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효현-
dc.contributor.author이은희-
dc.creator이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6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suggesting content improvem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s International context in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For this, we designed the Framework of analyzing for abstracted environmental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which are corresponding to Geographic section, based on 'A Prototyp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IEEP). We applied the Framework of analyzing we designed to 「Environment」textbook and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Middle school, and extracted the environmental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which are used in 「Environment」textbook and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of Middle school and not used as well. With the result, we surveyed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incumbent teachers. The results of analyzing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ameworks of analyzing has total 14 main subjects, which are 'Ⅰ.What is Ecology? What do Ecologists Do?', 'Ⅱ.Human As An Ecological Factor', 'Ⅲ.Humans Their History of Resource Consumption', 'Ⅳ.Soil and Allied Problems', 'Ⅴ.Water and Allied Problems', 'Ⅵ.Food Production and Hunger', 'Ⅶ.Forest Resources', 'Ⅷ.Plant and Animal Resources', 'Ⅸ.Air Pollution', 'Ⅹ.Solid Waste Disposal', ' XI .Hazardous Waste', 'XII.Human Population Growth and Control', 'XIII.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and 'XIV.Identifying Issues and Preparing Research Question'.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Frameworks of analyzing, the environmental subjects which are not used in both 「Environment」 and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were 'I.A. The role of ecologists', 'Ⅷ.A. Arguments for preserving plant and animal species' and 'XIV.B. Identify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issues'. Compare to 「Environment」,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presented more frequency in an natural ecosystem used by human and environment problems which are conducted by using an ecosystem, or environmental content elements related to population. Third, applying the Framework of analyzing, we compu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nd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As a result, Geographic Section of「Social studies」section holds 69.9%, and 「Environment」section supplements the rest of 30.1%. But because of actual difficulties of complement, Geographic Section of「Social studies」which is regular and distributed course needs to preferentially absorb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is complementary in 「Environment」 section and intensify the content in a Geographic point of view . Forth, in the result of analyzing consciousness of teachers, 65.4% responded that environment content quantity is insufficient in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Also they answered that they have found difficulties for dealing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because of lack of diverse(30.1%) and substantial(18.1%), so have stressed necessity for the range expansion and depth of environmental content. Fifth, as a result of consciousness about the environmental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that are not used in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above 70% of teachers answered that 16 subjects(45.7%) out of 35 should be used. On the other hand, above 70% of teachers respond that 6 subjects(17.6%) out of total 34 need to be intensive for using the environmental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in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According to this result, present teachers' demand for intension of content is very lower than consciousness of necessity for range expans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 for environment education as international context of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 First, in the light of the result of analyzing and incumbent teachers' demand,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range of environmental content in Geographic section of 「Social Studies」. The Environmental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for preferential dealing are 'Consequences of deforestation and Why solutions are difficult', 'A comparison of human communities with naturally existing communities', 'The transport of food energy to human communities', 'Waste removal in human communities', 'Reasons for the possible continuation/increase of urban problems', 'Dimens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orld-wide political context', 'Domestic animals and the degradation of grassland for overgrazing, possible solution', and 'Types of wetlands and International importances of wetlands preserv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nd demands of incumbent teachers, it is proposed to partially need to be more intensive environmental content. On priority basis, suggested contents are 'Consequences of defores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anding human population and loss of forest land', 'Definitions and Dimens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wide sustainable development scenarios', 'Types of wetlands and their importance', 'Habitat destruction/ modification of human communities, urban decay/crime/povert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population and urban deterioration/slums, potential solutions to urban problems', and 'Human-environment interaction, Quality of life vs quality of the environment'. Third, to complement unsatisfie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 of 「Environment」which is discretionary course , 「Social studies」Geographic section should absorb the Environmental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used in 「Environment」 and extend the range. Accordingly, we suggest to add environmental subjects and content elements such as 'Importance of wildlife and reasons for wildlife losses', 'Benefits and problems of Using groundwater', 'Endangered species for commercial hunting, pollution, introduction of alien species', and 'Source reduction of wastes'. Forth, 'Geographic' section is the course which encourages executive abilities, problem-solving thoughts and making decisions through various examples about multif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condu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or human and space.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separated from learning geographic contents, but it is also accomplished through the learning geographic contents at the same time. So, it is suggested to reflect environmental content elements on the geographic contents which are described based on regions in the range expans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or application of intensive course in existing geographic section.;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지리영역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하여 국제적인 맥락에서 내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제 환경교육 프로그램(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 IEEP)의 ‘중학교 환경교육 교육과정 프로토타입’을 기초로, 지리영역에 해당되는 환경 주제 및 내용 요소만 추출하여 연구 분석틀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연구 분석틀을 우리나라 중학교 제7차 「환경」교과와 「사회」과 지리영역에 적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환경」교과와 「사회」과 지리영역에서 다루지 않는 환경 주제 및 내용 요소와 다루고 있는 환경 주제 및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교육에 대한 중학교 현직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분석틀은 ‘Ⅰ.생태학이란 무엇인가, 생태학자들은 무엇을 하는가’, ‘Ⅱ.생태학적 요소로서의 인간’, ‘Ⅲ.인간의 자원 소비 발달사’, ‘Ⅳ.토양과 그 관련 문제’, ‘Ⅴ.물과 그 관련 문제’, ‘Ⅵ.식량 생산과 기아’, ‘Ⅶ.삼림 자원’, ‘Ⅷ.동식물 자원’, ‘Ⅸ.대기 오염’, ‘Ⅹ.고형 폐기물 처리’, ‘XI.유해 폐기물’, ‘XII.인구 성장 및 조절’, ‘XIII.환경 문제 해법’, ‘XIV.이슈 확인 및 연구 문제 준비’라는 총 14개의 대주제로 구성하였다. 둘째, 연구 분석틀을 적용한 결과, 「환경」과 「사회」지리영역에서 모두 다루고 있지 않는 환경 주제는 ‘Ⅰ.A.생태학자들의 역할’과 ‘Ⅷ.A.동식물 종 보호에 대한 논쟁’, ‘XIV.B.환경 이슈와 관련된 변인 확인하기’로 나타났다. 「환경」교과와 비교하였을 때, 「사회」지리영역에서는 인간이 자연 생태계를 이용하거나 생태계 이용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 문제, 또는 인구에 관련된 환경 내용 요소들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연구 분석틀을 적용하여 「환경」교과와 「사회」과 지리영역의 관계성을 산술적으로 나타내 보았다. 그 결과 「사회」과 지리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9.9%였으며, 나머지 30.1%를 「환경」교과에서 보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상호 보완의 현실적 어려움으로, 정규 교과이면서 현재 분산적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지리영역에서 「환경」에서 보완하는 지리영역의 환경교육 부분을 선별적 흡수하여 지리학적인 관점에서의 내용 강화가 요구된다. 넷째, 현직 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교사의 65.4%가 「사회」과 지리영역에서의 환경 내용 분량이 적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 내용이 다양하지 않고(30.1%), 풍부하지 않아(18.1%) 「사회」과 지리영역에서 환경교육을 다루는 데 어렵다고 응답하여, 환경 내용의 범위 확장과 심화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다섯째, 우리나라 「사회」과 지리영역에서 다루지 않는 환경 주제 및 내용 요소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전체 35개의 소주제 중 16개(45.7%)에 대하여 70% 이상의 교사가 「사회」지리영역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사회」과 지리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환경 주제 및 내용 요소에서는 총 34개의 소주제 중 6개(17.6%) 주제에 대하여 전체 교사의 70% 이상이 심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환경 내용의 범위 확장에 대한 인식에 비하여 내용 심화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요구가 상당히 낮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사회」과 지리영역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하여 국제적 맥락에서 내용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분석 결과와 현직 교사들의 요구에 비추었을 때, 환경 내용 요소가 다양하지 못함에 따라 환경 내용의 범위 확장을 제안한다.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환경 주제 및 내용 요소는 ‘삼림 파괴 결과와 해결책이 어려운 이유’, ‘인간 공동체와 자연 공동체 비교, 식량 에너지 이동, 폐기물 제거, 도시 문제 증가와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이유’, ‘지속가능한 발전 범위와 정치적 맥락’, ‘과목으로 인한 가축과 초지의 황폐화와 가능한 해결책’, ‘습지의 유형과 습지 보존의 국제적 중요성’ 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분석 결과와 현직 교사들의 요구에 따라 일부 환경 내용에서 심화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우선적으로 심화가 요구되는 환경 내용 요소는 ‘삼림 파괴와 그 결과, 인구와 삼림 파괴의 관계’, ‘지속가능한 발전의 정의와 범위, 지속가능한 발전의 시나리오’, ‘습지의 유형과 중요성’, ‘인간 공동체의 서식지 파괴 및 변형, 도시 쇠퇴, 범죄, 빈곤, 인구와 도시 쇠락 사이의 관계, 도시 문제에 대한 해결책’,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삶의 질과 환경의 질’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재량 선택 교과인 「환경」교과의 미진한 환경교육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환경」교과에서만 다루고 있는 지리영역의 환경 주제 및 내용 요소에 대한 「사회」지리영역에서의 흡수 및 확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세계 야생 생물의 중요성과 감소 이유’, ‘지하수 이용에 따른 이익과 문제점’, ‘상업적 사냥과 오염, 외래종의 유입으로 인한 멸종 위기의 종’, ‘폐기물의 원인 감소’ 등이 제안되었다. 넷째, ‘지리’영역은 인간과 환경, 인간과 공간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환경 문제에 대하여 우리 생활 주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의사 결정 및 문제 해결적인 사고와 실천력을 배양하는 환경교육이 가능한 교과 영역이다. 따라서 지리 내용의 학습과 환경교육은 별개의 내용이 아니라, 지리 학습을 통해 환경교육도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사회」지리영역에서 환경교육 내용 범위의 확장이나 심화에 대한 교과적용에 있어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기술되는 지리 내용에 환경 내용 요소를 반영하여 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Ⅱ. 선행 연구 = 6 A. 국제 환경교육 프로그램(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IEEP) = 6 B. 우리나라의 학교 환경교육 = 9 C. 중학교 사회과 지리영역에서의 환경교육 = 10 Ⅲ. 연구 분석틀의 설계 및 적용 = 12 A. 연구 분석틀의 설계 = 12 B. 연구 분석틀의 적용 = 15 Ⅳ. 결과 분석 = 18 A. 「환경」과 「사회」지리영역의 환경 내용 요소 분석 = 18 B. 「사회」지리영역의 환경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 분석 = 32 C.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 = 47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9 부록 = 62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83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국제 환경교육 프로그램(IEEP)을 기반으로 한 환경교육 내용 개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사회과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ntents Improvem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IEEP) : In the Geographic Section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dc.creator.othernameLee, Eun Hie-
dc.format.pageⅸ,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