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경란-
dc.creator우경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10-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proposes a pedagogical method that requires dynamic interaction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learners, departing from the prejudice that classical novels are just 'ancient novels' irrelevant to learners' life. 'Inquiry into values' was also suggested as a link in the interaction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learners. 'Inquiry into values' is an educational method of classical novels which helps learners to make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a novel by investigating various values represented in the work, and to establish their sense of values by applying the understood values from the work to their actual lives. The 'values' in this thesis are defined as 'fundamental presuppositions or standards for human behavior.' Since 'values' are standards for behavior, they do not necessarily designate ethical issues, and both good and bad characters in novels can have their own values they aim at. Learners can set forth their own interpretations about literary works based on understanding of characters, by comprehending and analyzing diverse values the characters hold on to in a novel. With regard to classical novels in particular, learners can experienc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by distinguishing values intrinsic to humans from those specific to those times when the novels were written. Honggildongjeon (A tale of Gildong Hong), which was chosen for inquiry into values in this thesis, describes characters with different values and realistically portray the conflicts among their values, as well. In order to construct the pedagogics of Honggildongjeon through inquiries into values, the thesis classifies and analyzes the values the characters represent, and examines the process for the conflicts of values to be settled. The propensities of the characters' values from Honggildongjeon can be bifurcated into a type of 'maintenance of reality' and a type of 'reformation of reality.' These two types can be further divided based on how positive they are. On the other h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act that the conflicts of values in Honggildongjeon are resolved by virtue of 'harmony.' The protagonist, Gildong Hong, aptly accepts others' heterogeneous values on one hand and realizes his own values of reformation by building up an ideal country of his on the other. He could make it possible to have peaceful coexistence by reconciling with the characters to whom he is antagonistic. In order to realize the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via inquiry into values, the study of this thesis designs a pedagogica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teaching of classical novels in general, as well as Honggildongjeon. This model consists of four stages, 'Discovery of values,' 'Assessment of values,' 'Organization of values,' and 'Extension of values.' At the stage of 'Discovery of values,' learners understand characters' behaviors, based on which they clarify the characters' values. Learners can come to have a deep grasp of characters and recognize diversity of values. At the stage of 'Assessment of values,' learners subjectively judge the legitimacy of the values they found at the preceding stage. Furthermore, they re-evaluate characters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which capitalizes on the specificity of classical novels. Learners can foster critical thinking and simultaneously acquire variety of perspectives. At the stage of 'Organization of values,' learners put together all values in the work and construct a system of values. In this built-up system, they understand how conflicts of the values are solved. Learners can comprehend the structure of conflicts more clearly, and the organized system of values can serve as a frame of interpretation for other novels. At the last stage, 'Extension of values,' learners apply the system of values from a novel to reality, and they establish their own sense of values affected by the literary works. They come to associate literature with life on a full scale, and experience essential growth of ethics due to establishment of their own values.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proposed model,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aspects, by and large. First, learners can interpret the meanings of classical novels in a richer fashion. Second, they can internalize the necessity of learning classical novels and feel more familiar with classical novels. Third, they can develop an eye for appreciating values, by analyzing and criticizing manifold values from relative points of view.;본 연구는 고전소설이 학습자의 삶의 경험과는 동떨어진 그저 ‘오래된 소설’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고전소설과 학습자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고전소설과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연결고리로서 ‘가치 탐구 학습’을 제시하였다. ‘가치 탐구 학습’은 학습자가 한 편의 고전소설에 드러나는 다양한 가치들을 탐구하여 작품을 깊이 있게 해석하고, 작품에서 파악한 가치들을 실제 삶에 적용하면서 자신의 가치관을 확립해가는 고전소설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價値)’를 ‘인간 행위의 근본적 전제나 기준’으로 정의하였다. ‘가치’는 행위의 기준이기 때문에 반드시 윤리적인 것만을 지칭하지는 않으며, 소설 속의 선인이나 악인 모두 나름대로 지향하는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는 이렇게 한 편의 소설 속에서 작중인물이 지향하는 다양한 가치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인물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작품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내놓을 수 있다. 특히, 고전소설을 학습할 때에는 작품 속에서 인류 보편의 가치와 당대의 특수한 가치를 구별해 내면서 고전소설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의미 있게 체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가치 탐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인 <홍길동전>에는 다양한 가치를 지향하는 인간 군상이 형상화되어 있고, 그들이 일구어내는 가치 갈등 역시 핍진하게 그려져 있다. 가치 탐구 학습을 통한 <홍길동전> 교육 방법을 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홍길동전>의 작중인물들이 지향하는 가치를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작품 속의 가치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홍길동전>의 작중인물들을 가치 성향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면 ‘현실 유지형’과 ‘현실 개혁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현실 유지형’ 과 ‘현실 개혁형’의 인물들은 그 적극성을 기준으로 다시 세분하여 유형화할 수 있다. 또한 <홍길동전>에서는 가치 갈등이 ‘화합’을 통해 해소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홍길동은 자신과 다른 가치를 지향하는 인물들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는 한편, 스스로 이상국(理想國)을 건설하여 자신의 개혁적 가치도 실현한다. 그는 대립 관계에 놓인 인물들과 화합함으로써 평화로운 공존을 가능케 했다고 할 수 있다. 가치 탐구 학습을 통한 고전소설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홍길동전> 뿐만 아니라 고전소설 교육 일반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형은 ‘가치 발견하기’, 가치 평가하기‘, ’가치 조직하기‘, ’가치 확장하기‘의 총 4단계로 구성된다. ’가치 발견하기‘ 단계에서는 작중인물의 행위를 파악하여 그것을 근거로 그들의 가치관을 명료화한다. 이 단계에서는 작중인물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가치의 다양성을 인식할 수 있다. ’가치 평가하기‘ 단계에서는 앞 단계에서 발견한 가치들의 정당성을 학습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고전의 특수성을 살려 교수·학습하기 위해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인물들을 재평가해 본다. 이 단계에서는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하면서 동시에 관점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치 조직하기‘ 단계에서는 작품에 드러난 가치들을 총집합하여 가치 체계를 구조화시킨다. 그리고 가치 체계 속에서 대립되는 가치들의 갈등이 어떻게 해소되는가를 파악한다. 이 단계에서는 소설의 갈등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조직한 가치 체계는 다른 소설에도 적용할 수 있는 해석의 틀로 활용 가능하다. 마지막 단계인 ’가치 확장하기‘에서는 작품의 가치 체계를 현실에 적용해 보고, 문학을 통한 가치관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학습자의 가치관을 확립한다. 이 단계에서는 문학과 삶을 본격적으로 연계시키고, 가치관 확립을 통해 윤리성을 실질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는 대략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고전소설 작품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고전소설 학습의 필요성을 내면화하고 고전소설을 더욱 친근하게 느낄 수 있다. 셋째, 다양한 가치들을 상대적인 관점에서 분석, 비판함으로써 가치를 판단하는 총체적 안목을 기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6 Ⅱ. 고전소설 교육과 가치 탐구 학습 = 9 A. 가치 탐구 학습의 개념 및 특성 = 9 1. 문학교육에서의 ‘가치’와 가치 탐구 학습 = 9 2. 가치 탐구 학습의 필요성 = 15 B. 고전소설 교육에서 가치 탐구 학습의 의의 = 18 Ⅲ. 가치 탐구 학습의 관점에서 본 <홍길동전> = 21 A. <홍길동전> 교수·학습의 현황 = 21 1. 교과서 본문 및 학습 활동 분석 = 21 2.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27 B. <홍길동전> 작중인물의 가치 탐구 = 30 1. 작중인물이 지향하는 가치의 유형 = 32 가. 현실 유지형 = 34 나. 현실 개혁형 = 39 2. 가치 갈등의 해소 방식 = 41 Ⅳ. 가치 탐구 학습을 통한 고전소설 교육 방법 = 44 A. 가치 탐구 교수·학습 모형 = 44 1. 가치 발견하기 = 48 가. 인물의 행위 파악하기 = 49 나. 인물의 가치관 명료화하기 = 50 2. 가치 평가하기 = 53 가. 가치의 정당성 평가하기 = 53 나. 시대적 상황 고려하여 재평가하기 = 55 3. 가치 조직하기 = 57 가. 가치 체계 구조화하기 = 58 나. 가치 갈등 해소 방식 파악하기 = 61 4. 가치 확장하기 = 62 가. 현실에 대입하기 = 63 나. 가치관 확립하기 = 65 B. <홍길동전> 교수·학습 과정안 = 66 Ⅴ. 결론 = 77 참고문헌 = 81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63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가치 탐구 학습을 통한 고전소설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홍길동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Pedagogic Proposal for Classical Novels via Inquiry into Values: Focusing on Honggildongjeon-
dc.creator.othernameWoo, Kyung-ran-
dc.format.pageⅷ,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