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의 소집단 읽기 활동 관찰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의 소집단 읽기 활동 관찰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Reading mode in Korean Language Courses : Peer-interaction in reading activity
Authors
나재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읽기 활동, 그 중에서도 소집단 읽기 활동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집단 읽기 활동을 실시하여 그 안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교사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읽기 활동보다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소집단 읽기 활동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업에 소집단 읽기 활동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험 참여자들의 토론을 전사, 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간 상호작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기존의 연구 중 소집단 읽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현재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읽기 활동인 소집단 읽기 활동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연구는 있지만 소집단 읽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 연구는 없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도 말하기 수행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활동인 소집단 읽기 활동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이를 실천적으로 적용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읽기 활동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 대해 다루었으며, Vygotsky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사회문화이론과 상호작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소집단 읽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Ⅳ장에서는 참여자가 소집단 읽기 활동을 진행하는 동안 생산한 발화를 전사하여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Byon(2003)에서 언급한 상호작용 요소인 발화 차례수를 계산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 질문지와 면담내용을 서술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소집단 읽기 활동에서 발화 중복, 도움 제공, 다른 참여자의 발화 촉진, 순서 가로채기 등의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참여자간 숙달도 차이가 발화 차례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연구 결과물이 없었던 소집단 읽기 활동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한국어 읽기 교육에 있어 학습자 중심의 활동의 필요성을 언급하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읽기 활동 중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소집단 읽기 활동을 적용하여 그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읽기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실험 참여자들의 발화 차례수와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였다. 소집단 읽기 활동을 적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학습자간에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났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소집단 읽기 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This study examined the needs of the group reading mode in Korean language reading classroom. Reading activity was conducted for learners of Korean, this study observed the peer interaction in the group reading mode. It is widely believed that learners interact with their peers more in small, learner-centered reading groups than when a teacher leads the reading.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reading class using small, learner-centered reading group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learners during these discussions were then tape-recorded and made into a manuscript, which was then analyzed.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Chapter one describes the needs and purpose of this study. It will also review previous relevant studies about group reading and peer intera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vious studies tend to focus on the needs of the group reading mode, but few hav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In addition, studies that examine the peer interaction in the reading classroom are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group reading mode and provid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in reading clas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hapter two will explain the concepts of peer interaction and Vygotsky’s socialcultural theory, which both form the base of this study. Chapter three addresses this study’s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chapter four. In addition, this study calculates and analyzes the number of turn-taking, which was discussed by Byon (2003). The conten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are also described in this section. This study observed phenomena such as overlapping, offering help, promoting peer’s participation for discussion, turn interruption.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learners did not influence the number of turns taken by students. As a summary, this study conducted the application of the group reading mode, and promotes that the learner-centered classroom in Korean reading class. It observed learners’ discussion in the group reading mode, and validated the active peer interaction. It analyzed the number of turn-taking and the peer interaction appeared in the group reading mode. Lastly,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s of the group reading mode, and suggested more needs of study with the aspect of peer inter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