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종-
dc.contributor.author김태이-
dc.creator김태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34-
dc.description.abstract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mulative resorption of implants placed in the severely atrophic mandible following autogenous bone graft including both block and pariculated that was harvested from the ramus and ilium and to analyze the radiologic bone resorption in the marginal bone. Patient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patients who had bone grafts for augmentation followed by implant installation in mandible area from 2003 to 2008. Twelve patients (6 men, 6 women) who received 34 implants in augmented sites were evaluated. Cumulative radiologic resorption around implants were measured immediately,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after the surgery. Results: The results as follows 1.Installed implant in grafted bone was showed 0.83mm marginal bone resorption in early 3month, 50% of total cumulative resorption during 1year. 2.Mean marginal bone resorption around implant installed in grafted bone was 0.3mm from 3month to 6month and 0.6mm until 1 year, afterward it was stabilized. Implant survival rate was 97% (fai1ed implant was 1/34). 3.Marginal bone resorption of installed implant in autogenous onlay graft bone showed 0.98mm early 3month,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ticulated bone graft resorbed 0.74mm(p<0.05) 4.Autogenous onlay graft harvested from ramus showed higher resorption than Ilium,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p>0.05). Conclusions Within the limit of this study, autogenous graft including block type and particulated type is a predictable procedures for use of dental implant in the severely atrophic mandible. Implant placement in augmented area presents relatively high survival and radiologic evaluation were revealed minimal bone loss.;심하게 위축된 하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한 자가골 이식술은 환자에게 매우 유용한 예지성 있는 술식으로 인정받아 오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구치부에 자가골을 이용한 골이식을 한 후 식립된 임플란트 주위의 골변화를 방사선 사진을 통해 측정함으로써 재생된 이식골(regenerated grafted bone)에 식립된 임플란트 변연골의 흡수량과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이화여대 의과대학 목동병원 치과진료부 임플란트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하악 구치부에 자가골 골 이식을 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식립 직후와 보철 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포함 하는 추적 조사된 방사선 사진 평가가 가능한 환자 12명, 16부위, 34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부에 식립된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은 Myriad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립직후, 식립 3개월, 6개월, 1년후의 자가 이식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 전체의 누적 흡수량과 기간별 흡수량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공여부에 따라 하악지와 장골을 분류하여 비교하고 입자 형태에 따라 블록형과 입자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자가골 공여부와 자가골 형태의 두 요인이고, 종속변수는 3개월, 6개월, 12개월의 흡수량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이식골에 식립한 임플란트는 변연골의 흡수가 초기 3개월에 0.84mm, 1년누적 흡수량의 50%를 보였다. 2.3개월후부터는 골흡수양이 감소되면서 안정화되었으며 임플란트 생존률은 34개중 1개가 실패하여 97%였다. 3.자가골편이식술한 이식골에 식립된 임플란트 식립후의 초기 3개월 변연골 흡수량이 분쇄골 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05). 4.자가골편이식술 중 하악골 ramus로부터 채취한 경우 장골에서 채취한 것보다 흡수량이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 4 A. 연구 대상 = 4 B. 연구 방법 = 9 III. 연구 결과 = 10 IV. 고 찰 = 12 V. 결론 = 18 References = 19 Abstract(영문) = 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37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심하게 흡수된 하악 구치부에서 자가골 이식술 후 식립된 임플란트 변연골의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umulative Resorption of Marginal Bone Around Implants After Autogenous Bone Grafts in Severely Atrophic Mandible-
dc.creator.othernameKim, Tae Yi-
dc.format.pageⅶ, 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