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나은진-
dc.contributor.author이주연-
dc.creator이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06-
dc.description.abstractThe ultimate object of literary education is to let passive learners into active and independent readers. Yet it's not an easy task to attain the object in school literary eduction due to various restra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 roles and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ould step up learner growth in restricted school setting. In order to foster the spontaneity of learners, they should be taught to view a novel as a text, not as a literary work. There are great possibilities in a text, whereas a novel as a literary work has just a limited meaning for them. That is, learners can see a text as what's open and find a meaning in it, which could be called a sort of literary experience, and that's the very characteristic of a text. The unique features of a text makes it possible for learners to turn into active learners.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ey couldn't afford to be exposed to a variety of literary texts nor to enjoy them. Therefore they should be educated to foster their thinking faculty in order to gain literary experiences and have an eye for literature. To make it happen, they should be engaged in expression activities, and 'critical writing' was consequently presented in this study. 'Critical writing' is an advanced form of book review that learners describe the plot and their feelings in writing. That requires learners to see the given text in a new light, and enables them to organize their ideas. If they are just asked to do critical writing without any help, they are bound to see it as elusive and do nothing more than mainly writing their feelings. In this study, 'role-play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as what could offer a helping hand to learners before doing critical writing. The activities are not led by teachers but aim at stirring up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o help them perceive the given text from diverse angles and enlarge their mental horizon. A teacher should serve as a guide and assistant, and learners should find a meaning in the given text on their own to step up their self-growth. The role-play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existing role playing that learners play particular characters of the given text. The role-playing activitie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have new experiences, and their mutu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at take place during the role-playing activities make them realize that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to look at things. In that process, they are able to enlarge the sphere of their thinking and newly arrange the meanings they found in the given text. And then they are able to do critical writing successfully. The selected text in this study was entitled 'People in Wonmi-Dong,' which was extracted from a ninth-grade textbook. That unit was associated with sociocultural contexts and described the life of our neighbors. Hence it's easier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text easily and boost their thinking faculty by utilizing it.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critical writing was designed by employing role-playing activities, and a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prepared by applying the model to the selected tex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in two different classe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fter they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ir writing was analyzed, and a checklist was utiliz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role-play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 role-play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thinking. The group that was engaged in critical writing only just wrote how they felt about the text, whereas the other group that did critical writing through the role-playing activities looked behind the text, and looked at it from a more profound perspective instead of merely focusing on the characters or the plot. The effort by this study to explore a teaching-learning method useful to learners and let their teacher serve as a guide enabled the learners to grow.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foster the thinking faculty of learners in restricted classroom situations, and a variety of authentic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presented in the future in order for learners to grow into active and independent readers.;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동적인 학습자를,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독자로 성장시키는 데 있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하여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한된 조건을 지닌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역할과 교수·학습 방안을 통하여 학습자들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습자의 능동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소설을 작품(work)이 아닌 텍스트(text)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텍스트는 다양한 가능성을 담고 있는 것으로, 이는 작품으로서의 소설이, 한정된 의미만으로 학습자에게 다가가는 것과 다른 맥락을 가지고 있다. 즉, 학습자가 텍스트를 열려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그 안에 들어가 스스로 의미를 형성하면서, 이것을 문학체험으로까지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 바로 텍스트가 가진 특성이다. 그리고 이는 비로소 능동적인 학습자의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실제로 학습자들은 다양한 문학텍스트를 접하고, 이를 충분히 음미하고 즐길 여유가 없다. 이러한 현실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제한된 조건과 상황 속에서 학습자들의 문학체험을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적 감식안과 주체성을 길러주기 위해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표현 활동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비평적 글쓰기’를 제시하였다. ‘비평적 글쓰기’란 기존의 줄거리와 느낌 위주의 서술이 주요 내용인 감상문에서 한층 발전된 것으로, 이는 학습자들에게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점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글쓰기는 학습자들이 스스로의 생각들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하지만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도움닫기도 제공하지 않은 채 비평적 글쓰기만을 요구할 경우, 이는 어렵기만 한 글쓰기 활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감상문의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내용과, 느낌 위주의 글쓰기만을 낳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평적 글쓰기 이전에 도움닫기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활동으로 ‘역할활동’을 설정하였다. 이것은 교사가 직접적이고 주도적으로 학습자들을 이끄는 것이 아닌, 학습자들 간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텍스트를 다양하게 인식하고, 사고의 확장까지 이끄는 활동이다. 즉, 안내자와 조력자로써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스스로 텍스트 안에 들어가 의미를 형성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역할활동’은 학습자가 텍스트 안에 전개된 상황과 인물들을 연기하는 기존의 역할놀이와는 다른 개념이다. 이러한 생소한 상황과 역할은 학습자들에게 또 다른 체험을 가능하게 하고, 역할활동 안에서 벌어지는 학습자들 간의 소통과 상호작용은 다양한 관점을 직면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사고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텍스트에 대한 개인의 의미들을 새롭게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활동의 기반이 되는 텍스트는 9학년 교과서에 실린「원미동 사람들」로, 이는 사회·문화적 상황과 연계되는 단원이다. 그리고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우리 이웃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학습자들이 어렵지 않게 텍스트를 이해하고, 이를 현실 세계에까지 적용해 보면서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데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역할활동을 통한 비평적 글쓰기’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이것을 텍스트에 적용하여 교수·학습 계획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에 두 학급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하였는데, 이는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함으로써, 역할활동의 효과를 실제 글쓰기 사례와 체크리스트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드러난 결과, 역할활동이 학습자들의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평적 글쓰기만을 수행한 집단은 텍스트 표면에만 머무른 채, 기존의 감상문의 내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에, 역할활동을 통한 비평적 글쓰기 집단은 텍스트의 표면을 넘어 이면에까지 닿아 있었으며, 이는 인물이나 줄거리 위주에서 한결 발전된 내용으로 텍스트를 바라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설정하고안내자로써의 교사의 역할을 통해, 학습자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닦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제한된 교실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사고력을 고무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앞으로도 실제성을 지닌 더욱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이 제시되어, 학습자들이 능동적인 주체로 발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C. 연구 방법 및 대상 = 7 Ⅱ. 교육과정과 소설교육 = 11 A. 소설교육과정과 비평적 글쓰기 = 11 B. 비평적 사고와 소설교육 = 18 C. 역할활동을 통한 비평적 글쓰기 = 22 Ⅲ. 비평적 글쓰기와 소설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 30 A. 「원미동 사람들」과 교육과정 = 30 B.「원미동 사람들」의 교수·학습 방안 = 34 Ⅳ. 역할활동을 통한 비평적 글쓰기 교수·학습 방안 = 45 A. 비평적 글쓰기와 비평적 사고의 교수·학습 = 45 B. 역할활동과 글쓰기의 실제 = 58 Ⅴ. 결론 = 81 참고문헌 = 85 부록 = 90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8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역할활동을 통한 비평적 사고와 소설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by Role-Playing Activities and Nove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Joo Yeon-
dc.format.pageⅶ,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