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애-
dc.creator김정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6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608-
dc.description.abstract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쓰기 교육은 다른 언어 영역보다 소홀히 취급되어 왔으며, 단순히 문법의 확인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또한 쓰기가 여러 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재고를 통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문자로 된 의사 소통의 도구라는 인식이 바탕이 된 교육 방법보다는, 제목을 주고 학습자가 써온 결과물만을 보고 이에 대하여 철자나 문법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이 이러한 결과 중심의 접근이 아니라 내용의 메시지에 초점을 둔 과정 접근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면서, 쓰기가 쓰기 전, 초고쓰기, 다시 쓰기의 단계를 갖는다는 과정 중심적 접근에 기반을 두고, 이 중 다시 쓰는 단계에서 학습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피드백은 필자에게 수정할 부분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독자가 필자에게 주는 정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피드백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자신이 쓴 글이 갖는 구성의 결함과 미숙한 전개, 부적절한 단어나 시제의 사용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피드백으로 인하여 쓰기가 직선적인 과정이 아니라 회귀적이고 반복적인 과정을 갖게 되는 것을 볼 때, 피드백은 쓰기에 대한 과정 접근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학습자들이 쓰기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한국어 쓰기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수강중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모집단이 작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나 이 설문조사를 통해 쓰기교육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글로 구체화하여 자신의 의도를 정확히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나 기술의 학습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글에 대해 교사가 내용과 논리를 중심으로 평가해 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신이 글을 쓰면서 가졌던 표현의 한계와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를 원했으나,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이 항목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글이 다른 사람들(독자)에게 어떻게 이해되는지를 객관적으로 알고,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쓰기에 반영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이용한 다시 쓰기 전략의 유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피드백의 유형을 교사와의 협의(conference), 동료들의 피드백, 교사의 코멘트로 분류하고, 각 유형마다 하위 유형을 두어 절차를 제시하였다. 교사와의 협의는 학습자와 교사가 직접 대면하여 구두로 진행하는 형식으로 교사는 학습자들의 문제점을 함께 상의하며 자신이 해준 코멘트에 대해 학습자가 이해했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피드백을 줄 수 있다. 동료들의 피드백은 다시 쓰기를 위한 제안을 하기 위하여 동료들의 초고를 읽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3~4명의 학생들로 구성된다. 동료간의 피드백은 학습자들간에 구두를 통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주며, 학습자가 다른 사람들의 글을 분석적으로 읽으면서 글을 쓰는 방법을 배우게 되며, 즉각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어 유용하다. 교사의 코멘트는 학습자의 모니터링을 이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인데,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글을 우선 검토해 보게 하여 교사의 도움을 요하는 문제점을 적고, 교사는 이에 대해 학습자에게 답을 해주고, 학습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언급을 해주는데, 이 때 교사는 구체적으로 모든 것을 다 말해 줄 것이 아니라 학습자에게 질문을 던지고 학습자는 이에 대하여 생각해보면서 문제점을 발견하도록 해줘야 한다. 지금까지의 쓰기 교육 논문이 교실에서 할 수 있는 쓰기 활동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논문은 쓰기의 과정 중 고쳐 쓰기 전략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는데, 이러한 전략이 학습자들이 쓰기 과정에서 부딪치는 문제와 언어적 한계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riting education has been paid less attention compared with other fields, serving merely as an auxiliary to grammar. Moreover, the methodological focus has been on giving learners subjects and evaluating their writings in terms of spelling and grammar, rather than regarding it as a literal tool for communication that expresses one's thought through continuous reconsideration over many steps. This study suggests that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follow process-based approach focusing on contents and message, not the product -based one. This study, based on the process-based approach which says that writing has pre-writing, draft-writing, and rewriting, aims at suggesting a scheme for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feedback that provides learners with information for revision. Feedback is the information given to the writer by readers as to where to correct, by which learners are enabled to objectively judge structural defects, poor development, and inappropriate use of words or tense. Feedback is a fundamental element of process-approached writing in that it enables writing to depart from a one-way process for a recursive and repeating one. This study first recognizes the difficulty that learners have in writing and makes a survey of the intermediate learners in language institutes for Korean languag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ation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we find through this survey that writing education is not systematic and concrete and hence brings learners difficulty in embodying their ideas in writings to express their thoughts correctly. These findings make it necessary for learners to obtain strategies of skills to solve the problem. The survey also shows that learners want the evaluation to be focused on contents and logic, and that they want to solve their problems in expression and structuring through a conference with the instructors. but that they are quite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se items.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suggests types and procedures of rewriting strategies that make use of feedback for learners to see objectively how their writings are conveyed to others and to recognize their problems to improve their writings. This paper classifies feedback into conference, peer feedback, and teacher's comment, providing each with sub-types to give procedures. Conference, in which the teacher interviews learners and proceeds orally, can give precise feedback since it enables the teacher to discuss the problems with learners and to check their understanding of his/her comment on the spot. Peer feedback, which is usually made up 3-4 people who read peers' draft to make suggestions to rewriting, gives opportunities for oral communication among learners. Members learn how to write by analytically reading others' writings. Teacher's comment is more efficient with the use of self monitoring, in which learners are expected to go over their own writings and to write down the points that require teacher's help. Teachers answer those questions and make comments on what the learners haven't detected, asking questions to have them think about it and not giving all the details. In contrast to the papers on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writing activities available in classroom so far,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rewriting strategies in writing process, which will help solve the problems and linguistic limit that learners face in the process wri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과 방법 1 B. 선행연구 검토 6 II. 과정 중심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8 A. 쓰기 과정에 관한 논의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특징 8 1. 쓰기 과정에 관한 논의 8 2.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특징 13 B. 과정 중심의 한국어 쓰기 교육 15 1. 과정 중심 쓰기의 주요 활동 단계와 학습 전략 16 2. 협동학습 28 3. 한국어 담화 공동체 양식에 따른 쓰기 30 4. 교사의 역할과 평가 31 III. 한국어 쓰기 교육의 현황 조사 및 결과 분석 33 A. 조사 방법 33 1. 설문 대상 33 2. 설문 문항 35 B. 조사 결과 분석 35 1. 현행 한국어 쓰기 교육 형태 35 2. 과정 중심 쓰기 활동에 대한 인식 39 IV. 피드백을 중심으로 한 다시 쓰기 전략 44 A. 교사와의 협의(conference) 45 1. 일대일 협의 45 2. 그룹 협의(교사와 학생 그룹) 47 B. 교사의 코멘트(written comment) 49 1. 학습자의 모니터링(self-monitoring)을 이용한 피드백 52 C. 동료들의 피드백(peer feedback) 57 1. 학급 전체의 피드백 60 2. 짝활동(pair work)을 통한 피드백 63 3. 그룹활동(group work)을 통한 피드백 65 V. 결론 67 참고문헌 70 부록 74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520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과정 중심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피드백을 이용한 다시 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