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읽기 동기 신장을 위한 독서 동기 체계 강화 프로그램 효과 연구

Title
읽기 동기 신장을 위한 독서 동기 체계 강화 프로그램 효과 연구
Other Titles
AA study on the Effects of Reading Motivation System Stimulation Program for Reading Motivation Encouragement
Authors
송현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동기를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이를 신장시키기 위한 독서 프로그램의 모형이 실제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독해의 지도가 독서 활동과 연계될 수 있도록 실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반 작업이 필요하다는 학교 현장의 요구로부터 시작하였다. 그 동안 소홀해 왔던 정의적 영역의 읽기 동기에 초점을 맞춰, 이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독서가 정책적으로 강조되는 실제 학교 현장의 요구와 맥락에 맞도록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까 하는 문제 제기 역시 간과할 수 없었다. 이것이 학교 현장의 여러 요구 중에서도 가장 절실한, 낮은 읽기 동기에 대한 해결책 모색을 우선순위로 하여 논의를 시작하게 된 이유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읽기 동기를 이루고 있는 요인을 범주별로 체계화하여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반영한 독서 프로그램을 구상한다. 읽기 동기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물론 학교 현장의 상황과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읽기 동기를 신장시키기 위한 독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구상하고, 이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제로 학생들에게 나타난 동기 변화를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읽기 동기의 본질을 개념, 기능, 성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읽기 동기의 개념을 읽기 행위를 불러일으키고 이를 지속하고나 조절하는 독자 내부의 힘 또는 독자의 다면적인 심리구조라고 정의하였다. 적 동기 설계의 개념, 이를 반영한 독서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와 절차 모형을 여러 가지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 탐색함으로써 체제적 동기 설계 구안의 중요성과 의의를 밝히기 위한 문헌 연구를 시행하였다. 사전 연구검토에서 언급한 문헌들과 읽기 동기 요인, 읽기 동기 모형, 읽기 동기 신장을 위한 독서 프로그램의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체제적 동기 설계 기반을 제시하고, 구성 원리에 따라 실제 모형을 구안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구안된 독서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된 읽기 동기 검사 도구, 읽기 반응 양상의 기초가 되는 자료 수집 대상, 수집 방법, 처리 방법과 절차 등을 다루었다. 읽기 동기 변화에 따른 결과를 얻기 위하여 경기도 부천시 소재 B 중학교 2학년 학생들 359명을 대상으로 한 읽기 동기 검사를 통계 처리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읽기 반응 자료를 얻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밝힌 읽기 동기 변화에 따른 양적, 질적 결과를 근거로 동기 변화에 따른 반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을 때 학생 전체의 읽기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질적 연구 방법에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MRQ 읽기 동기 검사를 활용하였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는 독후일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읽기 동기 전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여 본 연구의 독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그 뿐 아니라 학생들의 읽기 동기를 이루고 있는 범주에 변화가 나타나, 본 독서 프로그램이 내재적 동기와 독자 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독후일지를 통해 나타난 공통적인 학생들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세 가지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동기 변화 점수가 유형별로 가장 큰 학생의 독후일지를 분석하여 공통점을 중심으로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외적 동기가 자기 효능감, 내적 동기, 사회적 동기로 변화된 학생들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외적동기에서 자기 효능감 유형으로 변화한 독후일지의 경우에는 읽기에 대한 성공의 자신감이 드러나고, 스스로가 책을 잘 읽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외적 동기에서 내적 동기로 변화한 학생들의 경우는 읽기 자체에 대한 즐거움과 읽기에 푹 빠진 경험이 나타났으며, 외적 동기에서 사회적 동기 유형으로 변화한 경우에는 동료 혹은 담임 교사와 함께 텍스트 내용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이 읽기에 영향을 주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읽기 동기 신장에 초점을 맞춘 체제적 동기 설계 기반 독서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어떻게 통합시킬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하여, 실제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생들의 실제적 반응 양상을 기술하였다. 새로운 환경에서 더 많은 읽기를 요구하는 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연구가 읽기 교육의 체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본 연구의 의의로 삼는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 systemic reading motive and to figure out what effects a reading program for reading motive simulation has towards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 to fulfill the demands from school environment to build a program that naturally links language teaching to reading activities. As the affective domain of reading motive has been neglected in academic fields, this study is to focus on this domain and introduce meaningfu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t cannot overlook the demands to adapt itself to the actual school environment that is forced to follow the guidelines to teach reading from the government. This is the reason why this paper choose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low reading motives, which is one of the problems that are mostly needed to be fixed. This paper has categorized the factors that consist of reading motivation and built a reading program. It seeks to consider every factor that affects reading motivation with other factors that fulfill realistically the needs of school environments and therefore strengthen the effects of reading program for reader stimulation. To verify its effects, this study has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owards student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of adopting reading programs focused on reading motivation stimulation into school environment and proved that this can actually happen in such circumstances by an experiment conducted in a school. Such effort will help promoting reading education in Korean and also globalizing reading education in a wider scop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