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나은진-
dc.contributor.author강진경-
dc.creator강진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행 문학 교육에서 창작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그에 대한 적절한 교수․학습 방안이 부재하다는 문제의식 아래 시작되었다. 창작 교육의 중요성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한다. 문학 영역의 경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가 개별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것을 넘어 그 결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창조적 학습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창작’이 학교 교육 안으로 포함되었고, 이러한 논의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그대로 이어져 학습자를 문학 ‘생산’의 주체로 바라보게 된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와 달리 여전히 작품 감상 위주의 문학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창작 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도 문제이지만 제한된 조건과 상황 속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최근 창작 교육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그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도 이전보다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시와 소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 또 하나의 문제로 지적된다. 현행 학교 문학에서는 문학을 시, 소설, 수필, 희곡의 네 장르로 분류하여 문학의 4분법적인 구분을 따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현황과 비중을 살펴보면 시와 소설에 치우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창작 교육에 있어서도 ‘패러디 시 쓰기’, ‘소설의 시점이나 결말 바꾸어 쓰기’와 같이 시와 소설에 한정되어 있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작 교수․학습의 방안 중 하나로 ‘각색활동’을 설정하여 각색활동이 창작 교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모색하였다. 본래 각색이란 ‘서사시나 소설 따위의 문학 작품을 희곡이나 시나리오로 고쳐 쓰는 일’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각색의 대상을 ‘소설을 희곡으로 바꾸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친숙한 문학 갈래인 소설을 통해 학습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희곡에 대한 거리감을 줄이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갈래 불균형의 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각색활동이 창작 교육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각색활동의 교육적 탐색은 각색활동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 살펴보면서 구체화 될 수 있다. 이 작업을 통해 각색활동이 초등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문학에서는 직접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중학교 교과서에는 빠져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을 연계하는 중학교의 중간 과정이 빠져버린 셈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각색활동의 실제를 제시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각색활동이 희곡 교육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소설과 희곡을 동시에 교수․학습하기 위한 방안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본 연구에서의 각색활동은 희곡 교육의 입장에 국한되지 않고 소설과 희곡 모두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교육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각색활동의 교수․학습 모형은 학습자들이 소설과 희곡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시에 희곡을 창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 교수․학습모형을 검토하여 기존 모형과의 차이점을 밝히고, 각색활동 교수․학습에 반영된 학습 원리를 살펴 모형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안한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실험적 성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기반이 되는 텍스트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 실려 있는 ‘원미동 사람들’로 선정하였다. 실제 수업은 3차시로 진행되었는데 1차시는 원작이 되는 소설을 탐색하는 과정이고, 2차시는 직접 각색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3차시는 각색된 텍스트를 토대로 낭독 시연을 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 때 각색활동은 모둠별 협동 학습으로 학습자간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며, 평가도 교사 평가와 상호 평가가 함께 이루어진다. 연구의 결과는 설문지 분석과 각색 텍스트를 통해 도출하였다. 사전 설문지는 각색활동이 있기 전 실시하여 학습자의 각색에 대한 선행 지식을 파악하는 한편 넓게는 창작 교육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학습자가 실제로 작성한 각색 텍스트는 각색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적 변화를 파악하게 하고, 설문지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할 수 있다. 그 결과, 각색활동을 통해 소설과 희곡을 내면화하게 된다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났고, 각색활동이 학습자의 창작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본고에서 제시한 각색활동을 통한 창작 교수․학습 방안은 현재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며, 학습자를 문학의 능동적인 주체로 만든다. 앞으로도 문학 교육 현장에서 창작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실제성을 지닌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이 제시되어 활발한 창작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While the importance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is highlighted in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the creative writing has been absent.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was raised actively in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creative writing' was included in the school education. These discussions lead itself right into the 2007 edi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looks at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literature 'production'. However, different from the inten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literature education is still oriented around the appreciation of the literary work in actual schools. While the lack of awareness on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can be held responsible for this, the lack of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nder limited conditions and situations is another cause of this problem. Therefore, 'dramatization activity' was set as a devic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creative writing, and the application of dramatization activity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was groped. Originally, dramatization is 'an act of rewriting literary works such as epics or fictions into plays or scenarios,' but in the paper it was limited to 'changing fictions into plays.' This induces the students the motivation and the interest of education through fictions, which is the familiar branch of literature to them,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ense of distance towards plays. Moreover, not only does it resolve the problem of branch imbalance in the literature educa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dramatization activity contributes in expanding the area of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One thing to keep in mind in this research is that the dramatization activity is not only for the education of plays, but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both fictions and plays. To repeat again, dramatization activity in this research is not limited to the perspective of drama education, but intends an integrated education that unites fictions and plays altogether. To do so,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dramatization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iction and play and at the same time create a play. And the model designed based on these content was applied to actual classe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presented by analysing the results of those classes. The text that is the basis of these activities was selected as 'Wonmi-dong People' in grade 9 text book.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reative writing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is a practical alternate plan that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schools and makes the learner an active subject of literature. An active creative writing education is much hoped in the future from persistent reconsideration on creative writing in literature educational sites and practical an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방법 및 대상 = 8 Ⅱ. 교육과정과 창작교육 = 13 A. 국어과 교육과정과 창작교육 = 13 1. 제1차~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 14 2.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20 B. 각색활동의 교육적 탐색 = 24 1. 각색의 개념과 교육적 효과 = 24 2. 교과서에 나타난 각색활동의 양상 = 30 Ⅲ. 각색활동을 통한 창작 교수·학습의 방안 = 41 A. 각색활동을 통한 창작 교수·학습 모형의 구안 = 41 1. 선행 교수·학습 모형의 검토 = 42 2. 교수·학습에 반영된 학습의 원리 = 46 3. 모형 적용의 범위 및 유의점 = 48 B. 각색활동을 통한 창작 교수·학습 모형 = 50 1. 준비 단계 = 53 2. 활동 단계 = 54 3. 마무리 단계 = 55 Ⅳ.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각색활동의 실제 = 57 A. 연구 적용 = 57 1. 연구 대상 및 기간 = 57 2. ‘원미동 사람들’ 교수·학습 과정안 = 58 3. 교수·학습에의 적용 = 66 B. 연구 결과 = 71 1. 사전 설문지 분석 = 72 2. 각색활동 결과 및 분석 = 80 3. 사후 설문지 분석 = 94 Ⅴ. 결론 및 제언 = 99 참고문헌 = 103 부록 = 107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9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각색활동을 통한 창작 교수·학습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rough Dramatization Activity-
dc.creator.othernameKang, Jin Kyeong-
dc.format.pageⅹ,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