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영순-
dc.contributor.author오수미-
dc.creator오수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소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09년 5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과 1개 투석전문병원에서 1개월 이상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소양증을 경험한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대상자 특성으로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생리적 지표와 함께 소양증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피부건조 사정도구는 Frantz와 Kinney(1986)가 개발한 피부건조 사정도구를 Hardy(1990)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 9.1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Fisher`s exact test,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특성 대상자는 여성이 53%, 남성이 47%로 평균 연령은 58.5세이었으며, 혈액투 석 원인질환은 당뇨병이 35%로 가장 많았다. 투석시간은 5년 미만이 49%, 5년 이상이 51%를 차지하였고, 피부유형은 건성이 65%의 분포를 보였다. 피부건강상태는 ‘보통이다’ 45%, ‘나쁜 편이다’ 31%였으며, 소양증 경험에 있어 ‘혈액투석을 시작하면서 소양증이 발생하였다’는 응답이 84%로 높았다. 대상자의 투석막(Dialyzer) 사용 비율은 비슷하였고, 천자부위 소독제로는 알코올과 베타딘 사용이 47%를 차지하였다. 또한 85%이상이 투석시 헤파린과 조혈제를 사용하였으며, 피부건조 상태(발적, 피부비듬, 인설, 균열)의 평균 점수는 9.25±12.02였다. 생리적 지표에 있어 비정상 범위군의 비율은 Hb(Hemoglobin) 78%, Hct (Hematocrit) 80%, P(Phosphate) 68%, Cr(Creatininer) 52%, K(Potassium) 53%, PTH(Parathyroid Hormone) 57.6% 영역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2. 대상자의 소양증 관련 특성 대상자의 소양증 정도는 ‘가려워서 긁어야 한다’ 48%, 부위는 ‘등’이 60%, 빈도는 ‘가끔 가렵다’ 51%를 차지하였다. 소양증 발생은 투석 후와 깨어있을 때가 60% 이상이었고 계절과의 관련성은 41%가 계절과 관련이 있고 겨울에 더 심하다고 응답하였다. 소양증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약물치료의 경험이 있는 72%의 환자 중 약물치료 효과에 긍정적인 경우가 56%를 차지하였으며 소양증으로 인한 ‘불편감이 있다’는 경우가 60%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양증으로 인한 불편감은 스트레스 35%, 수면장애 23% 순이었다.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소양증 정도, 빈도, 발생시간의 차이 대상자 특성에 따른 소양증 정도, 빈도, 발생시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 적 특성에 있어 연령에 따른 소양증 정도(F=3.723, p=.014)와 빈도(F=3.396, p=.021)에 차이를 보였고, 발생시간에 있어서도 혈액투석 원인 질환(χ2=29.007, p=.001)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질병관련 특성에 있어 소양증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빈도는 피부건조 상태(F=4.733, p=.011)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리적 지표에 있어 소양증 정도는 BUN(Blood urea nitrogen)(t=2.128, p=.037), Cr(t=3.246, p=.002)에서, 소양증 빈도는 Cr (t=3.404, p=.001)과 K(t=2.092, p=.039)에서, 소양증 발생시간은 Cr(t=10.691, p=.005)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연령, 원인질환, 피부건조 상태, 이상소견을 가진 생리적 지표 등이 혈액투석환자의 소양증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간호현장에서는 소양증으로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병력 청취와 상담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사정할 수 있는 간호접근과 함께 다양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본다.;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factors influenced on prutitus of hemodialysis patients as a deductive research study. This research targeted 100 hemodialysis patients who experienced prutitus over one month in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a hemodialysis clinic. The period data collection started from May 13 and ended in May 19 in 2009. This research gathered the data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cale of skin dryness. The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AS program using chi-square test, t-test, one way ANOVA, Fisher's exact test, and scheffe tes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case of gender, female who experienced prutitus while taking hemodialysis care was 53%, male who had the same experience was 47% of total. The average age resulted in 58.5. The main disease caused hemodialysis care was mainly diabetes mellitus at 35% of total. When it comes to the period taken hemodialysis care, less than 5 years consisted of 49%, over 5 years was 51%. For the types of skin, dry type made up of 65% and for skin condition, patients who answered that it is generally good was 45% and patients who said that it is pretty bad was 31%. 84% pati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have prutitus before. The rates of dialyzer use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patients under analysis. Alcohol and betadine was generally used as disinfectans for hemodialysis at 47%. Over 85% patients used Heparin and hematopoietics and the score of skin dryness was 9.25+12.02 in average. In the case of the biological index, the abnormal group showd the tendency of the increase Hemoglobin, Hematocrit, Phosphate, Creatinine, Potassium, PTH(Parathyroid Hormone). 2. 48% of patients answered that they scratched where they felt itching and 51% of patients said that the site occurred the symptoms was their back site and for the time when they experienced prutitus, over 60% of patients responded that it was after hemodialysis and when they are awake. 41% of total said that their symptoms were related with seasons and the symptoms were worse in winter. Besides, among 72% patients who had the medication treatment, 56% patients of them answered their symptoms were improved by medications. Otherwise, Among patients who said that they had problem in their daily routines, 60% patients complained stress as well as insomnia. 3.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between degree(level), frequency and time of prutitis which was felt by pait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gree and frequency of prutitus had differences in the age and time when patients felt prutiti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al diseases. Frequency of prutiitus for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diseases had a meaningful difference in skin dryness level. In the biological index, degree of prutitus had a great difference in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level and frequency of prutitus showed a difference in Creatinine and Potassium results and time that patients felt itching had a difference in Creatinine level. Through research results represented above, the factors influenced on prutitus of hemodialysis patients was verified and it i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interview and observe patients experienced prutitus carefully and continuously in the level of nursing assessment and to develop specific nursing plans and interventions in clinical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문헌고찰 = 4 A. 소양증 = 4 B. 혈액투석환자의 소양증 = 6 C. 소양증 요인 = 9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설계 = 17 B. 연구대상 = 17 C. 연구도구 = 18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19 E. 자료분석방법 = 20 F. 윤리적 고려 = 20 G. 연구의 제한점 =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2 A. 대상자 특성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생리적 지표) = 22 B. 대상자의 소양증 관련 특성 = 30 C. 대상자 특성에 따른 소양증 정도, 빈도, 발생시간의 차이 = 36 Ⅴ. 결론 및 제언 = 44 A. 결론 = 44 B. 제언 = 47 참고문헌 = 48 부록<설문지> = 56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53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혈액투석환자의 소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factors affecting prutitus of hemodialysis patients-
dc.creator.othernameOu, Su-Mi-
dc.format.pageⅵ,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