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장보라-
dc.creator장보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64-
dc.description.abstract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about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ll over the world rather than a matter of local. Thus, the concern about the issue has been from local to global, but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n the diverse scale of environmental issues is not man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n environmental issues by survey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global and local environmental issues. The subjects were 853 fifth year students who attended elementary schools at Seoul, Busan, Daejeon, Anyang, Gimpo and Cheongju. SPSS 15.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technical statistics, t 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erception of the global and local environmental issues was 3.65 which di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p>.05.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 global warming (M=3.99), drinking-water pollution (M=3.92), acid rain (M=3.77), yellow dust (M=3.66), ozone depletion (M=3.57), deforestation in tropical areas (M=3.52), desertification (M=3.36), biodiversity (M=3.40) and their perception of local environmental issues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 waste disposal (M=3.87), air pollution (M=3.74), bad smell (M=3.70), noise (M=3.61), river pollution (M=3.57), soil pollution (M=3.44).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ubjects in the perception of two scale environmental issu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rea they live in. It was shown that the metropolitan student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issues were higher than the non-metropolitan students'. From this fa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the local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who live outside of the metropolitan cities.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wo scale environmental issues and characteristics for sex(p>.05).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on the effects between characteristics was that the factors like 'environmental interest' and 'impact on personal life'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behavior will' to solve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 interest' and 'personal knowledge'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behavior will' to solve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not consider 'impact on personal life' important for solving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they did not consider 'personal knowledge' important for solving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rogram in order to help those student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issu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ir life and acknowledge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which leads for students to take active action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Forth, the result of analyzing on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environmental issues showed that 'personal knowledge', 'environmental interest' and 'behavior will' were high in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p<.01) and 'virtual contamination', 'human responsibility' and 'impact on personal life' were high in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p<.05). The reason why students' perception on 'person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interest' was not high is that the mass media and schools have focused on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more than the local environmental ones. Therefore, we shoul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perceptions and interests on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Given the results of this survey, first, it is urgent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perception on environmental issues. Along with it, we should find out some effective ways for students to take an active action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after the acquire the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education about the environment at school should be well balanced i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Second, conside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are more suitable for their learning materials. However, the recent trend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focused on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more than the local environmental o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educational programs and methods to teach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in order for elementary students to put in practice to 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최근 환경 문제는 지역과 국가를 초월한 지구 차원의 문제로 확대되었다. 자연히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또한 지역적 환경 문제에서 전지구적 환경 문제로 넘어가고 있지만 다양한 규모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 의지 함양을 위해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초등 환경 교육 교재 개발에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부산, 대전, 안양, 김포, 청주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8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one-way ANOVA, two-way ANOVA, 피어슨 상관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지구적 환경 문제와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은 평균 3.65점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전지구적 환경 문제 영역별 인식은 지구온난화(3.99점), 수자원 문제(3.92점), 산성비(3.77점), 황사(3.66점), 오존층 파괴(3.57점), 산림 파괴(3.52점), 사막화(3.36점), 생물 다양성 감소(3.40점)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적 환경 문제 영역별 인식은 쓰레기 문제(3.87점), 대기 오염(3.74점), 악취(3.70점), 소음(3.61점), 하천 오염(3.57점), 토양 오염(3.44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 문제 영역과 인식 요소는 지역 간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1). 이를 통해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위한 지역 생활환경이 고려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 문제 영역과 인식 요소는 남녀 성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셋째, 인식 요소 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지구적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 의지’에는 ‘관심’, ‘개인 삶에 영향’ 등의 요소가 큰 영향을 주고, 지역적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 의지’에는 ‘관심’, ‘지식수준’ 등의 요소가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교 학생들은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서 ‘개인 삶에 영향’ 요소를 낮게 인식하였고, 지역적 환경 문제에서는 ‘지식수준’ 요소를 낮게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환경 문제의 실천적 의지 함양을 위해 환경 문제가 자신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환경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환경 문제 유형에 따른 인식 요소별 분석 결과,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서는 ‘지식수준’, ‘관심’, ‘행동 의지’ 요소가 유의미하게 높았고(p<.01), 지역적 환경 문제에서는 ‘심각성’, ‘인간 활동의 영향’, ‘개인 삶에 영향’ 요소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이는 현재 대중 매체나 학교 교육에서 지역적 환경 문제보다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 더 집중하고 있어 ‘지식수준’, ‘관심’ 요소에 인식이 낮은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환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이 향상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지식습득이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학교 환경 교육이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균형 있는 교육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최근 환경 교육은 지역적 환경 문제보다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 더 집중되어 있지만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지 단계를 고려하였을 때 환경 교육소재로는 지역적 환경 문제가 더 합당하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직접 실천할 수 있는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수 방법이 고안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환경 문제 = 4 1. 환경 문제의 정의 = 4 2. 환경 문제가 대두된 원인 = 4 3. 환경 문제의 유형 = 5 B. 환경에 대한 태도의 중요성 = 6 1. 환경 교육에서 환경에 대한 태도의 중요성 = 6 2. 초등학교에서 환경에 대한 태도의 중요성 = 7 3. 초등학교 환경 교육의 실태 = 8 Ⅲ. 연구 방법 = 9 A. 연구 대상 = 9 B. 연구 절차 = 10 C. 검사 도구 = 11 D. 자료 처리 및 분석 = 12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 13 A.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 13 1.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 대한 문제 영역별 분석 = 13 2.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요소별 분석 = 17 3. 전지구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요소 간 상관 = 20 B.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 24 1.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문제 영역별 분석 = 24 2.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요소별 분석 = 28 3.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요소 간 상관 = 31 C. 전지구적 환경 문제와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비교 분석 = 35 1. 전지구적 환경 문제와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 = 35 2. 환경 문제 유형에 대한 지역별 인식 차이 = 37 3. 환경 문제 유형에 대한 성별 인식 차이 = 37 Ⅵ.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0 부록-1 설문지 = 43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96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학생의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rvey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About Global and Local Environmental Issues-
dc.creator.othernameJang, Bo Ra-
dc.format.pageⅹ,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