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윤지원-
dc.creator윤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69-
dc.description.abstract지식 기반 사회를 이끌어 가는데 창의성이 핵심적인 능력으로 강조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도 창의성은 강조되고 있다. 최근 교육과정에서는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암기하고 있느냐를 가지고 평가하던 틀에서 벗어나 학생이 가지고 있는 창의성을 얼마나 발달시키고 어떻게 발현시킬 것인가에 목표를 두고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창의성의 개념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실적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두서없이 연구 되었다. 정작 창의적 사고가 무엇인지, 창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해 어떤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교수 학습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는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충분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단지 창의성에 대한 수많은 학설 중 한 학설에 기대어 논의를 이끌거나 일반적인 창의성 개념과 구성 요인을 언급한 다음 국어과와 강제적으로 결합을 취해 일반적 창의성과 별 차이 없는 개념으로 교육되어졌다. 국어과 교육에서 창의성 논의는 이제 질적으로 향상 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국어과 창의성 관점을 규명하고 발현요인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국어과 창의성을 신장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국어과 창의성의 개념을 국어적 문제를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새롭고도 적절한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고 개인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과 사회 문화 맥락인 교사의 영역이 국어과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창의성이 발현되기 위해선 새롭고도 적절한 무언가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며, 그 과정이 어떻게 촉진 될 수 있는가이다. 새로움은 무에서 무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보편적 이해에 새로운 이해를 덧붙여 대상의 인식을 넓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것을 변형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기란 쉽지 않다. 사전 경험을 통해 쌓은 주관을 토대로 대상을 느끼고 판단하게 되면서 일상성 속에 매몰되어 구조라든가 특징이라든가 하는 면면을 올바르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러시아 형식주의자 쉬클로프스키는 일상성으로부터 비롯되는 친숙함으로 인해 쉽게 자동화 되어 받아들여지는 사물이나 현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보거나 변현 재창조하기 위해 낯설게 표현할 것을 제안했다. 낯설게 하기는 본인의 생활환경에서 익숙해진 대상과 현상을 관찰하고 의심하면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 할 수 있는 활동이고 더불어 비판적 사고력, 창의성을 신장 할 수 있다. 본고는 낯설게 하기가 가진 교육적 가치를 학습자가 구현해 내게 하기 위해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언어텍스트로 설을 선정하였고 교육적 목적에 맞게 재구조화하였다. 낯설게 하기의 원리를 설 텍스트를 통해 드러낸 것은 설의 창의성 발현의 원리가 작가의 체험과 결부되어 있고 학습 주체의 체험에 또한 적용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적인 교수 학습 상황에서 낯설게 하기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전범이 되는 설(說)텍스트를 보여주고 그 과정을 단계적인 구조로 체계화하여 건조한 원리가 아니라 학습자에게 역동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했다. 설의 낯설게 하기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방안의 구조를 학습자가 자신의 체험을 토대로 수행하면서, 자신의 체험을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해 보고 인식을 확장함으로써 자신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학습의 기제로 삼길 바란다.;As creativity has become the core competency in a knowledge based society, it has also been emphasized in the educational field. However, in a reality where the concept of creativity is not clearly described, studies on creativity have been conducted without a standard. Therefore, a sufficient discussion hasn't been made on what the teaching method and curriculum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ncerning what creative thinking is and it should be developed. These studies have been concluded on the basis of one theory among so many, or by referring to the general concept and composition of creativity, it has been integrated with the Korean department which only brought a general method of education. With the method of improving this problem,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view on the creativity of the Korean department as well as analyze the revelation factors and provide methods that will develop the creativity for the Korean department. This study has defined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the Korean department, as an ability to produce a new result by the interaction of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Also the personal recognition and emotion field and the teacher's field in the sense of social and culture, is defined as factors that affect the revelation in creativity. Here the important factor in revealing creativity is to create something new and appropriate as well as accelerating that process. Creating something new is not building something from nothing, but from something that already exists. To reveal creativity, a new understanding has been added in the general concept of building something new which is defamiliarization, a principle of literature. Defamiliarization is an act of finding a new meaning and value by observing and questioning a familiar material or situation. In this sense, defamiliarization provides a development basis for activeness and subjectivity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o materia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defamiliarization for the teachers, this study has set Seol as the language text and reformed it to meet the educational purpose. The Seol text was chosen because the creativity principle is combined with the experience of the author and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can be applied. This study does not just explain the principle of defamiliarization, but use the Seoul text as a model to show the process of the principle for the subject to apply it dynamically. I hope when the subject applies the defamiliarization principle to develop creativity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 and find this study to help him expand this thoughts and recognitions that will develop his crea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9 Ⅱ. 낯설게 하기를 활용한 창의성 교육과 국어과 교육과정 = 11 A. 국어과 교육과정과 창의성 교육 = 11 1. 창의성의 개념 = 12 2. 국어과 창의성의 개념 및 발현 요소 = 14 3. 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의 점검 = 22 B. 국어과 교육과정과 낯설게 하기 교육 = 27 1. 낯설게 하기의 개념 = 27 2. 낯설게 하기의 교육적 가치 및 교육 양상 = 30 Ⅲ. 설(說)을 중심으로 한 낯설게 하기와 창의성 교육의 현장성 = 37 A. 설(說)의 교육적 양상 = 37 1. 설(說)의 개념 및 특성 = 38 2. 교과서 수록 양상 분석 및 고찰 = 43 B. 설(說)의 낯설게 하기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 = 50 1. 설(說)의 낯설게 하기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의 원리 = 50 2. 설(說)의 낯설게 하기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의 구조 = 58 Ⅳ.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 = 61 A.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 = 61 1. 교수학습 모형 설계의 이론 = 61 2. 교수 학습 모형의 설계 = 67 B. 교수 학습 지도안 = 68 1. 단원 지도 계획 = 68 2. 차시별 수업지도안 = 71 Ⅴ. 결론 = 83 참고문헌 = 86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2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설(說)을 활용한 창의성 신장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낯설게 하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using Seol: Defamiliarization Principle-
dc.creator.othernameYoon, Ji Won-
dc.format.pageⅷ,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