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정수-
dc.creator오정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639-
dc.description.abstract제 6차*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는4학년에서 알파벳 수준의 읽기 지도를 시작하여 6학년에서는 문장과 짧은 글 중심으로 읽기 지도를 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최근 들어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문자 언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국어 습득에서는 총체적 접근법 중심 읽기 활동에 직접적인 음철법 지도를 혼합한 통합적 읽기 지도 방한의 효과가 밝혀진 바 있고, 특히 아동의 읽기 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외국 연구들이 많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교실에서도 통합적 읽기 지도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그 동안 듣기*말하기 위주의 수업을 받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들에게는 자신의 구두 언어 학습 경험을 읽기 학습에 최대한 활용하는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Language Experience Approach)에 기초한 읽기 지도가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합적 읽기 지도 방안에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 활동을 포함시킨 새로운 읽기 지도 방법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읽기 수준에 따라 그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했다. 또한 읽기 지도 방안이 학습자의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 본 실험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우어 12주간 6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1차시 수업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동화책 함께 읽기 활동을 하였다. 2차시 수업에서 실험집단은 동화책 내용을 소재로 활용하여 학급 전제가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 절차에 따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통제 집단은 동화책에 나온 단어를 학습하였다. 3차시 수업에서는 두 집단 모두 개별적인 읽기 학습을 하였고, 4차시 수업에서는 음철법을 학습하였다. 단, 3*4차시 학습에서 실험집단은 학급 전체 이야기를 읽기 자료로 활용한 반면 통제 집단은 동화책을 읽기 자료로 활용하였다. 실험*통제집단을 각각 상*중*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 이전 *이후에 실시한 읽기 능력 평가와 읽기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t-검증,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던컨의 동질성 검증, 그리고 카이제곱 검정으로 통계 처리한 결과,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을 활용한 새로운 통합적 읽기 지도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읽기 능력에 향상을 보였는데, 두 집단의 읽기 점수 향상도를 비교해본 결과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을 활용한 통합적 읽기 지도를 받은 집단이 더 큰 향상을 보였다. 둘째,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서 중&#61600;하위집단의 읽기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중*하위 집단은 소리-절차의 관계 이해능력, 단어의 의미 이해 능력, 진위 파악 능력 그리고 단어의 의미 추측 능력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중위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단어의 의미 추측 능력에서 큰 향상을 보였다. 넷 째, 12주간 실시한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를 설문조사로 알아본 결과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을 활용한 통합적 읽기 지도가 읽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자신감을 심어주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은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교육을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통합적 읽기 지도 모형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읽기 지도 초기 단계부터 의미 있는 글을 함께 읽는 활동, 직접적인 음철법 학습, 그리고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미 알고 있는 표현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꾸며 읽기 자료로 활용하는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본 연구의 상위집단은 읽기 능력이 크게 향상되지 않으시므로 읽기 능력의 차이와 학습자의 관심, 흥미를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꾸미고 읽어볼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의 줄거리 이해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직접 꾸민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수준의 읽기 자료를 제기하여 개별적으로 읽을 기회를 많이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12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소수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을 활용한 통합적 읽기 지도 모형에 따른 수업을 장시간 동안 실시했을 경우와 통합적 읽기 지도 모형을 중*고등학교 또는 성인 학습자에게 적용했을 경우에 학습자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활동에 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통합적 읽기 지도 모형이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읽기 능력의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sixth and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state that reading instruction should begin art the fourth grade level and progress to whole-sentence and short-text reading by the sixth grade level. More recently, much concern has been displayed over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s for hig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1(first language) acquisition, the current trend in moving towards a integrated approach - that is, curriculum, which include both while language activities and direct phonics instruction. However,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language experienced approach (LEA), which emphasizes the 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oral and written language abilities, may prove to be most effective for higher elementary students, who have previously received English instruction focused on develop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EA-based integrated reading instruction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along with their attitudes towards reading. It compares the differenced of the effects based on the students' reading proficiency levels.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a specific plan to implement integrated reading instruction in English class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twelve-week study were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y first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n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 lower, intermediate, and upper levels, In the first, hou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involved in shared reading activities. During the second hour, the experimental groups created class stories about personal experiences related to the storybook read in the firth hour in accordance to LEA procedures. Meanwhile, the control groups focused on word study. the third hour had groups participate in individual reading practice and in the final fourth hour, both groups were given direct phonics instru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tructions for the two groups was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s, stories written by the students were used as reading material whereas in the control groups, ordinary storybooks were used. Pre- and post-tests, and an attitudinal survey in the twelve-week reading experience were administer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the control group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t-test, the one-way ANOVA, the two-way AVOVA, the Duncan grouping, and the chi-square, the data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p < .05) in their reading abil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on the post-tests; Second, the intermediate and lower level experimental subgrou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post-tests, with both subgroups showing higher mean scores than the same subgroups of the control groups; Third, the intermediate and the lower level experimental sub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und-letter recognition skills, word meaning recognition skills, factual knowledge recognition skills and word meaning prediction skills on the post-tests. The result also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d meaning recognition skills between the intermediate sub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s; Lastly, from the results of survey,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greater confidence in their reading ability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Firstly, integrated reading instruction which includes whole-language shared reading activities, direct phonics instruction, and activities based in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should be implemented from the beginning reading level; Secondly, in consideration of the gap among the students' reading abilities, opportunities to create individual stories about personal thoughts and experiences should also be included in integrated reading instruction. Thirdly, to improve the students' comprehension skills,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individual reading of storied written by other authors. Due to the limits of this study,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EA-based integrated reading instruction over an extended perio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whether LEA-based integrated reading instruction proves effective for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 learners, and what the effects of LEA-based integrated reading instruction are in other reading subskills which were not analyzed i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통합적 읽기 지도 3 2.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 10 3. 읽기 지도에 관한 선행연구 16 Ⅲ.연구 방법 23 1. 연구 가설 23 2. 실험 대상 및 자료 24 3. 실험 수업 절차 32 4. 연구의 제한점 4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3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읽기 능력 비교 43 2. 실험*통제 집단별 상*중*하위집단 간 읽기 능력의 향상도 비교 45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가영역별 읽기 능력 비교 48 4. 상*중*하위집단 내 실험*통제집단의 평가영역별 읽기 능력 비교 51 5. 실험*통제집단의 읽기 활동에 대한 설문 조가 결과 비교 58 6. 실험집단의 학급 전체 이야기와 개별적인 읽기 학습 과제물 분석 66 7. 초등학교 용어 교실에서 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을 활용한 통합적 읽기 지도 모형의 적용 방안 72 Ⅴ. 결론 80 참고문헌 83 부록 89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51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언어경험 중심 읽기 지도법(LEA)을 활용한 통합적 영어 읽기 지도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고학년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Oh, chung soo-
dc.format.pagex,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