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씨리랏 씨리낫-
dc.creator씨리랏 씨리낫-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64-
dc.description.abstract최근의 언어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언어 사용에 있어서의 정확성이나 규범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수용가능성과 유창성을 강조하는 추세다. 그런데 제2 언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기까지는 그 과정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여러 학자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의사소통 전략은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도구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언어 학습자에게 의사소통 전략이란 교수·학습이 필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는데, 한국어 교육의 경우는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연구와 의사소통 전략 훈련 방법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연구는 아직 미흡하고 특히 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태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성취도와 과제에 따른 의사소통 전략 사용을 언어심리학적 관점과 비상호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고, 태국의 대학교 한국어 전공학생 4학년 2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을 성취도에 따라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고, 과제 유형을 세 가지로 개발하여 한국어 원 어민 교사와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 해결을 위해 각 집단이 어떠한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Ⅰ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 내용을 검토하여 연구 문제 및 가설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제2 언어 학습자의 성취도가 높을수록 목표어 발화 시의 의사소통 전략의 사용 횟수는 적게 나타났으며 사용하는 전략도 다양하지 않다고 하였는데 이는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의 경우 목적어 를 사용하여 발화할 때 비교적 정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문제나 어려움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취도가 낮은 학습자의 경우는 반대로 의사소통 전략의 사용 횟수도 많고 사용하는 전략의 종류도 다양하였다. 즉 성취도가 낮은 학습자가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면 의사소통 문제 해결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있어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를 검토해 보았을 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연구는 주로 일본어권과 영어권 학습자에 한정되어 있었고 이에 본고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의사소통 전략 사용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Ⅱ 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의사소통 전략의 개념, 의사소통 전략의 유형,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Ⅲ 장의 연구 방법 및 절차에서는, 본 연구에서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고, 선행 연구들에서 밝힌 의사소통 전략들을 참고하여 본고에서의 연구 과제와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본고에서 개발하여 사용한 세 가지 유형의 과제는 어휘 설명 과제,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 그림 순서대로 말하기 과제로서, 도출된 과제는 예비실 험 단계를 거쳐 수정하여 본실험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태국 내의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원어민과 의사소통하는 과제를 녹화하였고, 그것을 분석할 분석틀 역시 예비실험을 거쳐 부족한 점들을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Ⅳ 장의 연구 결과에서는 본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분석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였다. 양적 분석에서는 성취도가 높을수록, 상위 집단 학습자가 다른 집단보다 의사소통 전략 사용 빈도가 가장 낮고 다양하지 않게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연구들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점이다. 과제에 따른 의사소통 전략 사용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어휘 설명 과제,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 그림 순서대로 말하기 과제의 순으로 의사소통 전략 사용 빈도가 더 많이 나타났다. 질적 분석에 따른 결과에서 나타난 바로는, 어휘 설명 과제의 특성 상 학습자가 단어를 하나씩 원어민에게 설명해야 하는 점에서 다른 두 과제가 주어진 과제 내용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 스스로 발화를 생산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Ⅴ 장에서는 결론과 함께 본고가 가지는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이미 20여년이 되었으나, 최근의 언어 교육 분야에서 중요시하는 의사소통 능력에 바탕을 둔 연구 수는 많지 않은데, 본고의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의사소통 전략 훈련 방안 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급속히 증가하는 태국 내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전략 사용 방법 교육 등이 이루어지는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Thai Koreanstudents in Korean language, with the target group being Thai students studying Koreanas their major whose proficiency level is intermediate. The population sample used inthis experiment included 23 selected fourth yea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Koreanlanguage from a university in Thailand. The sample population had different languageexpertise and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achievementlevel: high level, medium level and low level. There were three tasks, which wereespecially designed for this experiment including defining vocabularies, story telling andtelling story from a given story board and pictures. The researcher videotaped theproces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analysis and each task was supervised by aKorean lecturer. The result of the individual students were analyzed and examined. In order to reach its purpose, the research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onediscusses the purpos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s well as the literaturereviews. Regarding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s,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for thetechniques of communication,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byWestern scholars, with the focus o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Regarding theresearch on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focuses on Korean as the second language,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by Japanese andEnglish scholars more than other nationalities. For the research relating to this subjectthat uses Thai students as the sample population,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it hasnever been conducted before. Therefore, based on this perception, the researcherconcludes this first chapter with the problem statement. In chapter two, three major theoretical frameworks are discussed. The chapter startswith defining the method of communication, follows by identifying the type of differentstrategies used in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looks at the different factors, whichinfluence the individual’s perception and selection of using different strategy for thepurpose of communicating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hapter three describes and illustrates the methodology and the process of theconducted research. The outline of the method used, as described in this chapter, is asfollowed. Firstly, the researcher selected the sample population and collected informationregarding the strategies of communication. Secondly, the researcher constructed ascenario for the sample population concentrating on three tasks including definingvocabularies, story telling and telling story from a given storyboard and pictures, whichwere made particularly for this research. After the results were collected, the researcherused the finding to improve the research equipment including the general equipment andthe structure of the research. In chapter four, the researcher discuss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themethodology.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uses two types of methodology including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or quantitative method,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thesample population selected the use of confronting the challenge rather than denying thecontest. When the researcher divided the sample population according to their languageexpertise,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 level in Korean languagetend to use fewer strategies of communication in comparison to students in the lowlevel. This result is as expected and in line with other existing researches. When theresults are analyzed in accordance to their task,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the samplepopulation selected their method of communication in respond to the different task. Forinstance, for the task of defining vocabularies, the sample population used morestrategies than other tasks. This maybe because for this task, students are required toexplain the vocabularies by using proper grammar and personal skills to ensure that theKorean instructor understands perfectly what vocabulary the students were trying toexplain. For the task of story telling, students were given the story in Thai to memorizeand recite the story in Korean. For this task, as the sample population is able tomemorize the story in Thai and recite it back in Korean, students did not have to usespecific language strategies, as the first task. The last task is telling story from a givenstory board and pictures. In this task, the sample population required to tell the storyfrom a given pictures and link each picture to make a story. This task, while requiredthe story telling strategy, did not require other particular type of skills. Therefore, doesnot require specific skills as the first task. Chapter five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r the purpose of further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eaching Korean to Thai students, as well as providing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Although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in Thailandhas been on-going for the past twenty years, undeniably, the success of such teachingcould be improved, as the proficiency of us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s not asengaging as many would have hoped. With the rising popularity of Korean language,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field of teaching this language is important for Thaistudents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 Korea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researchwill be beneficial for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nThailand, as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those interested in conductingfuture research on this subj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C. 연구 문제 및 가설 = 8 Ⅱ. 이론적 배경 = 11 A. 의사소통 전략의 개념 = 11 1. 상호작용적인 정의(Interactional Definition) = 12 2. 언어심리학적인 정의(Psycholinguistic Definition) = 13 B. 의사소통 전략의 유형 = 15 C.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32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5 A. 연구 참여자 = 35 B. 연구 도구 = 36 C. 연구 절차 = 40 D. 자료 분석 방법 = 42 Ⅳ. 연구 분석 및 논의 = 43 A. 양적 분석 = 43 1.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 = 43 가. 전반적인 경향 = 44 2. 성취도에 따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비교 = 53 가. 상위 집단 = 53 나. 중위 집단 = 56 다. 하위 집단 = 59 3. 과제에 따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비교 = 61 가. 어휘 설명 과제 = 62 나.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 = 66 다. 그림 순서대로 말하기 과제 = 68 4. 소결론 = 71 B. 질적 분석 = 72 Ⅴ. 결론 = 92 A. 결론 및 시사점 = 92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95 참고문헌 = 97 부록 = 101 ABSTRACT = 122 บทคัดย ่อ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221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성취도와 과제에 따른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achievement level and type of task : for Thai Korean learners-
dc.creator.othernameSIRIRAT, SIRINAT-
dc.format.pageⅸ,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