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미-
dc.contributor.author김유리-
dc.creator김유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가 산만한 학생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Mirroring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K초등학교 3, 4학년 중 실험참가 의사가 있는 여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 후, 이와 관련된 문헌의 수집과 정리를 통해, Mirroring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대상 아동들에게 사전검사로 FAIR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후, 2008년 9월부터 11월에 걸친 8주 동안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2회, 총 16차시의 움직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회당 50분씩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K초등학교의 무용실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완료 후 두 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검사치의 차이를 바탕으로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는지 비교하기 위해 집단 간의 차이 검증(t-test)을 통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실험, 통제)과 검사(사전, 사후)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Mirroring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irroring 움직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비 참여 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주의집중력과 더불어 주의집중력의 하위요인인 선택적 주의력, 자기 통제력, 지속적 주의력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Mirroring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는 놀이를 통한 신체표현활동을 토대로 구성된 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움직임 활동을 제공하여, 신체적 영역의 발달뿐만 아니라 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을 발달시키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본 프로그램의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Mirroring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실제 학교현장에서 활용되면 주의집중력의 향상을 요구하는 아동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nd verify the effect of Mirroring Movement Program as an effective method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power of grade schoolers in their schooling environment that is see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hort attention span. To achieve such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randomly assigning an experimental group of 8 and a control group of 8 from the 16 female students in 3rd, 4th grades from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experiment. Mirroring Movement Program has been develope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related literature after the research objects were selected. As a pre-test, FAIR concentration power test was given to the experiment object students to verify the effect Mirroring Movement Program has 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power. After the pre-test, Mirroring Movement Program was experimented to the experiment object twice per week for the total of 16 times during the 8 weeks perio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8,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Dance Room of K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after-school hours for 50 minutes per each session.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deduced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by conducting a post-test to the two groups upon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As a way of analyzing the data, a homogeneity test was given through the t-test between the two groups to compare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power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way, and a repeated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experimental, control) and the test (pre-, -post).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made by analyzing the effect Mirroring Movement Program has 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power of grade schoolers.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Mirroring Movement Program showed, in comparison to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generally a higher level of concentration power as well as a higher level of selective concentration, self control, sustained concentration, all of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concentration power, and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erefore, Mirroring Movement Program has shown to have an effect i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power of grade schoolers. It can be said that Mirroring Movement Program, that has been developed based upon the physically expressive activities through the play that creates children's motivation and interests, has big significance for the way it increases the educational effect not only in the are of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in the areas of intellectual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by providing to students unique and creative movement activiti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pel more systematic and diverse research on a 'program for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y through dance/movement lesson'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초등학교 무용교육 = 6 1.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필요성 및 특징 = 6 2.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 9 B. 주의집중력 = 17 1. 주의집중력의 정의 = 17 2.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 20 C. Mirroring = 22 1. Mirroring의 기원 = 22 2. Mirroring의 의미 = 28 3. Mirroring과 주의집중력 = 30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대상 = 32 B. 연구설계 및 절차 = 32 C. 연구도구 = 35 1. Mirroring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 = 35 2. 측정도구 = 40 D. 자료분석 = 42 Ⅳ. 연구결과 = 43 A. 연구 집단간 동질성 검사 = 43 B. 주의집중력의 전반적인 변화 = 44 C. 주의집중력 하위요인의 변화 = 46 Ⅴ. 논의 = 53 Ⅵ. 결론 = 56 참고문헌 = 58 부록 = 63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68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Mirroring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irroring Movement Program and its Effect for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Power of Grade Schoolers-
dc.creator.othernameKim, Yu Ri-
dc.format.pageⅸ,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