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유미-
dc.contributor.author신문경-
dc.creator신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28-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Modern society is an era of excessive visual images. Visual images havebecome the substitute to the role of characters, and accordingly, the importanceof visu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visual images has emerged. A more proactive attitude toward accommodating and criticizing visual imagesthat have long existed has been requested, and the meaning of visual literacyto respond to this request has expanded. As part of the measure to cope with such changes in society, this study hasconducted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ituations of design education offered inKYONGGI HIGH SCHOOL OF ARTS before developing a student-oriented design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The study involveda survey on the content, environment, consciousness, current conditions of thedesign program us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second-year art high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of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concept and significance ofcreativity, analyzed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s suggestedby variousscholars, and stressed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several case studies on creativity enhancement. Third, this study collated and analyzed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Basedon the study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cases in foreign countries, this studyselected visual cognitive capacity, critical acceptance capacity, appropriateapplication capacity, proactive production capacity, and creative modelingcapacity as the components of visual literacy that are to be implemented in theresearch program. Fourth, based on the creative program-solving CPS model in which aconcrete guideline for promoting both diffusive and convergent thoughtprocesses are present at each stage, the study developed an in-depth,step-by-step, design education program. Finally, the study used an identical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visualcognitive capacity to the sample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posed programin order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changes in the effect of visual literacy,and verified the effect on the critical acceptance capacity, appropriateapplication capacity, proactive production capacity, and creative modelingcapacity before and after the proposed program using the observation method,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th the students’self-assessment reports on visual litera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The visual literacy score of the sample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posedprogram that used visual literacy showed that the five capacities, thecomponents of visual literacy, have improved after the program, and significant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the analysis of the students’self-assessmentreports. All of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design educationprogram played a positive impact on promoting the sample group’s visualliteracy. The proposed visu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helps students not only to havea better understanding of media and design phenomena using the media, butalso to accept and how to use them critically. Furthermore, this program helpsthem to produce media and design phenomena independently and creatively. Although it is believed that the design curricula in art high schools have somany possibilities of developing diverse sensibilities, the design program usingvisual literacy proposed in this thesis is much needed. This study was basedon the argument that the most urgent issue in design education is to nurturestudents’ability to express their ideas visually in the flood of information. Weneed to exert our effort in creating a positive relation between public educationand media environments, which have penetrated deep into our everyday life byresearching and developing programs proposed in this thesis.;디자인 교육이란 단순히 디자인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고의 도구, 탐구의 도구,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다. 이에 디자인 교육은 통합성과 창의성 개발을 기본으로 살아있는 경험 속에서 디자인을 발견, 분석, 해결 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는 다시 생활 속에서 확산시켜나가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디자인 교육은 입시중심의 교육체계, 다양성이 부족한 교육방법, 표현기능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적에서부터 내용, 방법, 평가, 환경까지의 총체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디자인 교과에서는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부재한 형편이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한 사례가 없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앞서 국내 각 예술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즉 디자인 교육의 내용, 환경, 의식, 교육실태 등을 K예술고등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형식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으로 창의성의 개념과 의의를 알아보고 여러 학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분석한 후 창의력 신장을 위한 여러 학습 사례를 들어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였다. 셋째, 단계별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모두 촉진할 수 있는 지침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CPS) 모형을 토대로 하여, 단계별 심화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넷째, 창의성 개발의 방법론인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리 분석하고, 시각적인 인지능력, 비판적인 수용능력, 적절한 활용능력, 능동적인 제작능력, 창의적인 조형능력을 본 연구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한 구성요소로 채택하였다. 다섯째, 영상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광고디자인 교육에 있어 동영상 매체에 맞는 발상방법인 언어적 자유연상법을 제안하고, 이를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광고디자인 발상교육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여섯째, 언어적 자유연상법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모형을 활용한 광고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결과를 정리하고 학생들의 작품과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에 따른 교육적 기대효과를 밝혔다. 일곱째, 교육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한 비주얼 리터러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동일한 시각적 인지 능력 질문지를 실험집단에 사용하였으며 비판적 수용능력, 적절한 활용능력, 능동적 제작능력, 창의적 조형 능력은 관찰법에 의하여 사전, 사후를 비교하여 효과를 검증하였고 학생들의 자기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창의적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전후 비주얼 리터러시 점수를 검증한 결과 비주얼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5가지 능력이 모두 적용 전 보다 적용 후에 향상되어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수업후기와 자기평가에서 반응을 분석한 결과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으므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집단의 비주얼 리터러시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광고를 활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 창의성의 개발 가능성이 많은 예술고등학교의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디자인 교육의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하여 이 연구를 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더 깊이 연구하고 개발하여 이미 우리의 생활 깊숙이 관여해 있는 미디어 환경과 공교육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어 내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1.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3 2. 이론적 고찰 = 4 2.1. 예술고등학교의 디자인 교육 = 4 2.1.1. 예술고등학교의 특성 및 교육과정 = 4 2.1.2. 예술고등학교 디자인 교육과정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6 2.1.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예술고등학교의 디자인 교육 = 11 2.2. 디자인 교육에서의 창의적 발상과 문제해결방법연구 = 15 2.2.1.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 15 2.2.1.1. 창의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 15 2.2.1.2.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 17 2.2.2.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구성요소 = 25 2.2.3. 언어적 연상에 의한 창의적 교수-학습방안 모색 = 31 2.3. 창의적 교수학습방안 모색을 위한 디자인 활용 방향 제시 = 35 2.3.1. 광고디자인의 교육적 활용과 의의 = 35 2.3.2. 영상미디어 광고디자인교육의 필요성 = 36 3. 연구방법 = 38 3.1. 연구 대상 = 38 3.2. 연구 설계 및 측정도구 = 38 3.3. 광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실제 = 42 3.3.1. CPS 교수학습 모듈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 42 3.4.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 분석 = 43 3.4.1. 프로그램 개요 = 43 3.4.2. 세부진행내용 = 45 4. 연구결과 및 논의 = 54 4.1. 시각적 인지능력의 변화 = 54 4.2. 비판적 수용능력의 변화 = 57 1) 측정도구에 따른 양적인 변화 = 57 4.3. 적절한 활용능력의 변화 = 60 1) 측정도구에 따른 양적인 변화 = 60 4.4. 능동적 제작능력의 변화 = 63 1) 측정도구에 따른 양적인 변화 = 63 4.5. 창의적 조형능력의 변화 = 66 1) 측정도구에 따른 양적인 변화 = 66 4.6.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결과 분석 = 69 5. 결론 및 제언 = 72 부록 1 설문지(학생용) = 75 부록 2 설문지(교사용) = 78 부록 3 설문분석결과(학생) = 81 부록 4 시각적 인지 능력 사전·사후 검사용 설문지 = 83 참고문헌 = 84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359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창의적인 디자인 교육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예술고등학교 광고제작 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Creative Design : Concentrated on Advertirsement Production Curricula at Arts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Shin, Moon-kyung-
dc.format.pageⅸ,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