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에 대한 조사 연구

Title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에 대한 조사 연구
Other Titles
The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literacy and pseudoscience belief of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Authors
홍선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개정 7차 교육과정의 과학과 목표는 학생들이 과학과목을 통해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여 과학적·논리적인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수많은 정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학교수업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다양한 과학지식을 쌓고, 나름대로 과학에 관련된 신념을 형성하게 된다. 학생들의 과학에 관한 신념 중에서 과학적으로 타당한 근거를 가지고 형성된 신념들이 과학적 소양의 바탕이 되며, 그렇지 못한 신념들은 비과학적 신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 소재의 고등학교 2학년과 대학교 1학년, 대학교 3학년의 총 502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을 측정하고, 이를 학년별, 계열별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을 계열별로 비교한 결과, 고등학교 2학년과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인문 계열과 자연 계열 간에 차이가 없었다.(p<.05) 하위 영역별로 과학의 지식 영역에서 자연 계열 학생들의 점수가 인문 계열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과학의 본성과 과학·기술·사회 영역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자연 계열 학생들이 인문 계열 학생들보다 더 높았으며, 각 하위영역 모두 자연 계열 학생들이 인문 계열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1) 비과학적 신념은 고등학교 2학년과 대학교 1학년, 대학교 3학년 학생들 모두 계열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비과학적 개념 중 가장 높은 동의율을 보인 것은 고등학교 2학년은 영적 존재, 대학교 1학년은 외계인이나 UFO, 대학교 3학년은 창조론이었다. 그리고 세 학년 모두 심령요법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동의율을 보였다. 둘째,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을 학년별로 비교한 결과, 인문 계열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고등학교 2학년보다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이 더 높았으나, 대학교 3학년 학생들의 점수는 오히려 더 낮았다. 즉, 대학에 들어와 과학 관련 과목을 거의 접하지 않게 되면서 오히려 과학적 소양이 떨어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과학적 신념은 학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학년이 올라가도 비과학적 신념에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가 있었다.(p<.05) 자연 계열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즉,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과학적 소양은 높아졌으며, 각 하위 영역 모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높아졌다. 그러나 비과학적 신념은 학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학년이 올라가도 비과학적 신념 정도에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가 있었다.(p<.05) 연구 결과, 과학적 소양은 과학의 본성이나 과학·기술· 사회 영역보다 과학의 지식 영역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과학 교육을 통해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고 하더라도 비과학적 신념은 줄여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따라서 과학 교육이 지식 뿐 아니라 과학의 본성과 과학·기술·사회와의 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 이루어져야 학생들은 진정한 과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과학적 개념을 다루는 별도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지식의 가치를 판단 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를 기르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과학적 소양의 증가와 더불어 비과학적 신념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ssess scientific literacy and pseudoscience belief of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2) to describ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course;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literacy and pseudoscience belief.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3 high school students, 181 freshman and 178 junior of university. The test results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of scientific literacy by course in high school students and freshma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mong three dimensions of scientific literacy, knowledge of science were better nature course than human course. But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Etechnology?Esocie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seudoscience belief by course in high school students and freshma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Differences of scientific literacy by course in jun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All three dimensions of scientific 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seudoscience belief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Second, differences of scientific literacy by grade in human cour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Freshman was better scientific literacy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junior. In other word, Students has been a decline in scientific literacy after entered university. But pseudoscience belief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Differences of scientific literacy by grade in nature cour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at is scientific literacy increase by get their promotion grade. But differences of pseudoscience belief by grade in nature cour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In conclusio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cientific literacy and pseudoscience belief. In other word, pseudoscience belief was not decrease, even for promoted scientific literacy. Therefore science education must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 of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