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정물사진의 한국적 이미지 표현 연구

Title
정물사진의 한국적 이미지 표현 연구
Other Titles
Expression of Korean Images in Still Photos : Centered on Production by Using of Flowers and Earthenware
Authors
오금남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사진과편집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인숙
Abstract
본 논문은 꽃과 토기를 이용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하여 정물사진의 한국적 이미지를 표현 연구 하였다. 한국적 이미지란 한국이 가진 고유의 문화나 역사와 같이 우리의 정체성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이미지로서 우리의 한복, 한옥, 토기, 도자기 등 여러가지 문화재에서 느끼는 일반적 감정과 더불어 우리 민족 정서가 이것들에 담겨 있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꽃과 함께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문화는 인간이 만든 것이고 인간에 의해서 학습되고 전승된다는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인간이 역사 속에서 창조해온 모든 것 즉, 자연에 대비되는 ‘문화’는 그 시대와 사회의 반영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모든 문화적 요소들을 인류역사의 기록으로 인식하고 그것에 내포된 의미를 읽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물사진의 소재가 되는 꽃을 우리의 토기로 이미지화하고 단아한 한국적 이미지와 정서를 보여준다. 우리는 세계적으로 자랑할 수 있는 우수한 전통 문화소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것을 잃어버리고 있으며 반 만년동안 우리조상들이 만들어 낸 찬란하고 독창적인 문화가 근대의 역사 속에서 단절, 소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물사진의 한국적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구성하고 잊혀져 가고 있는 모습들을 통해 우리조상들의 얼이나 정서에 대한 연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꽃은 수많은 표현 대상 중 아름다움과 화려함의 대표적인 상징물로 여겨지며, 그 자체가 아름다움과 강인한 생명력을 갖고 있다. 반면에 토기는 우리의 도공들이 자연과 더불어 아무런 욕심없이 살아야 했던 순박함이 토기에 드러나고, 우리 조상들의 소박한 삶과 슬기로운 지혜를 얻을 수 있었다. 정물사진의 한국적 이미지 사례 분석에서는 한국미의 표현과 소재의 다양성으로 전통적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깨닫게 된다. 한국미적 특질로는 여백의 아름다움, 곡선의 아름다움, 백색의 아름다움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한국미는 곡선의 아름다움이다. 곡선의 아름다움은 지리적 환경이나 역사적 환경이 있으나 가장 주가 되는 것은 자연환경을 들 수 있다. 자연과 조화된 은근한 멋은 꽃의 가지가 지니는 선의 아름다움과 토기에서 보여지는 삭힘의 시간성과 역사성 속에서 질박한 소박미로 나타나고 있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현대 사회에서는 문화적인 요소가 창조적인 삶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것에 대한 가치를 보다 친숙하게 느끼게 하고 그 용도와 우수성을 깨달아 발전시켜 나가게 하는 체계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서구화되어 가고 있고 문화는 일정한 유형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고 늘 변한다. 지금의 세계는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문화적 요소가 삶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란 진리가 바로 우리 눈 앞에 있다. 이러한 진리를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정물사진을 통해서 한국적 이미지 표현으로 재구성하여 우리 민족의 가치와 문화를 되새겨 보고자 한다.;In this study the author researched the expression of Korean images in still photos, centering on the production by using of flowers and earthenware. ‘Korean images’ indicate the ones containing our identity such as Korea’s traditional culture or history. The author constructed the images with flowers because such images include the root of our people with general emotions felt from various cultural assets such as Korean costum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 earthenware, and chinaware. Culture is made by human beings, and is characteristic in that it is learned and transmitted by human beings. ‘Culture,’ contrary to nature, is everything human beings has produced in history and reflects eras and society. Therefore, we recognized all the cultural factors transmitted from the past as the record of human history and may read their implications. In his study, flowers as the basis of still photos are under imaging with Korean earthenware, and graceful Korean images and emotions may be shown. Although we have superior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deserved to be proud of all over the world, they are being neglected and the brilliant and original culture of Korea that had been produced by our ancestors for five millennia is being severed and disappear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provide a possibility to arouse associations on the spirit or emotions of Korea through formative construction of Korean images and disappearing features. Flowers are the symbol of beauty and magnificence among various expression objects, being beautiful and having strong vitality by themselves. Earthenware reveals the unsophisticatedness of the ancient makers who lived in nature without any greed, showing the simple life and wisdom of our ancestors. Earthenware was first used around eight thousand years ago, but ancient Koreans had used it since the Neolithic Age with starting cultivation. Cases analysis of the Korean images in still photos shows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values once more through the expression of beauty of Korea and diversity of materials. The traits of beauty of Korea include the beauty of blanks, of curves, and of whiteness. Out of geographical or historical environments, there can be natural environment to be focused. The quiet taste harmonious with nature is shown in the beautiful lines of sprigs of flowers, the time of ripeness in earthenware, and the plain simplicity in historicity. In modern society with material richness, cultural factors are recognized to be key ones to determine the creative quality of life. Therefore, systematic researches are needed for familiarizing the values of, realizing the use of, and developing the superiority of our culture. Modern society is rapidly being westernized, and culture is always changeable without a certain type. The world of our time has various changes, and cultural factors may be key one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The truth that the most Korean thing is the most world-wide thing is before our 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beauty in expression of Korean images through still photos to meditate the values and culture of our peo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