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오연-
dc.contributor.author임현정-
dc.creator임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7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ng communication and song writing of song psychotherapy program on enhancement of self-esteem of internalized adolescents. The researcher designed and performed group song psychotherapy program with song material consisting of 15 sessions in six stages for six 14-year-old middle school girl students at B girl's middle school on Seoul.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 and school counselor, they have received more than 21 points on Kovacs's Depression Inventory. To measure the effects of song psychotherapy program on increasing self-esteem on the subjects, the researcher compared the results of Coopersmith self-esteem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er also compared the changes of self-esteem score in general, school and social self-esteem. Finally the researcher di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bject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through 'observation record', which the researcher inv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self-esteem score which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ong psychotherapy program, the mean of the score was increased 11points. Also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028 in Wilcoxon Z-test. Underlying factors of self-esteem score of general, school and social self-esteem has increase from mean of 7 to 11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ce except school related self-esteem. School related self-esteem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ce however it has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s of self-esteem related behavioral changes in music activities after analysing, positive verbal language usage has increased while negative verbal language usage has decreased. Also the frequency of eye contact has increased as well as tone and volume of subjects' voic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ong psychotherapy has positive affects on self-esteem of young adults with internalized emotional problems; in addition, it is affective on self-esteem related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song psychotherapy program shows its effectiveness on adolescents with internalized emotional problems.;청소년기의 심리적 어려움은 불안, 우울, 분노,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정서 행동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청소년기 발달상의 변화에 의한 일시적인 것으로 생각함으로써 그 중재 시기를 놓쳐 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내재화 정서 문제를 갖는 청소년의 경우 외현적 문제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보다 주위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여 중재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결과적으로 우울이라는 부적응 정서 ·행동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우울은 내재화 정서 문제를 갖는 청소년에게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서로 낮은 자아존중감과 관련되며, 낮은 자아존중감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건강과 그들이 성숙한 인격으로 성장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래심리치료 기법 중 노래대화하기, 노래만들기를 중심으로 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내재화 정서 문제를 갖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B여자중학교에 재학 중인 14세 여중생 6명을 대상으로 총 15회기의 그룹 세션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B여자중학교 상담·방과후 전담 교사와 담임 교사들에 의해 표집 되었으며 Kovacs의 우울 척도 검사에서 21점 이상으로 위험군과 고위험군에 속하는 자들이다.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들이 적용되어 신뢰감 형성, 자기 탐색, 긍정적 자아상 형성, 소속감, 성취감, 종결의 6단계로 구성되며, 대중음악을 노래자료(Song Material)로 하였다.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연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의 자아존중감 척도 사전·사후 검사로 총 점수 변화와 하위영역 중 일반적, 학교,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음악활동에서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행동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연구자가 개발한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여 각 연구 대상자의 회기별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들을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측정한 연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평균 11점 증가하였으며, Wilcoxon Z-검증을 한 결과 .028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음이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 자아존중감 점수도 일반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 평균 7점에서 11점 증가하였고, Wilcoxon Z-검증을 한 결과에서는 학교 자아존중감을 제외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음이 나타났다. 학교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진 않았으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활동에서의 자아존중감 관련 행동 변화를 알아보고자 회기별로 분석한 결과, 회기가 거듭 될수록 자아존중감 관련 긍정적 언어 사용 횟수의 증가와 부정적 언어 사용 횟수의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관련 행동 변화인 눈맞춤 횟수도 회기가 거듭될수록 증가하였고 목소리 크기도 회기가 거듭될수록 큰 목소리의 사용 횟수가 증가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노래심리치료가 내재화된 정서 문제를 갖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행동의 변화에도 효과적임을 증명해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어 수동적 행동을 나타내는 내재화된 정서 문제를 갖는 청소년에게 노래를 통한 심리치료 중재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7 D.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내재화된 정서 문제 청소년 = 9 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및 분류 = 9 2. 청소년과 정서·행동장애 = 11 3. 청소년과 내재화 정서 = 13 4. 내재화된 정서 문제를 갖는 청소년과 자아존중감 = 15 B. 노래심리치료 = 19 1. 노래의 치료적 기능 및 효과 = 19 2. 내재화 정서 문제 청소년을 위한 노래심리치료 기법 = 22 3. 자아존중감 노래심리치료 선행연구 = 24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1. 대상선정 = 26 2. 연구대상 = 28 B. 연구절차 = 31 C. 측정도구 = 33 1. Kovacs 우울척도(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 33 2. Coopersmith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Inventory) = 34 3. 회기별 관찰 기록지 = 35 D. 연구자료 분석 = 37 E. 노래 심리치료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 38 1.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목표 = 38 2.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구성 = 41 Ⅳ. 결과 및 논의 = 46 A.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 결과 = 46 B. 자아존중감 관련 행동 변화 분석 결과 = 54 1. 언어 사용 변화 관찰 기록지 분석 결과 = 54 2. 눈맞춤 횟수 변화 관찰 기록지 분석 결과 = 75 3. 목소리 크기 변화 관찰 기록지 분석 결과 = 79 C. 논의 = 85 Ⅴ. 결론 및 제언 = 88 A. 결론 = 88 B. 제언 = 90 참고문헌 = 91 부록 = 99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576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노래심리치료가 내재화된 정서 문제를 갖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ong Psychotherapy on Enhancement of Self-Esteem of Internalized Adolescents-
dc.creator.othernameRim, Hyun Joung-
dc.format.pageⅹ,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