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왕정원-
dc.creator왕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인 결과지식(knowledge of results: KR)의 제공 시기에 따른 연속과제의 학습효과를 실험적으로 구명하는데 있다. 제공시기에 대한 변인인 과제 시행 후 결과지식이 주어질 때까지의 시간 간격인 결과지식 지연간격(KR delay interval)과 결과지식 후 다음 시행까지의 시간 간격인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post-KR delay interval)을 실험적으로 조작하여 회전판 추적과제수행을 통해 연습단계에서의 분당 표적접촉시간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와 파지단계에서의 목표점에 적중하는 시간을 분석함으로써 수행의 변화과정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비연속적 과제의 경우에는 짧은 시간(약 500msec이하)에 탄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작시행 시 학습자가 스스로 탐지할 수 있는 내재적 피드백이 빈약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길게 기억될 수 없기 때문에 결과지식 지연간격의 장단에 따라 학습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반면 이와는 대조적으로 연속적 과제의 특성상 동작수행과 동시에 끊임없이 내재적 피드백을 받기 때문에 동작 수행 후 자기오류 판단의 기준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주어지는 결과지식과의 비교가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에 결과지식 지연간격에 따른 학습효과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된다(김기웅, 1992). 이와 같은 이유로 연속과제를 선정하여 실험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실험과제에 대하여 사전정보와 경험이 전혀 없는 여자 대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학부생과 대학원생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과제 시행 5초 후에 결과 지식을 제공하고 결과 지식 제공 5초 후에 과제 시행하는 집단1(5-5), 과제 시행 5초 후에 결과 지식을 제공하고 결과지식 제공 10초 후에 과제 시행하는 집단2(5-10), 과제 시행 10초 후에 결과 지식을 제공하고 결과지식 제공 5초 후에 과제 시행하는 집단3(10-5), 과제 시행 10초 후에 결과 지식을 제공하고 결과지식 제공 10초 후에 과제 시행하는 집단4(10-10)로 나누어 15명씩 네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 과제는 눈-손 협응력(eye-hand coordination)을 통한 연속동작 측정 과제로 기자재는 회전판 추적기(pursuit rotor)를 사용하였다. 이 과제는 분당 회전 속도(RPM)에 따른 표적접촉시간(time on target: TOT)을 측정하는 것이다. 모든 피험자는 50RPM으로 30초 간 회전판 추적을 하는 동일한 실험조건으로 행해졌으며 10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총 5분단의 50회를 수행하였고, 24시간 후에 결과지식의 제시 없이 10회 1분단의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결과지식 지연간격(2) X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2) X 분단(5)반복측정에 요인 설계이며, 분석은 그에 상응하는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을 실시하였다. 파지검사에서의 수행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결과지식 지연간격(2) 과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2)에 따른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습득단계에서의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결과지식 지연간격의 주 효과와 결과지식 지연간격과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분단 주 효과는 결과지식 지연간격 5초,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 10초인 집단 B에서 가장 유의하게 나타났다. 파지단계에서는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의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결과지식 지연간격과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의 상호작용과 결과지식 지연간격의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에 따른 학습효과는 시간적 지연이 있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은 수행 후 학습자에게 오류 수정과 차기 계획을 수립하는 시간을 마련해 주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 제공은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a learning effect of serial tasks that is given in accordance with a released time of knowledge of results(KR), a supplementary feedback. The task also is to prove a changing process of learning by comparing two results; one is taken from TOT(time on target) of RPM(revolution per minute) at the learning stage by using pursuit rotor, the other one is taken from targeting time at the holding stage. This was carried out by two ways; such as (1)'KR delay interval' which means 'time interval' measured from the given task to get a KR, variable to a released point, and (2)'post-KR delay interval' which means 'time interval' measured from the time of KR to next operation. I put two(1, 2) factors together and compared them respectively to get a optimized conclusion by using 'experimental manipulation'. Main purpose of my research is that this kind of method is the best way to prove a changing process of learning. For this given task of experiment, I made a test to 60 persons who never experienced this task before, and are majoring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of dance department in E Women's universit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f the four different group. For group(A), KR was given in 5 second, and they got it all done in 5 seconds(5-5). For group(B), KR was given in 5 second, they got it all done in 10 seconds(5-10). For group(C), KR was given in 10 seconds, they got it all done in 5 seconds(10-5). For group(D), KR was given in 10 seconds, they got it all done in 10 seconds(10-10). Each group consists of 15 members, respectively. The given task was to measure a serial actions by using pursuit of rotor as a tool. This task was to count TOT(Time on target) at the RPM stage. Every subjects carried it out in same condition: they responded for 30 seconds in RPM 50 during the time on pursuit rotor. 10 times-trials of 1 minute interval was carried out. Totally 50 times in 5 minutes. And 24 hours later, retention test of 10 times of 1 minute was given. A experiment plan was carried out by the method "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that is triangle relation among KR delay interval(2), post-KR delay interval(2), small unit(5). These three factors interwoven must be multiplied repetitiously. To analyse a learning effect of retention test, the method 'Two-way ANOVA' was applied that was taken along with KR interval(2) multiply by post-KR interval. As a result, main effect of post-KR interval at the learning stage is statistically considered, whereas interaction result between 'main effect of KR Interval' and that of 'KR Interval vs post KR Interval relation' was relatively considered less. But main effect of inter-small units was found most clearly in Unit D that respond in 10 seconds of both KR interval and post KR interval. At the retention stage, main effect of post-KR interval was shown statistically important, whereas interaction result between 'main effect of KR interval' and that of 'KR Interval-post KR Interval relation' was relatively less considered. In conclusion, a learning effect in accordance with KR interval & post-KR interval is more effective when they remains in delay than that is on time. Especially since post-KR delay interval provides some more time to correct errors and to set a next plan, appropriate length of time is at least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가설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습 = 6 1. 학습의 개념 = 6 2. 학습의 영향요인 = 8 1) 연습 = 8 2) 피드백 = 10 B. 피드백 제시 시기와 운동학습 = 12 1. 결과지식의 정의와 기능 = 13 2. 결과지식 지연간격과 학습 = 14 3.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과 학습 = 17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 대상 = 19 B. 실험 과제 및 기자재 = 20 C. 실험 설계 및 절차 = 20 D. 자료 처리 및 분석 = 21 Ⅳ. 연구결과 = 22 A. 연습단계 수행 분석 결과 = 22 B. 파지단계 수행분석 결과 = 30 Ⅴ. 논의 및 결론 = 33 참고문헌 = 37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42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결과지식 지연간격과 결과지식 후 지연간격에 따른 운동학습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KR Delay and Post KR Delay Intervals on Learning Motor Task-
dc.creator.othernameWang, Jung won-
dc.format.pageⅷ,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