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혜자-
dc.contributor.author박민영-
dc.creator박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0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034-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는 고도의 지식정보화 사회로 그 정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의 순환주기는 점점 빨라져 지금 이 순간에도 수없이 생성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보편적인 지식을 전달하고 주입시키는 모더니즘적 교육방식은 21C 포스터-모더니즘 사회에 통용될 수 없다. 국가 교육도 시대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근본적인 의식 변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무한한 정보에 대처하는 능력과 창의력 및 잠재력을 갖춘 새로운 인간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현재 교육인적 자원부는 ‘교육정보화 촉진 시행계획’을 발표하고 물리적 시설 기반 확충과 그에 따른 교육내용 개발, 학교혁신을 통한 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001년부터 학교 교육현장에 ICT활용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였으며 미술교과에 있어서도 이러한 ICT활용이 10%이상 반영되도록 하는 ‘초&#10625;중등학교 ICT활용교육 운영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 교육에서는 예리한 관찰력과 폭 넓은 지식 등 심미적인 조형 능력은 물론 과학적인 사고능력까지 갖추어 미래의 고도 정보화 사회에 적응 해 나가는 인간상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ICT활용 교육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독창적인 표현력을 길러주는 중학교 ICT활용 디자인 수업은 결과적으로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조성과 개성 신장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매체는 교육 방법의 변화 뿐 아니라, 교육의 내용까지도 변화시키기 때문에 중학교 교육매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그러나 현재 중학교 미술교육에서는 무한한 창의력을 갖춘 인재 육성에 있어서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창의적인 사고와 이론적 이해의 연구가 부족하며 다양한 사고의 발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디자인 교육의 특성조차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중학교 3학년 디자인 수업에서 ICT활용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체계적인 ICT활용 디자인 수업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ICT활용 교육과 중학교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실험수업을 적용하였으며 본 실험수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S중학교 3학년 통제집단 40명, 실험집단 40명으로 총 80명이며 2008년 11월부터 12월까지 총 5주 동안 8차시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통제집단은 ICT를 활용하지 않은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은 ICT를 활용한 교수법으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ICT를 활용한 디자인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평가는 교사용 지도서의 평가 기준과 제 7차 교육과정 평가를 참고로 하여 평가기준을 마련하였고 채점은 본인과 경력 3년 이상의 현직교사 2인을 포함한 총 3인이 함께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수집 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CT를 활용한 디자인 수업을 실험 처치한 결과 개인별 학업 성취도에 있어 실험집단(M=3.87)의 경우 통제집단(M=2.84)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인별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각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업태도, 학습지, 주제연관성, 창의성, 완성도에 있어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나타내는 t값이 평균적으로 4~5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이는 ICT 활용 애니메이션 수업이 학생들의 개인별 미술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둘째, 조별 학업 성취도에 있어 실험집단(M=3.70)의 경우 통제집단(M=2.48)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별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각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활동지, 재료와 용구의 준비성, 창의성, 활용성, 주제표현의 주제 구성능력, 주제와 내용의 전달력, 표현의 화면구성능력, 독창성, 비판적 사고력, 발표의 웹 토론, 발표력, 구성력에 있어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타내는 t값의 평균이 4~5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는 ICT 활용 애니메이션 수업이 학생들의 조별 미술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미술교과 수업에서 ICT활용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미적 표현력을 신장시켜 학업성취도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부산에 위치한 S중학교 3학년 80명을 대상으로 단 기간에 걸쳐 실시 된 연구 결과이므로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반화 하기는 어렵고, 본 연구를 실시한 S중학교는 1인 1PC 시설이 갖추어져 있었으며 빔 프로젝트와 실물 화상기 등의 시설이 완비되어 있는 학교로서 각 학교의 시설구비 상황에 따라 본 연구를 적용하는데 다소 무리가 따른다. 그러나 제한적으로나마 본 연구를 통해 개인별, 조별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이 입증되었으므로 앞으로 ICT 활용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미술교과 단원의 특징과 주변 환경에 맞게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한다면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를 신장하고 다양한 학습활동을 촉진시켜 학업 성취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contemporary society is a highly advanced knowledge-information based society in which the information volume is rapidly increasing and which changes at high speed. Therefore, the goal of a nation also requires an essential change of sense to cope with such change of age and a new human character that consists of a rich information power, creation power and potential power. Reflecting this situ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released 'an Implementation Plan for Promotion of Information based Education' , which has been carried out under such goals as expansion of physical facility base, follow-up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 bringing up of manpower that meets the information based society through school innovation and etc. Since 2001, the Ministry has formed the base for improvement of ICT using teaching-learning at the school education sites. It has also proposed a guideline of operation for ICT using educ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so that such ICT using can be reflected also in art class more than 10%. Then, many of teachers recognize ICT as an important class medium currently. Especially design education is meaningful in making the students meet the highly advanced information based society in the future because it can get them scientific thinking sense as well as aesthetic formative senses including fine sense of observation, wide knowledge, rich imaginary sense and etc. Therefore, the design education taken in middle schools should play the role to get the students cooperative sense and attitude to flexibly adapt to the social requirements. ICT using design education gets the students voluntary sense and unique creative sense, so that it is expected to largely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creative power and characteristics that are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The study on this educational medium of middle schools will be an important basic research of design education. The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cutely feels that the school education shall be focused on bringing up of manpower that has rich creative sense. It, however, has neither yet made studies on creative thoughts and theoretical understanding nor correctly understood or applied the features of design education that can draw out an idea for systematical and various thoughts. I, therefore, have theoretically studied the ICT using education and middle school design education and applied experimental classes under the purpose to understand what influences the ICT using class would make onto the study achievement in the design classes of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s. The experimental classes indicate the results as follow: This experiment had been done through 8 times for total of 5 weeks since November till December of 2008 with total of 80 students from the 3rd grade of S middle school in Busan including 40 for control group and 40 for test group. The control group took their classes in conventional ways without ICT applied while the test group took their design classes in the ICT using teaching way. The evaluation to identify the effects of ICT using design class was done by total of 3 people including 2 teachers of 3-year or longer experience and me referring to 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guidelines for teachers and the 7th education process evaluation. For the metho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treated in statistical ways including data coding, data cleaning an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treatment results of ICT using design classes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1)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n individual study achievement generally show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est group (M=3.87) shows individual study achievement relative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M=2.84). In addition, each sub area show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1) also in class attitude, study materials, theme relation, creation and completion. The test group shows higher sub areas than the control group also in individual study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CT using animation class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each student's art study achievement individually. Second, the results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5) in team based study achievement generally shown between the groups. The test group (M=3.70) shows team based study achievement relative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M=2.48). In addition, each sub area show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5) also in activity materials, preparation of materials and tools, creation, application, theme organization capability for theme expression, conveying ability of theme and content, screen composition capability of expression, uniqueness, critical thinking sense, web discussion based presentation, presentation capability and composition capability. The test group shows higher sub areas than the control group also in team based study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CT using animation class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each student's team based art study achievement. In conclusion, this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ICT using design class has enhanced the learners' study motive and aesthetic expression sense, so that it has made positive influences in improvement of their study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are from the experiment that had been performed for a short period with 80 students of the 3rd grade of S middle school in Busan. It is, therefore, hard to generalize such results for every learner and apply them in general depending on each school's facility condition because the S middle school relevant to this study provides a PC to a student each completely equipped with such facilities as beam protector, scanning visual projector and etc. Even with some limitations, however, this study has proved that ICT using education is positively effective for study achievement. I, therefore, expect that ICT using education will promote the learners' creative thoughts and various study activities to improve their study achievement if ICT using class is applied to actual education sites properly for each chapter's features of art class and the ambient environment after seeking how to upgrade the ICT using education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opera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ICT활용교육의 개념 및 유형 = 4 B. 중학교 디자인 교육 = 10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의 대상 및 절차 = 24 B. 연구도구 = 2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8 A. 연구결과 = 58 B. 논의 = 77 Ⅴ. 결론 = 80 참고문헌 = 82 부록 = 85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213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3학년 디자인 수업에서 ICT활용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s of ICT Using Design Class onto Study Achievement in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Park, Min Young-
dc.format.pageix,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