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의 활용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의 활용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f SCAMPER Technique on Learning Motivation and Expression for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Design Classes
Authors
조혜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The 7th educational course consists of public common basic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ranged from elementary school to 1st grade at high school and op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2nd and 3rd grades students at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revised bill for art, 1st grade students at high school, the last stage of public common basic educational programs, aim to have the education of healthy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ultural eyes, and optional education programs emphasize creative abilities and attitudes to enjoy attainments and bountiful life as a cultured man. However, contrary to the original purposes, with regard to the tendency to choose subjects, students are more likely to choose subjects for the easiness of study and relations with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as the experimental methods of modern art that maximize expression effects are applied to students by using a variety of new methods, aesthetic experiences expand and learning motivation should be increased. Since the SCAMPER technique develops idea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given questions, using checklist thinking techniques during the process of expression, it helps express and develop ideas easily. Therefore, it makes creative thinking become habituation such as 'are there any things to develop consciously?', 'why does it choose this way?', 'are there any different ways?', and etc. Such merits can achieve efficiency in the development of ideas as well as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along with the power of expres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the power of expression in CI design classes by applying SCAMPER technique among various thinking methods for 2nd grade students at high school.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149 2nd grade students at Y High School located in Kwanak- gu, Seoul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8 times for 2 months from April, 2008 to May, 2008. Before conducting the experiments, it was confirm that two groups were homogeneous through homogeneous exams for learning motivation and the power of express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learner's desig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power of express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evaluation factors for learning motivation were 'attention', 'self-confidence', 'satisfaction', and 'continuing motivation', the evaluation factors for the power of expression were 5 questions such as 'creative quality', 'formation', 'composition', 'delivering subjects', and 'color component' and the validity of evaluation tools for desig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power of expression were examined by a high school art teacher with 25 years teaching experience, a middle school teacher with 5 years teaching experience, and a instructor with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at an art institut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power of design ex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ower of design expression 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ubordinate domains of design learning motivation, a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3975 on the average in 'attention'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nce it was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more effective.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3782 on the average in 'self-confidence'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nce it was within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more effective. Especially,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uch more score of 0.7436 on the average in 'continuing motivation'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nce it was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much mor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0618 on the average in 'satisfaction'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ince it was not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not more effective. Although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1076 on the average in 'relation'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ince it was not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not more effective. Secondly, in the subordinate domains of the power of design expression, a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4391 on the average in 'creative quality'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nce it was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more effective.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4210 on the average in 'formation'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nce it was within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more effective.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3335 on the average in 'composition'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nce it was within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more effective.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3966 on the average in 'color component'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nce it was within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more effective. Meanwhile, although the group that applied SCAMPER technique showed more score of 0.26 on the average in 'delivering subjects' than a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ince it was not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 the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was not more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is an appropriate method to sustain learning motivation and teach creative expression with creative ideas since it makes learners concentrate and increase self-confidence. The factors that creative teaching to which SCAMPER technique applied is not more effective than a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eem to be related to the short period of time for creative teaching and in order to verify that, further studies that compare the results after conducting a long-term creative teaching are required. In addition, teaching methods that increase creative expression do not seem effective to improve 'delivering subjects.' Also, a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sign classes o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power of expression for students in optional education programs rather than in public common basic education program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a basic material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CAMPER technique. ;제7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고등학교 2, 3학년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르면, 고등학교 1학년은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건전한 미의식과 문화적 안목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며,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는 문화인으로서의 소양과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창조적인 능력과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그 근본 취지와는 달리 선택 과목의 이수 경향을 보면, 학습의 용이성과 대학 입시와의 관련성 측면에서 선택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여 표현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현대 미술의 실험적 방법들을 적용함으로써 미적 경험을 확장시키고 더불어 학습동기를 높여야 한다. 스캠퍼 기법은 발상과정에서 체크리스트의 사고 기술들을 이용하여 주어진 질문의 패턴에 따라 사고를 전개시키므로 보다 쉽게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즉,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하여 의식적으로 좀 더 개선해야 할 점은 없는가, 왜 이런 방식으로 되어있는가, 다른 방법으로는 할 수 없는가 등의 창조적 사고를 습관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장점들은 사고 전개에 능률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현력과 함께 학습동기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발상법 중 스캠퍼 기법을 적용하여 CI디자인 수업에서 학습동기와 표현력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Y고등학교 2학년 14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두어 2008년 4월부터 5월에 걸쳐 약 2달간 총 8차시에 걸쳐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학습자의 디자인 학습동기와 표현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에 기초하여 실험하였다. 학습동기에 대한 평가요인은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동기 지속’이며, 표현력에 대한 평가요인은 ‘발상력’, ‘조형력’, ‘구성력’, ‘주제전달력’, ‘색채구성력’ 각 5개의 문항으로 하였으며 디자인 학습동기와 표현력 평가 도구의 내용타당성은 교육 경력 25년 고등학교 미술교사, 교육 경력 5년인 중학교 교사, 교육경력 10년인 미술학원 강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학습동기, 디자인 표현력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학습동기 검사의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디자인 학습동기 하위영역 중, ‘주의력’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3975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이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감’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3782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이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동기지속’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7436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1%의 범위이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만족감’에서는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0618 크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 ‘관련성’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1076 크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 둘째, 디자인 표현력의 하위영역 중, ‘발상력’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4391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이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조형력’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4210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이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구성력’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3335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이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색채구성력’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3966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이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주제전달력’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0.26 크게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는 학습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자신감을 높임으로써 학습에 대한 동기를 지속시키며,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창의적인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발상지도가 전통적인 교수법보다 더 효과적이지 않았던 요인은 발상지도의 기간이 짧아서 그 효과가 미처 나타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에 장기적인 발상지도를 실시하여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창의적인 표현을 향상시키는 교수법이 ‘주제전달력’의 향상에는 크게 효과적이 않다고 보인다. 또한, 본 연구는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이 아닌 선택중심 교육과정 학생들에게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스캠퍼 기법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