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민경심-
dc.creator민경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0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think about curr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performance compensation, and teacher assessme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is supposed to launch in 2010 to seek ways to improve teacher evaluation for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aim, the study asks following questions: 1. How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Daejeon think about teacher evaluation? 2. How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Daejeon think abou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3. How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Daejeon think about performance compensation? 4. How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Daejeon think about teacher assessme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answer the questions, 16 leadership including principal, vice principal, junior supervisor and senior supervisor and 130 teachers were selected. They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me, based on teacher evaluation researches and guidelines for teacher evaluation.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wed both a positive and a negative response to the abolishment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and performance compens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eacher assessme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ir percentage was much the same. They answered multi-face evaluation is desirable, and for the success of the system, evaluators first should have a right sense of values and necessary consciousness in evaluation. Second, leadership team including principal, vice principal, junior supervisor and senior supervisor said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is fit for its purpose, while many teachers said it is not. In the current system, three evaluation scores are considered: local education agency (40%), principal (30%) and peer multi-face evaluation (30%). They suggested local education agency score should be decreased and peer multi-face score should be increased. Most of kindergarten teachers said peer multi-face evaluation is desirable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They added a principal serving bo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s not fit for an evaluator. Third, many respondents said current performance compensation does not well meet its purpose. In the current system, two evaluation scores are considered: kindergarten (50%) and local education agency (50%). They suggested kindergarten agency score should be increased and local education agency score should be decreased. Also they complained that they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ame standards with tha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y added they should be paid more due to relatively more classes and overwork. Fourth, respondents said teacher assessme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used to help teachers develop their professional capacity, and 3-year cycle is appropriate.;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근무성적평정제도, 교원성과상여금제도와 2010년 시행 예정인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여 공립유치원 교사평가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대전공립유치원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대전공립유치원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대한 대전공립유치원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4.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에 대한 대전공립유치원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근무성적평정제도, 교원성과상여금제도,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원감 원장·장학사·장학관 16명과 교사 131명으로 총 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교사평가제도 관련연구와 교사평가관련 지침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성적평정제도와 교원성과상여금제도를 폐지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면평가 도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면평가의 성공을 위한 선행 과제로 평가자의 의식이 성숙되어야 한다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둘째, 근무성적평정이 목적에 맞게 적절히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해 원감·원장·장학사·장학관은 긍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 현행의 지역교육청 40%, 원장 30%, 동료다면평가 30%에 대해서는 지역교육청의 반영비율은 축소하고 원장과 동료다면평가의 비율은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동료다면평가자로 유치원교사는 긍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초등교사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평가자로 초등학교 겸임 원장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 셋째, 성과급이 목적에 맞게 적절히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현행의 단위유치원 50% 지역교육청 50%의 반영비율에 대해 단위유치원의 비율은 확대하고 지역교육청의 비율은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초·중등교사와 동일한 성과급의 평가기준에 대해 유치원 특성에 적합한 평가기준 마련과 과다한 수업시수와 과중업무를 반영한 수당 지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넷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은 전문성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평가주기는 3년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근무성적평정제도 = 5 B. 교원성과상여금제도 = 16 C.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 = 23 D. 관련연구 = 29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대상 = 32 B. 연구도구 = 33 C. 연구절차 = 35 D. 자료분석 = 36 IV. 연구결과 = 37 A. 교사평가와 관련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인식 = 37 B.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인식 = 41 C.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대한 인식 = 50 D.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 58 Ⅴ. 논의 및 결론 = 61 A. 논의 = 61 B.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74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42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공립유치원 교사평가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원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cognition of Public Kinderten Teachers on Evaluation for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dc.creator.othernameMin, kyung Sim-
dc.format.pageⅵ,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