탐구, 주제 및 목표 설정, 내용 선정 및 조직, 경험 선정 및 조직, 교육과정 시행,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과정 재구성안의 일곱 단계로 재구조화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 초등학교 4학년의 과학과 전기 단원은 국민공통교육과정 기간 동안 전기에 대한 최초의 학습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다루어지는 과학적 개념은'전지, 전선, 전구, 전기회로, 전지의 직렬연결, 전지의 병렬 연결, 전류, 도체, 부도체, 전원 장치, 적절한 전원의 사용, 전기 기구의 올바른 사용법'이라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선개념 탐구 결과 학생들은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건전지에서 빛이나 물질이 흘러나오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전선의 수가 많아지면 전구에 불이 켜지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회로 소자와 관련해서는 건전지 없이 스위치만 연결해도 전구에 불이 켜질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전구의 꼭지, 꼭지쇠에 전선이 연결되어야 전구에 불이 켜진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매우 적었다. 도체, 부도체와 관련해서는 전기가 통하는 물질과 통하지 않는 물질이 따로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물질이 전기가 통하는 것인지는 정확히 알지 못 하였다. 전지의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에서 전구의 밝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이는 전구의 밝기가 전지의 개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 생활에서 전지 및 전구의 직렬·병렬 연결을 적용한 사례에 대해서는 거의 아는 바가 없었지만 전기 기구의 올바른 사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잘 알고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주제 및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및 학습 경험을 선정·조직하였다. 학습 경험은 총 8차시로 구체화시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는데 이 때 사용한 교수 학습 모형은 개념수업 절차 모형으로'학습자의 선개념 확인하기, 인지갈등 유발하기, 과학적 개념 도입하기, 과학적 개념의 적용 및 일반화하기'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적절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성북구에 소재한 D초등학교 3학년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교육과정 재구성 초안을 적용하였으며 한 차시 수업은 80분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사후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 결과 각각의 개념을 1점 만점으로 했을 때 자유전자, 닫힌 회로, 부도체, 전구의 병렬 연결의 특징에 대한 개념은 평균 0.4점~0.5점의 향상을 보였다. 정전기, 회로 소자, 전류, 전지의 직렬 연결에 대한 개념은 평균 0.6점~0.7점의 향상을 보였으며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이 높아진다는 개념은 0.9점의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전구의 직렬 연결과 전구의 병렬 연결에 대한 개념은 수업 전과 수업 후의 향상 점수가 0으로 나타나 가장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다. 교육과정 재구성 초안을 실행하면서 나타난 문제점과 사전·사후 학업성취도 평가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고 차시별 활동 내용을 수정하여 교육과정 재구성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선개념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교사, 학생 모두가 이해해야 할 대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 학습 전략을 구안하는 데 있어 개념수업 절차 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학습자의 개념 변화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의 선개념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현장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을 신장시키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 내용과 학습자의 사고 체계를 의미있게 연결시켜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현장 교사가 교육과정을 재해석하고, 설계하고, 적극적으로 재구성한 시도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의 대상을 초등학교 과학과 4학년 전기 단원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과학과 이외의 다른 교과나 과학과의 다른 영역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과학 시간이 아닌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수업을 했기 때문에 수업 효과성에 대한 평가 결과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과학과 이외의 교과에서도 학습자의 선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습자의 사고 체계를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도 아울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Founded on the knowledge and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this study will reorganize the electricity unit for elementary 4th grade class with the objective of proposing detailed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class strategies and curriculum reorganization. Through this,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that curriculum development and class strategies developed with a basis on students' preconceptions is an effective plan to connect the student's thinking process with curriculum content. This study utilized the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s proposed by P.F. Hunkins to conduct curriculum reorganization, which were configured into a seven step process of Need Assessment: curriculum analysis, Investigation of students’ preconceptions, Set themes and objectives, Curriculum development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based on students' preconceptions,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selection and organization based on students’ preconceptions, Curriculum Implementation, Evaluation results, Curriculum reorganization plan. The detailed curriculum experience were all defined through a 8 lesson instructor-student curriculum and a Cognitive Conflict Process Model was applied to organize four steps of ‘Confirming students' preconception, Eliciting cognitive conflict, Integrating scientific concepts, Applying and generalizing scientific concepts’ . In order to verify the suitability and efficacy of the propo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propose curriculum was applied to 35 third grade schools at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buk-Gu, Seoul. Each class was conducted for 80 minutes and a pretest and posttest for academic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gree of change in students. The problems which surfaced upon conducting the propo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organized to propose a modified curriculum development proposa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econceptions are which must be understood by both instructor and all students in order for effective instruction to take place. Second, when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Process Model is effective in the conceptual change in students. Third, the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preconceptions of students will serve as one method which improves the capabilities of onsite instructors for curriculum process reorganization. This study is most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method for connecting the curriculum with the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we reanalyzed, designed and reorganized a curriculum process through onsite participation. However, as the research was limited to within scie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 students, a limitation of the research is that there will be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proposed curriculum in subjects other than science. Based on this study, additional research must be conducted on subjects besides science in which the students' preconception is investigated to connect back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addition, consideration must also be given on how to integrate the thinking processes of students dur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