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6 Download: 0

한국의 시각적 상징을 응용한 한국관광문화상품 판매관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 (Brand Identity)에 관한 연구 및 개발

Title
한국의 시각적 상징을 응용한 한국관광문화상품 판매관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 (Brand Identity)에 관한 연구 및 개발
Other Titles
A Study and Development on Brand Identity for Integrated Korean Tourism & Cultural Products that Applied the Visual Symbols of Korea
Authors
차보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인성
Abstract
세계는 고도화 된 정보화 사회를 이룩하여 인류가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관광산업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문화적 가치를 담아 국가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관광수입을 증대할 수 있는 관광문화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관광문화상품은 국가의 문화적 상징성과 고유성을 지닌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서 국가를 홍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관광문화상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시장 환경과 상품의 디자인 및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관광문화 상품을 전시·판매하는 관광문화상품 판매관도 다양하게 성장하고 있다. 관광문화상품 판매관은 관광문화상품을 전시·판매하는 곳으로 판매관의 외관 및 내부의 시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상품의 가치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BI(Brand Identity)는 상품이 가지는 핵심적인 가치와 의미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표현 전략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하는 단계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켜 구매동기를 부여하고 판매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은 브랜드 이미지 개선 또는 판매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중시되고 있다. 일반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은 사인체계, 디스플레이, 패키지 등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응용하여 시각적 이미지 체계를 구축하는 마케팅 전략을 널리 활용하고 있다. 그에 비해 관광문화상품 판매관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BI(Brand Identity)에 의한 마케팅 전략 부재로 인해 시각적인 측면에서 매우 낙후된 현상을 보이고 있다. 문화관광부와 한국관광협회중앙회가 운영하는 한국관광명품점, 서울시와 서울산업통상진흥원이 운영하는 서울관광상품판매관은 국가기관이 운영 또는 관리하고 있는 판매관으로 체계적인 유통방식과, 엄격한 제품 심사를 통해 관광문화상품의 품질과 디자인, 가격 면에서 우수하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관광문화상품 판매관으로서 소비자를 더욱 만족시켜주고 구매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인 디자인, 쇼핑백, 포장지, 매장 인테리어 등을 포함하는 시각적·환경적 요인들이 구매자들의 심리를 만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판매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복잡한 구성요소와 브랜드 네임은 소비자에게 인지되는 어려움과 유사 판매관의 생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의 단계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마케팅 전략의 부재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가기관이 운영 중인 관광문화상품 판매관의 한국의 시각적 상징이미지를 반영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BI(Brand Identity) 제작 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판매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문화상품 판매관 브랜드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관광부와 한국관광협회중앙회가 운영하는 한국관광명품점, 서울시와 서울산업통상진흥원이 운영하는 서울관광상품판매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적용 현황과 디자인을 분석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한국관광문화상품 판매관의 새로운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관광문화상품 판매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문화상품 판매관 브랜드를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향후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과정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The world has advanced into highly elevated informatization society by structuring the environment to encounter the diverse cultures around the world for mankind. Accordingly, with the tourism industry emerged as the core part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 is a heightening interest o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to improve the national image and increase the tourism income with the cultural value.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undertake important role in publicizing a country as a high added value product to symbolize the country with its cultural symbolism and uniqueness. With the heightening of social recognition on tourism and cultural product, there are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design and quality improvement of products as well as the market environment, and the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that display and sell various tourism products are diversely grown. The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is a place for exhibition and sales of tourism and cultural product that would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and maximize even more of product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effects. Brand identity (BI) is the strategy for expression to deliver the core value and implication in a product that it improves the brand image to consumers through step-by-step visual communication to apply the BI to grant the motivation to purchase and promote the sales. Therefore, effective BI structuring has been valued as a marketing strategy to improve the recognition and sales on existing sales environment. A sales store for general product would undertake BI for sign system, display, package and others to promote the sales. On the other hand, the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lacks the marketing strategy by BI that it has shown substantially lackadaisical phenomenon in the visual aspect. National Souvenir Center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n Tourism Association jointly operate and Seoul Souvenir Shop that Seoul City and Seoul Business Agency jointly operate are the sales centers operated or managed by the national agencies and have been evaluated with outstanding terms of quality, item and price of the tourism and culture product through systematic distribution method and stringent product review. However, the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has been unable to satisfy customers with its vis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encompass design, shopping bag, package, store interior and the like that would bring satisfaction for consumers and influence on purchase activities. Furthermore, the complicated factors and brand name of BI for the Center may generate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consumer and generation of similar sales centers. These problems are understood as the lack of marketing strategy through the step-by-step communication of BI. This thesis is on the production plan of BI that reflects the visual and symbolic image of Korea for the nationally-run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that it analyzes the status and issues of the BI to propose more effective BI strategy for the brand of the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By analysing the status of BI application and design thereof for National Souvenir Center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n Tourism Association operate and Seoul Souvenir Shop that Seoul City and Seoul Business Agency operat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new BI for the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This thesis has the implication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I of the Center for Korean Tourism and Culture Products and structuring BI to generate new values, and it aims to make practical help in structuring the effective upgrade of the image of Korea during the BI development process that influences on the national 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