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유아 놀이행태 이론을 적용한 보육 공간 디자인 연구

Title
유아 놀이행태 이론을 적용한 보육 공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designing child-caring space based on the theory of infant play behaviors
Authors
조혜나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현대 사회는 산업 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기혼 여성의 경제 활동 증가, 가구 구조의 변화, 빈곤 계층의 증가, 가구당 평균 자녀수의 감소, 편부모 가족의 증가 등으로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통계청의 남녀간 경제활동참가율(2006년 기준)을 살펴보면 여성은 20대와 40대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각각 67.3%와 65.5%로 70%에 가까운 비율을 보이지만 30대 초반에는 53%까지 뚝 떨어진다. 이는 결혼 뒤 출산·육아 등의 문제로 직장을 떠난 여성이 많기 때문으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급락해 경력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보면 영유아 보육 시설은 경제 사회가 원활이 돌아가는데 꼭 필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는 그 수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여성이 많이 일하는 직업도 연령대별로 크게 달랐다. 2005년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20대 여성은 보건·의료(36.4%), 교육·연구(25.9%), 금융·보험(17.3%) 등 사무직·전문직 비율이 높은 반면 40대 여성은 음식서비스(35.4%), 섬유·의복(29.8%), 인쇄·가구·공예 생산직(14.0%) 등 단순생산직이나 일용직 종사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이는 30대 육아 등의 문제로 직장을 떠난 여성들이 40대에 재취업을 한다고 하여도 예전의 자신을 사회적 위치로 복귀하기 어려움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이 시기가 아이에게는 평생을 좌우하는 감성과 지능이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들은 일과 육아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하게 된다. 미국 발 금융위기에서 시작된 세계 경제위기의 여파로 한국 역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실물경기가 침체한 상황에서도 사교육비 지출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는 한국 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보여주는 예이다. 영어유치원, 영재학교, 미술놀이, 운동 등 각가지 사교육에 아이들의 조기교육이 무엇보다도 우선시 되는 상황이다. 또한 영유아 시기는 엄마와 애착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로써, 엄마와의 관계에 따라 평생을 좌우하는 성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의 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 주지 못하는 상황과 경제적 활동을 계속해야하는 상황에서의 심적 부담감이 커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은 여성들에게 직장 보육 시설을 제공하였다. 직장 보육시설의 제공으로 근로 부모는 자녀 돌보기의 부담을 줄이고, 마음 놓고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심리적인 안정과 함께 자녀 보호 및 교육의 경제적인 혜택을 얻게 되었으며, 자녀와의 관계도 향상되었고, 가사 노동량이 감소되는 이점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아는 보육시설에서 보호되고 교육받으며 엄마의 부재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고, 기업은 직장 보육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고급인력을 확보, 유지 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결근, 지각, 조퇴 등이 감소하면서 직원들의 업무 태도가 향상되어 일의 효율성을 더 높게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기업보육 공간이 육아를 감당해야하는 직업여성들에게 다양한 순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하루에 14시간 이상 어린이 집에 머무르는 아이들에게 보육 공간은 한없이 신나는 곳만은 아니다. 기본적인 교육이 끝나고 남은 시간은 부모를 기다리며 정서적 불안감을 느끼며 허비하는 시간이 되어버린다. 이 시간에 놀이를 통하여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하겠다. 유아의 일상은 주어진 환경 안에서 놀이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아가 어떠한 놀이를 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어떠한 환경을 경험하고 있는가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유아가 발달하고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하고 자유로운 공간을 제안하여 현 사회, 직장 여성들이 갖고 있는 육아 문제에 대안을 제시해 본다.;As a result of the rise in the economic activities by married women, change in family composition, expansion of poverty-stricken class, decline in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per household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family headed by lone parent in the industrialized modern society, the social responsibility for child bearing and education has never been emphasized as much as now. In 2006,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orted that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y women was only 53% for those in their early 30s whereas it stood at 67.3% and 65.6% respectively in their 20s and 40s reaching almost 70%. The sharp fall in the participation rate is a consequence of most women being forced to leave work for child birth and care after marriage. This finding implies that nursery facilities fall greatly short in Korea though they are a crucial factor for the society of high economic activity rate to operate smoothly. Furthermore, the types of job held by women greatly vary across age classes. According to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omen in their 20s were more likely to work in the areas of health and medicine (36.4%), education and research (25.9%) and finance and insurance (17.3%) while those in their 40s were involved in the elementary work such as food service (35.4%), textile and clothing (29.8%) or publication, furniture, craft production (14.0%) in 2005. This is a clear indication that when returning to work after child-care in their 40s, women have difficulty in regaining the same social position as in their 30s. As this is a period when children develop emotional sensitivity and intelligence which can affect their life for long, working women face a conflicting choice between work and duty of child-care. Even when real economy sinks down and consumption confidence falls during the worldwide economic downturn initiated by the credit crunch crisis in the US, the spending on the private education does not shrink at all. It is a good example showing how anxious Koreans are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Early age education such as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style of game or play or attendance to English nurseries and early-age elite schools accounts for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private education. Since one's infancy is when they set affection on their mother and when their characteristics a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women may feel pressurized by the fact that they cannot spare much time for children education and have to continue economic activities for living. As a solution to this kind of problems, firms have provided nursery facilities for women. Thanks to the facilities provided, working parents become freer from child caring duty and are able to focus more on their work. Along with the mental stability, they enjoy economic benefits in terms of child caring and education, improvement of relationship with their own children and decrease in the amount of household chores. Furthermore, while being cared for and educated in the facilities, children can acknowledge the absence of their mother more easily and firms can recruit and retain talented staff by providing the facilities at work and hence gain efficiency through improved work attitude of employees in the form of increased labor productivity and decline in absence, late arrival and early leaving. Though the companies' nursery facilities offer various advantages, they are not always a place of fun for the children who have to stay there more than 14 hours a day. After basic hours of learning offered, the remaining time during which children wait for their parents may be wasteful and they may become emotionally unstabilized.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ways in which children can enjoy themselves through games and plays during this time. As children's daily life is filled with various plays in the given circumstances, what kind of play a child is in is equal to what kind of environment he/she is experiencing. This study seeks for alternative solutions to problems arisen to working women as to child caring by suggesting various forms of space and places in which children can develop and grow fre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