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반응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초등학생의 상상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Title
반응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초등학생의 상상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using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in the Imagination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uthors
소정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현대사회에서 미술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우리는 매일 수많은 시각적 이미지를 접하며 살아가게 된다. 이와 같은 이미지 시대의 환경 속에서 다양한 시각적 현상들은 끊임없이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우리는 생활 속에서 미적안목을 기르는 것이 필요해졌다. 시대적 요구에 따라 스스로 이미지에 담겨 있는 의미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어지며 오늘날의 교육은 이전의 교육이 행해왔던 지식, 암기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개개인의 개성과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학습자 주도적인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움직임에 맞춰 미술 감상에서는 학습자를 감상의 주체로 끌어들인 반응 중심 학습이 강조되었다. 이는 작품에 대한 사실적 지식이나 분석적 해석 보다는 학습자의 반응이 중심이 되어 작품에 대한 의미를 스스로 발견해나가는 활동으로 주체적인 감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학습자의 상상력과 선지식을 발판으로 작품에 대해 반응을 구성해가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사고와 창조적 능력을 촉발시킨다. 이때 기르고자 하는 창의력엔 상상력의 증진이 바탕이 된다. 상상력 발달이 교육의 필수적 요소로 중요시 된다는 사실에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지만 상상력의 복잡하고 다차원적 특성 때문에 상상력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어려워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상상력 증진에 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여 아동의 상상력을 증진시키고자 반응중심이론에 기반 한 미술 감상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자신의 삶과 연관이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바르게 수용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며 교육의 필수적 요소인 상상력을 기르고 반응의 구체화된 표현을 통해 이미지 창조 능력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Y초등학교 4학년 3반과 4반, 2개 학급으로 각각의 학급에 반응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미술 감상프로그램과 전통적인 미술 감상수업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반응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은 9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10차시의 아이디어 구상 및 스케치, 11-13차시의 상상화 표현활동, 14차시에 결과물에 대한 감상 및 평가를 하는 단계로 진행되었다. 반면 일반 감상수업모형은 1차시에 작품 감상과 2차시의 아이디어 구상 및 스케치가 이루어졌으며 3-5차시의 상상화 표현활동, 6차시의 결과물에 대한 감상과 평가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는 수업의 주제, 내용 및 학습 자료의 면에서 반응 중심 감상모형을 적용한 수업과 동일하다. 단 반응중심 감상수업은 반응의 형성, 반응의 명료화, 반응의 심화, 반응의 내면화의 단계에 따라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을 거쳤다면 일반 감상수업은 교사의 설명과 학생들의 발표로 그 과정을 대신하였다는 점이 두 수업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상상능력 설문지와 수업 중에 제작한 작품결과물의 표현력 평가를 통해 각 반의 상상능력과 표현력을 비교, 분석하여 반응중심 미술 감상프로그램이 상상능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중심 미술 감상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상상능력이 더욱 증진되었다. 상상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인 감각이미지에 관한 상상능력, 느낌 정서이미지에 관한 상상능력, 상황이미지에 관한 상상능력, 공상이미지에 관한 상상능력, 작품이미지에 관한 상상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응중심 미술 감상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이 표현력 향상에 있어서 통제집단 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하위 영역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응중심 미술 감상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이 미술에 대한 관심도, 흥미도, 수업 후 적용능력, 수업 태도의 향상에 있어서 통제집단 보다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전반적으로 수업 만족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응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상상능력과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반응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아동들의 상상능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미술교육 현장에서 향후 감상 교육에 대한 실질적인 토대로서 의의를 가진다.;In a modern society, as the field of art expands, we experience various visual images on a daily basis. In this culture, since various visual images constantly provide us with the opportunities of impress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improve our artistic eyes in our daily lives. Therefore, the modern education must be changed from Rote Memorization and Knowledge-Centered educ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can arouse students' maximum individualities and creativities. As the movement of education occurred in art appreciation, a Response-Centered study has been emphasized. It makes it possible for learners to appreciate arts subjectively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arts by themselves. Also, it arouses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forming their own response to arts based on their imagination and knowledge. The creativity, here, is based on imagination. Although we agree to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of education, people in the real education field, do not make much effort to develop students' imagination, because of complex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 emphasis on finding the method that uses the Study of Response-Centered to le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freely to develope their own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practice is to help them to understand and interpret visual images correctly through one's life, to develop one's imagination, and to encourage one's image creating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separated fourth grade classes of '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ongdaemoon, Seoul. I applied two different art appreciation programs, one is based on the study of Response-Centered and the other is based on traditional art education. The process in the study of Response-Centered, was done in fourteen steps. From first to ninth classes, there were verbal lessons using various visual materials, and at the tenth lesson students practiced brain storming and sketches. At eleventh to thirteenth lesson, students drew imaginary pictures, and at fourteenth lesson, the appreciation of the output was taught. At the appreciation class of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method, there were sixth steps. At first lesson we let students appreciate works of art, and at the second lesson, students practiced brain storming and sketches. At third to fifth lesson, students drew imaginary pictures and at sixth lesson, the appreciation of the output was taught. The same concepts were applied to both classes; the theme, contents and coursework. However, at the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Response-Centered method, students performed five specific steps; preparation of response formation, formation of response, clearness of response deepening of response, and internalization of response, in order to appreciate works of art instead of using teachers' explanation and students' presentation as the class with the traditional method. By pre and post questionnaire of learning motivation and the expression test for the works made in a class, the learning motives and expression of each cla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expression.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were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program. Firstly, the ability of an imagination was shown better at the class using the Response-Centered method than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1) in imagination ability on sensible imagination, imagination ability on feeling and sentiment, imagination ability on situation and activity, imagination ability on fanciful imagination, and imagination ability on product imagination that are sub-segments of ability of an imagination. The experiment group was shown to have relatively better imagination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class using the Response-Centered method got better evaluations in the power of ex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1) in theme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figuration elements and fundamentals,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that are the sub-segments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group was shown to have relatively better expression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irdly, on the development of interest, application ability, and class attitude of art point of view, the result was shown that the Response-Centered method was more effective.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expressed more satisfaction on the less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data proved that the art education program using Response-Centered learning method provid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imagination and the power of expression for fourth grade students. From this research regarding better results of Response-Centered method in the power of imagination and express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by researcher would be able to be actually used as a basis for the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