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학급구성원자격(class membership)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Title
학급구성원자격(class membership)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Authors
이효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특수교육계의 동향은 단순한 물리적 통합에 대한 논의를 넘어 통합교육의 최상의 실제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특히 통합교육 환경 내에 있는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간의 학급 내 사회적 통합에 대해 보다 초점을 두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연구들은 통합교육의 특징을 정의하는 개념으로서 출현하기 시작한 “구성원자격”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최근의 연구들은 장애학생이 통합된 학급 내에서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획득하는가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연구들은 구성원자격 획득의 중요성이 합의되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정도이며, 장애아동이 학급에서 구성원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요인이나 목표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이 최근 통합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논의되고 있는 구성원 자격획득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들을 통해 학급 구성원자격에 영향을 준다고 판별된 요인 중에서 우리 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일반학급에서 장애아동이 구성원자격을 획득하는데 있어 비장애아동의 성별, 학년, 그리고 장애아동과의 통합여부가 학급 구성원자격 인식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중 특수학급이 있는 4개 학교에서 선정된 장애아동들의 7개 원적학급 학생들과 특수학급이 없고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있지 않은 4개 학교의 8개 일반학급 학생 총 545명으로 구성되었다. 대상학생들은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된 설문지를 통해 학급 구성원 자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별된 총 4개 영역 14개 항목에 대한 설문에 응하였으며, 장애아동과의 통합여부와 학년 그리고 성별에 따라 각 집단별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검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집단간의 반응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x² 검증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급 구성원 자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청소의 수행, 숙제의 수행, 장애의 특성영역에서 쓰기지체와 문제행동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과반수 이상의 학생이 학급 구성원자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반응하였다. 2. 장애아동의 통합여부에 따른 집단간 인식의 차이는 놀이시간의 참여, 쓰기지체, 친구의 유무에 대한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세 가지 모두 장애아동이 통합되어 있는 학급의 학생들이 더 수용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3. 학년에 따른 집단별 인식은 대부분의 요인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업 중에 이상한 소리를 지르는 행동, 친구의 유무에 관한 요인에 대해서는 고학년집단이 좀 더 수용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그 외에 학급 일의 참여 , 놀이시간의 참여, 점심시간의 고립여부, 장애의 특성에 대한 요인은 저학년 집단이 더 수용적이었다. 4. 성별에 따른 집단별 인식은 주번활동의 수행, 놀이시간의 참여, 장애의 특성에 대한 요인에 대해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번 활동의 수행에 관한 요인의 경우 남학생 집단이 좀 더 수용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수업 외 학교시간의 참여, 장애의 특성에 대한 모든 하위문항에 대해서는 여학생 집단이 더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장애아동의 통합여부와 학년에 따른 집단별 인식의 경우 학급일의 참여, 놀이시간의 참여, 장애의 특성에 대한 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간 차이를 보인 요인은 학급일의 참여 영역의 모든 하위요인과 놀이시간의 참여에 대한 요인 그리고 장애의 특성 영역에 대한 요인으로 장애아동과의 통합여부보다는 학년에 따른 차이로 특히 저학년 집단이 수용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장애아동의 통합여부와 성별에 따른 집단별 인식의 경우 주번활동의 수행, 놀이시간의 참여, 쓰기지체에 대한 요인에 대해서만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번 활동의 수행에 대한 요인은 장애아동이 통합되어 있지 않은 학급의 남학생 집단이 가장 수용적이었으며, 놀이시간의 참여, 쓰기지체 요인의 경우는 통합학급의 여학생이 가장 수용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비통합학급의 남학생이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7. 학년과 성별에 따른 집단별 인식의 경우 청소의 수행, 놀이시간의 참여, 쓰기지체, 읽기지체, 문제행동, 친구의 유무에 대한 영역의 7개 하위요인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급 구성원자격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장애의 특성과 학급일의 참여, 수업의 참여와 관련된 요인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장애아동이 보이는 장애특성은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과의 통합여부에 따른 비장애 아동의 인식에 있어서는 집단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학년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는 장애아동과의 통합여부나 성별에 따른 집단의 차이와 비교해 볼 때 가장 크게 나타나 학급 구성원자격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급 구성원자격을 인식함에 있어 고학년 아동이 학급 내 규칙수행이나 장애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에 비해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학급 구성원자격 획득에 대한 인식이 고학년 학생들의 인식에 비해 수용적이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급 구성원자격을 인식하는데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장애아동이 자신의 학급 내에서 동등한 구성원자격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As an literature on inclusive education expands, the notion of "belonging" has emerged as a defining characteristic. The "class membership" have both meanings "belonging" and "acceptance" by other class members and the goal of class membership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becoming widely accepted. Acquiring class membership in the inclusive school is an important factor to achieve an implementation of qualitative i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the "class membership"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aire which included 14 items was developed through a series of steps. This listing was rated by two group(a total N=545) : (a) non-disabled children who are contacting with disabled child in their classroom (b) non-disabled children who are not contacting with disabled child. Then they were asked to fill in the questionaire asking how consider when one child who do or do not something related to class roles, school activities, academic tasks etc. x² statistic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perception. 1.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n the each item which was identified influencing factor to class membership was examined. Over half of children show negative reactions in 5 of 14 questions which are related to cleaning classroom, writing problem, challenging behavior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of 14 questions between contacting disabled child group and non-contacting disabled child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9 of 14 questions between high grade student and low grade student.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of 14 questions between boys and girls.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of 14 questions between 4 groups divided according to contact interaction and gender. 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7 of 14 questions between 4 groups divided according to contact interaction and grade. 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7 of 14 questions between 4 groups divided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