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화영-
dc.contributor.author조민영-
dc.creator조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영양 불량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신속하게 선별하여 적절한 영양 치료를 하기 위해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양 검색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한 대학 병원에 입원한 20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정보조사지와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환자의 임상 정보와 영양 정보를 조사하였다. 영양 지표와 그 기준을 정하기 위해 선행되어 개발된 영양 검색 도구들을 조사하여 그 중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여 구하기 쉬운 지표를 선정하고 영양 불량을 나타내는 기준점과 병원 기준치를 참고로 하여 영양 검색 도구를 개발하였다. 영양 지표로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여 구하기 쉬운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 총 임파구 수(total lympocyte counts), 이상 체중 백분율(percent of ideal body weight, PIBW), 영양 불량과 관련된 질환을 지표로 선정하였다. 영양 상태를 4단계(양호군, 저 위험군, 중등 위험군, 고위험군)로 나누고 4가지 영양 지표 중 각 위험군의 범주에 2가지 이상 해당될 경우 각각의 위험 군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양 검색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평가 하기 위하여 Patient 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PG-SGA)를 이용하여 본 연구도구의 결과와 비교하고 교차 분석을 하여 민감도와 특이도,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 1,931명(남자 1,083명, 여자 848명)을 본 연구도구로 영양 상태를 분류한 결과 양호군 42.1%, 저 위험군 19.2%, 중등 위험군 25.8%, 고 위험군 12.9%로 나타났다. 평균 연령과 이상체중 백분율은 양호군이 불량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혈청 알부민 농도, 총 임파구 수에서는 양호군이 불량군에 비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영양 상태와 연관성이 있으며 본 영양 검색 도구의 분류가 이것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겠다. PG-SGA를 기준으로 한 본 연구도구의 민감도(sensitivity)는 66.3%이며 특이도(specificity)는 81.9%, Cohen의 Kappa 분석에 의한 일치도 값이 0.657로 substantial agreement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연구 대상자수가 1,931명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숫자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 일치도 값이 비교적 높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양 검색 도구를 개발하고 그 도구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는데 본 영양 검색 도구가 비교적 영양 상태 위험도 분류 결과를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또한 병원의 전산 시스템에 의해 환자의 혈중 알부민 농도, 총 임파구 수, 이상 체중 백분율, 영양 불량과 관련된 질환의 지표를 검색하여 선별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입원 환자들을 영양 상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PG-SGA를 환자와 영양사가 직접 시행하지 못하고 간호정보조사지와 전산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정확성이 비교적 낮고 연령에 대한 위험인자를 반영하지 못하였다.;The purpose of nutrition screening is to identify individuals who are malnourished or at risk of malnourished and who may benefit from nutrition suppor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mple, reliable and valid nutrition screening tool that could be used at hospital to identify adult patients at risk of malnutrition. To develop nutrition screening tool in this study, the existing various nutrition screening tools were examined and the common factors used widely in hospitals were identified. From these, serum 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s, precent of ideal body weight, and nutrition related disease were selected as nutritional parameters in this study. Nutritional risk statu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 severe, moderate, mild, and well. Each parameter had cut off levels according to the 4 categories of nutritional status. The nutrition screen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with patients admitted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subjects were 1,931 patients(male 1,083(56.1%), female 848(43.9%)) who were admitted to the university medical center ,excluding pediatric, maternity, and psychiatric patients. The medical and nutrition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ursing and medical records. Patients 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ment(PG-SGA) was used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utrition screen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nutrition screen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813(42.1%) of the 1,931 patients were well nourished, 371(19.2%) were mild malnourished, 498(25.8%) were moderately malnourished, and 249(12.9%) severely malnourished. The nutrition statu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precent of ideal body weight, serum albumin, and total lymphocyte counts. Crosstabulation Analysis between PG-SGA and the nutrition screen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the substantial agreement(K=0.657, P<0.001, sensitivity 66.3%, and specificity 81.9%). In conclusion, the nutrition screen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mple, quick, and reliable tool with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is promising tool to use in a hospital in Korea for identifying patients who needs nutritional c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7 A. 영양 검색도구 개발 = 7 B. 영양 검색 도구 타당도 검증 = 8 1. 연구대상 및 임상정보 = 8 2. 타당도 검증 도구 = 8 3. 자료 처리 및 통계 분석 = 9 Ⅲ. 연구 결과 = 10 A. 영양 검색 도구 개발 = 10 1.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 = 13 2. 총 임파구 수(total lymphocyte counts) = 14 3. 이상 체중 백분율(percent of ideal body weight, PIBW) = 14 4. 영양불량과 관련된 질환 = 15 B. 본 연구도구에 따른 대상자의 영양 상태 분류 = 1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6 2. 대상자의 검색 지표에 따른 분포 = 18 가. 혈청 알부민 농도 = 18 나. 총 임파구 수 = 20 다. 이상체중 백분율 = 21 라. 영양 불량과 관련된 질환 = 22 3. 대상자의 영양 상태 분류 결과 = 24 C. 타당도 검증 도구의 영양 상태 분류 = 26 1. PG-SGA의 영양 상태 분류 기준 = 26 2. PG-SGA의 영양 상태 분류에 따른 일반적 특성 = 28 3. 각 도구의 영양 상태 분류에 따른 일반적 특성 = 30 가. 각 도구의 영양 상태 분류 분포 = 30 나. 각 도구에 따른 영양 상태 양호군과 불량군의 일반적 특성 = 31 D. 영양 검색 도구 타당도 평가 = 34 1. 본 연구도구와 PG-SGA의 일치도 비교 = 34 Ⅳ. 고찰 = 36 Ⅴ. 요약 = 40 참고문헌 = 42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6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입원 환자를 위한 영양 검색 도구 개발과 타당도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Nutrition Screening Tool for Hospitalized Patient-
dc.creator.othernameCho, Min Young-
dc.format.pageⅶ,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