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creator이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4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differences in ability of children (age nine to ten) and adults to identify distances to randomly flashing seven target lights from three different postures i.e., constrained seated posture, unconstrained seated posture, and unconstrained standing posture. The ultimate goal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postures on the accuracy of target distance estimation abilit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and fifteen right-handed children (aged nine to ten) and eighteen right-handed adult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is experiment. At first, a researcher orally asked participants if they were able to estimate the distance to seven randomly flashing light target locations. Then, the baseline distance was measured for each participants, based on how far one can reach with their arm stretched at each posture.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mark the distance of each flashing light from the baseline on the sheet which the researcher had provided. Each participants estimated the distance of seven different flashing lights at each of three postures, therefore totalling in twenty-one trials. A plank was built on the desk to show target flashing lights, and each light was located 1.5 centimeter away from each other. The baseline distance was marked and designated as “N4”and three lights located away from but closer the baseline distance to the subject were marked as “N1”, “N2” and “N3”, respectively whereas lights that were farther from the baseline distance and the subject were marked as “N5”, “N6” and “N7” respectively.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 1. Children (age nine to ten) who were deemed th be still in the process of perceptual development had much higher error rate than adults. In other words, children are more likely to make and have more risk of errors while executing physical activities such as grasping objects or reaching the target. 2. Children had much less accuracy than adults in detecting the target distance. 3. Target distance estimation error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target location. Both adults and children made more errors when target distance from baseline distance got farther or closer. In total, the results suggested that postures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s on target distance estimation ability. However, the result were interpreted to support the previous findings that children were more prone to accidents due to their underdeveloped perception.;본 연구는 각기 다른 세 가지 자세 즉, 속박된 앉은 자세, 무 속박 앉은 자세 그리고 무 속박 서 있는 자세에서 무작위로 제시되는 7개의 목표점불빛과의 거리를 판단하는 지각능력이 아동(9~10)과 성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자세가 목표물위치판단의 정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오른손잡이 아동(9~10) 자원자 15명과 오른손잡이 성인 18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기 다른 세 가지 자세에서 무작위로 제시되는 7개의 목표점불빛과의 거리를 닿을 수 있는가의 물음에 대한 언어적인 반응을 하게 하였으며, 피험자가 각 자세에서의 실제 팔을 뻗어 닿을 수 있는 기준거리(baseline distance)를 정하고, 무작위로 제시한 7개의 불빛마다 기준거리에서 얼마만큼 모자라는지 아니면 얼마만큼 더 갈 수 있는지 연구자가 제작한 시트지에 그리도록 하였다. 한 명의 피험자는 각기 다른 세 가지 자세에서 7개의 목표점불빛을 1회씩 총 21회를 실시하였다. 책상위에 설치된 목표점제시 불빛 판은 가로×세로(15cm×10cm)로 각각의 목표점 불빛의 간격은 1.5cm 거리차이를 두었으며, 실제 최대로 팔을 뻗은 기준거리를 “N4”라고 지정하였고, 나머지 기준거리로부터 아래로 위치한 불빛은 "N1~N3"로, 위로 위치한 불빛은 "N5~N7"으로 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9~10)과 성인이 오차비율에 변화에서 지각이 덜 발달된 아동이 현저하게 오차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물체를 잡거나 목표한 위치까지 도달하는 운동수행에 있어서, 성인 보다 아동(9~10)이 실수를 하거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뜻으로 해석 될 수 있다. 둘째, 집단별 조건별 목표물위치 정확성 판단하는데, 절대오차 값이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즉, 기준거리로부터 오차거리를 판단 시에 아동(9~10)이 성인에 비해 정확성 낮은 것으로 추론되었다. 셋째, 집단별 조건별 목표물위치별의 거리 판단의 정확성 결과에서 목표물 위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즉, 모든 집단 내에서 목표점 불빛에 따라 거리를 판단하는 절대오차의 변화에서 차이를 보였다. 성인과 아동 모두 기준거리를 중심으로 목표점이 더 가깝거나 더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거리판단의 오차는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각기 다른 세 가지 자세에서 목표물위치정확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집단 간의 이 결과는 아동의 지각판단의 정확성이 떨어져, 아동의 사고 발생 위험률을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지지해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가설 = 6 D. 용어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10 A. 뻗기와 잡기 = 10 B. 잡기 = 11 C. 뻗기 동작의 구성요소 = 12 D. 뻗기 동작의 정확성 결정요인 = 12 E. 생태학적 관점 = 17 F. 지각 = 18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대상 = 21 B. 실험과제 및 기자재 = 22 C. 실험절차 = 26 D. 실험설계 및 분석 = 29 Ⅳ. 연구결과 = 31 A. 집단별·조건별 거리 판단 오차비율의 분석 결과 = 31 B. 집단별·조건별 거리판단 절대오차 분석 결과 = 34 C. 집단별·조건별·목표물위치별 거리판단의 절대오차 분석 결과 = 37 Ⅴ. 논의 및 결론 = 41 참고문헌 = 45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16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세가 목표물위치판단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ostural Constraints on the Accuracy of Target Distance Estimation-
dc.creator.othernameLee, Ji Hye-
dc.format.pageⅵ,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