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이연-
dc.creator이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05-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들어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노년층의 인구는 날로 증가하여 고령사회로의 변화는 불가피하게 되었다. 고령화 사회는 노인 문제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시켰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 주민의 노인부양을 덜어주며 노인들의 여가 생활을 지원해 사회적 격리 문제를 해결하고 정서적, 사회적 유대감을 조성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노인 종합 복지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경제활동이 없는 노인들은 노인복지관 내 취미공간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노인들 간의 친목과 유대관계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가정에서 거주하는 시간 이외에 대부분의 시간을 복지관에서 기거한다. 따라서 실 사용자인 노인들의 시ㆍ지각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보호소와 여가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흥미를 유발하고 지속적인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복지관 운영을 담당하는 사무공간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리치료실, 운동 치료실 등은 그 사용 목적에 맞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실내 내부 환경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는 색채, 조명, 음향, 마감재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독단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우리가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인간의 오감 중 시각이 80% 이상을 차지하며 시각 정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색’이라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실내 환경에서 색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노약자와 장애인의 경우 노화와 질병으로 시ㆍ지각 능력이 일반인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시각적 만족을 주는 심미적인 색채의 사용과 색채 심리, 치료에 이용되는 색채를 사용하며 강한 명도대비를 이용하여 분별력을 향상하고 시감적으로 분별력이 좋은 장파장 계열의 색채를 적용한다면 노약자와 장애인만을 위한 타운이 아닌 지역 주거민들, 여성과 청소년 모든 대상을 만족시킬 수 있는 복합복지타운이 될 것이다. 이렇듯 단지 장애자와 노약자를 위한 배려있는 색채디자인이 아니라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수많은 다양한 사람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색채의 기능을 6가지의 기능 즉, 심리기능, 심미기능, 상징기능, 식별기능, 안전기능, 소통기능으로 구분하고 기능이 강화된 실내 색채사례를 이론적 배경인 관련 전문서적과 선행 연구논문, 학회지, 세미나 자료, 전문 잡지 등의 문헌을 통해 조사, 분석하여 그 사례를 계획에 반영하고, 노약자 장애인의 시ㆍ지각 능력, 색채 심리, 치료 색채 등의 연구를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를 만족시키고 복합복지타운의 실내 색채 계획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세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21st century Korea has become an aging society and the transformation is inevitable with aging population escalating. Aging society has brought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to a social issue. As a solution to this, the role of community center for the aged has got significant in that it would provide proper activities for leisure, keep them not isolated both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aiding the society to support them. The aged, with no economic activities in most cases, spend most of their time at Center aside from staying home, interacting with other seniors or participating in a various array of leisure programs. Therefore, an adequate environment must be given so that the aged can feel comfortable both visually and psychologically while staying at the Center, being continuously interested in activities there. Additionally, effective environment should be presented to offices along with rooms for physical treatment at the Center. There are color, light, sound, and materials which form the interior environment, working not alone, rather interactively. Color bears the most importance when it comes to interior environment considering human being takes in more than 80 percent of inflowing information through eyesight and color represents the biggest part of visual information. Especially, those colors esthetically pleasing, with opposite luminosity, used for psychic treatment, or with long-wave could be applied to the aged or disabled who are visually challenged. Furthermore, colors described above would please not only the aged or disabled but also local residents paying a visit to the Center. This paper is to suggest an optimal color design at the Center for the aged or disabled along with basic foundations for the design, by referencing relevant theories, literatures, seminar materials, and professional magazines on which makes it based a couple of instances regarding interior color design. In the course of this, functions of color are broken down into psychological, esthetical, symbolic, cognitive, safe and communica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복합복지타운의 특성과 색채분석 방법의 이해 = 4 2.1. 고령화 사회와 장애인시설 = 4 2.1.1. 고령화 사회의 등장 = 4 2.1.2.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 = 7 2.1.3. 장애인 시설의 필요성 = 11 2.2. 복합복지타운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2 2.2.1. 복합화의 개념 = 12 2.2.2. 복합화의 목적 = 14 2.2.3. 복합복지타운의 기능 및 유형 = 15 2.2.4. 복합화의 필요성 = 18 2.3. 표색계에 의한 이론적 고찰 = 21 2.3.1. 색의 체계 = 21 2.3.2. 먼셀(Munsell) 표색계의 특성 = 28 2.3.3. 먼셀(Munsell)의 색채조화론 = 32 3. 공간기능이 강화된 실내색채사례 조사 및 분석 = 39 3.1. 기능색채에 의한 분류 = 39 3.1.1. 심리 기능 = 39 3.1.2. 심미 기능 = 41 3.1.3. 상징 기능 = 41 3.1.4. 식별 기능 = 42 3.1.5. 안전 기능 = 42 3.1.6. 소통 기능 = 44 3.2. 사례조사 및 색채분석 방법 = 44 3.3. 사례 분석 = 45 3.4. 소결 = 52 4. 복합복지타운 색채계획 = 54 4.1. 계획의 개요 = 54 4.2. 계획의 목표 = 55 4.3. 계획의 전개 = 56 4.4. 디자인 컨셉 = 57 4.5. 기능중심 공간별 색채계획 = 59 4.5.1. 로비 공간 = 60 4.5.2. 복도 공간 = 62 4.5.3. 식당 공간 = 64 4.5.4. 치료 공간 = 66 4.5.5. 도서관 = 68 4.5.6. 지하주차 공간 = 70 5. 결론 및 제언 = 72 참고문헌 = 74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062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색채계획을 통한 복합복지타운 공간기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enhancement of functions of welfare complex by color design-
dc.creator.othernameLee, Youn-
dc.format.pageⅸ,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