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강수진-
dc.creator강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41-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교부적응 중학생들이 보이는 부적응 행동은 사회문제로 인식될 만큼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부적응 행동의 원인은 다양하나 그 중 눈여겨 볼 것은 부적응의 원인과 결과에 학생들의 부정적 자아개념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발달단계 상 독립적인 성인으로의 이행이라는 중요한 과업을 안고 있는 중학생들이 입시, 성과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인지적 측면의 발달만 독려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정의적 측면에 대한 인식 및 교육이 소홀해지게 되었는데 이는 자연스럽게 비학업 자아개념 발달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낮은 비학업 자아개념은 부적응행동을 발생시키는 악순환을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비학업 자아개념을 증진함으로써 학교적응을 도모하고자 부천시 소사구에 위치한 S 중학교에서 주 2회, 40분씩 총 12회기의 그룹 노래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중학교 3학년인 남학생 4명으로 학급 담임교사와 상담하여 자기 부정, 낮은 자아존중감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으로 인해 무단결석, 조퇴, 지각 등의 수업결손을 보이는 학생, 학교생활에 전반적으로 무기력하게 참여하는 학생, 급우들과의 부적절한 관계맺음 등의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1차적으로 선별하였고 선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부적응 검사, 자아개념 검사를 통해 최종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비학업 자아개념을 위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5단계로 구성하였으며 1단계는 치료사와 대상자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 및 그룹 내 친밀감 형성, 2단계는 자아탐색 및 이해, 3단계는 자아수용, 4단계는 자아존중, 5단계는 마무리 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비학업 자아개념에 대한 노래심리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양적,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인 연구에서는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비학업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자아개념척도(김용래, 1995) 중 비학업 자아개념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학교부적응척도(김영한, 2000) 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적자료에 대한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비학업 자아개념과 학교부적응의 사전과 사후 점수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의 비모수에 의한 윌콕슨(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질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매 회기별 대상자들의 반응을 발췌하여 녹취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로 대상자들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회기가 종료된 후 자기 평가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대상자들이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를 알아보았다. 학교적응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각 대상자들의 학급 담임교사들에게 교사 평가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비학업 자아개념점수는 프로그램 시행 전과 비교하여 시행 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P<.001)를 나타내었으며 비학업 자아개념의 하위요소 중에서도 특히 신체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성격적 자아개념의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부적응 중학생은 학교 부적응 감소에 있어서 프로그램 시행 전과 비교하여 시행 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P<.001)를 나타내었다. 셋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동안 대상자의 비학업 자아개념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의 회기별 노래가사, 언어적 표현 및 행동적 특징을 서술하고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은 개인차가 있었으나 긍정적인 자아인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비학업 자아개념 증진과 학교부적응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Recent years the maladaptation actions exhibi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reached such a serious level that they are regarded as a social issue. The causes of their maladaptation actions widely vary, but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the causes and results of maladaptation are connected to negative self-concept. Being in a critical stage of becoming an independent adult on the developmental schedule, middle schoolers are currently encouraged to focus on entrance exams and accomplishments in education. Relatively there are not enough perceptions and education about the affective domain, which has naturally led to poor non-academic self-concept growth. And further a low level of non-academic self-concept causes maladaptation actions, which thus completes a vicious cycle.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crease the non-academic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chool maladaptation and thus to promote their adaptation to school. For that purpose, a 12-session group song psychology therapy was administered at S Middle School located in Sosa-gu, Bucheon City. The sessions were given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lasted 40 minutes. The subjects include four ninth grade boys. The preliminary group was chosen among the students who were absent from school without leave, left school early, and were late to school due to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self-denial and low self-esteem according to their counseling sessions with their homeroom teachers, were in general lethargic with school life, or demonstrated maladaptive behavior such as forming in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The preliminary group underwent the school maladaptation test and self-concept test, based on whose results the final subjects were decided. The Song psychology therapy program was made up to increase the non-academic self-concep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chool maladapt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five stages, which include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students and further intimacy in the group in Stage 1, self-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in Stage 2, self-acceptance in Stage 3, self-respect in Stage 4, and wrapping up in Stage 5.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were conducted to test the program's effect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designed to measure the impacts of the psychotherapy program with songs on the non-academic self-concept of school-un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I used the domain of non-academic self-concept in the Self-Concept Scale(Kim Yong-rae, 1995) and administered a test with the School Maladjustment Scale(Kim Yeong-han, 2000). To test the quantitative data, I conducted the non-parametric Wilcoxon test in matched-pairs t-test for the pre- and post-test scores in non-academic self-concept and school maladjustment. And I collected qualitative data by recording and transcribing the subjects' reactions in each session, examining changes to the subjects in each stage, and having them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fter each session to see what kind of experiences they had with the program.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subjects were also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o understand changes to the subjects in school adjustmen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un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ir non-academic self-concept scores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P<.001) after the psychotherapy program with songs. The program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physical, social, and personality self-concept among the subelements of non-academic self-concept. And secondly, the subject middle school students reduced their school maladjustment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P<.001) after the program. And finally, the subjects' lyrics, verbal expression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and analyzed at each session to identify any changes to their non-academic self-concept during the program. As a result, positive self-perception was observed among them despite individual differen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ng psycholog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ubjects' non-academic self-concept and reducing their school maladap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학교부적응 = 5 1. 학교부적응의 정의와 원인 = 5 2.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특징과 유형 = 7 B. 비학업 자아개념 = 10 1. 자아개념의 정의와 구성요소 = 10 2. 학교부적응 중학생과 비학업 자아개념 = 16 C. 학교부적응 중학생과 노래심리치료 = 19 1. 노래심리치료의 정의와 치료적 기능 = 20 2. 노래심리치료의 활용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7 1. 학교부적응척도 = 27 2. 비학업 자아개념 척도 = 28 3. 사후 자기 평가 질문지 = 28 4. 사후 교사 평가 질문지 = 29 C. 연구 절차 = 30 D. 연구 자료 분석 = 30 E.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 31 Ⅳ. 결과 및 논의 = 35 A. 양적결과 분석 = 35 1. 비학업 자아개념 척도 사전·사후 비교 분석 = 35 2. 학교부적응 척도 사전·사후 비교 분석 = 39 B. 내용 분석 결과 = 41 1. 각 단계별 대상자들의 노래가사, 언어적 반응 변화 분석 = 41 C. 사후 평가 질문지 내용 기술 = 65 1. 자기 평가 질문지 내용 기술 = 65 2. 교사 평가 질문지 내용 기술 = 66 D. 논의 = 68 Ⅴ. 결론 및 제언 = 71 A. 결론 = 71 B.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 82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78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부적응 중학생의 비학업 자아개념 증진을 위한 노래심리치료-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ng Psychology Therapy to Increase the Non-Academic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chool Maladaptation-
dc.creator.othernameKang, Su Jin-
dc.format.pageⅹ,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