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민화를 응용한 도자 소품 연구

Title
민화를 응용한 도자 소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eramic Craft Objects through Korean Folk Painting
Authors
윤수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혜자
Abstract
Folk painting is said to be anonymous painting handed down with the people through long history. Such a painting straightforwardly contain the simple view on nature, the beauty of life and humors in life, etc., of Korean people and in actuality, have been used familiarly in everyday life for the decoration for exorcism and blessing seeking. Folk painting is our precious cultural legacy in which our nation's dream, myth, religious spirit and the sense of beauty handed down from the emotions coming off of the life of the folks who have lived sincerely nest. In addition, it is the one painted plainly by the practical needs of common people, which has been used to decorate folding screen or wall indoors. Thus, folk painting consequently has been adhered to our living and served as a medium that links to the living space of our ancestors. This study purposes to develop handicrafts with practicality and competitiveness by implying images and meaning of folk painting in which Korea is best expressed and to develop modernized ceramic handcrafts with subjective and creative interpretations by examining the feeling, the sense of beauty and the spirit and to improve their values. It has examined traditional culture and handicrafts for the study of the production of works, as theoretical background. Tradition expressed in unique homogeneity of the country is the powerful guidepost for the life of contemporary people. It also examined the role as a cultural identity since any nations or countries are always based on their tradition. The structure of folk painting is so various that each researcher varies in insisting on the classification of it by his or her sense of the value of art, based on which the researchers classify the use, technique, nature and theme, etc. So, it has examined on the shapes of animals, insects and flowers in folk paintings, the meanings of superstitions in them and the images of them through literatures. The works have been manufactured using slip casting and pressing for the form of repetitive accuracy. For the expressions that need plane and straight shape, slab building was used and partially pinching method was also used. for the paste, in case of slip casting, fine ceramic with good color formation was used and in case of slab building, white porcelain mold with good color fixation, was used avoiding damage during the drying and plasticization and paint and color grounds for each image and purpose was used. Japanese high color paints(Salmon Pink, Pink) were used for each image. For glaze, mainly clear one was used and for covering, dipping was used and powderless covering and recoating were also used for each shape or purpose of the researcher. Some were expressed using 0.3~1% of cobalt cloride and was painted with brush mixing paint with terra sigillate after the second plasticization and then plasticized scrubbing with sponge for the third time. Works were plasticized first in an electric oven of 0.3㎥ at 850℃ for 8 hours, and then in the same oven at the final temperature of 1250℃ for 12 hours in oxidizing flame. The pieces using terra sigillate were after the second plasticization, in the electric oven of 0.3㎥ at 1000℃ for 10 hours for third time. This thesis has tried to find out the best effect by combining our precious traditional cultural originality, with handicrafts-like feeling and decoration from traditional wisdom using religious spirit, sorcery and the sense of beauty nested in folk paintings. It also studied the folk comfort, humorous and charming decorations in folk paintings as a modernized beauty of hadicrafts and enabled the researcher to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xpressive method and decorativeness. In the course,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make works with both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decoration and practicality at the same time, ceaseless study and efforts are required. Finally, I take the value of our traditional culture in globalized contemporary society more seriously and would like to work continuously on the pieces with both practicality and harmonious details through future practices.;민화는 오랜 역사를 통해 민간에게 전승되어 온 이름 없는 그림이라고 전해져 오고 있다. 한국인의 소박한 자연관과 생활미, 생활 속의 해학 등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으며 현실적으로 민화는 벽사(辟邪), 구복(九服)을 기리는 장식용으로 일상생화 속에서 친근하게 사용되어 왔다. 민화는 진솔하게 살아온 서민들의 삶속에서 우러나는 감정으로부터 전승되어온 계례의 꿈과 신화, 종교정신, 미의식이 깃들어 있는 귀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또한 일반대중의 실용적 요구로 인해 그려진 소박하고 꾸밈없는 그림으로 실내 병풍이나 벽을 장식하는데 이용되었다. 따라서 민화를 필연적으로 우리의 생활과 밀착되어 옛 선조들의 생활공간을 하나로 맺어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가장 잘 표현되어진 민화적 이미지와 뜻을 함축해 실용성과 경쟁력을 가미한 도자 공예소품을 개발하고 정감, 미의식 그리고 얼 등을 고찰해봄으로써 주관적 해석과 창의적 해석으로 현대화된 도자 공예소품 개발과 그 가치를 향상 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작품제작 연구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전통문화와 공예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국가의 독특한 동질감으로 표현되는 전통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강력한 삶의 지표가 되고 있다. 어느 민족이나, 국가든지 문화적 정체성으로서의 역할은 항상 전통에 그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민화의 구조는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민화를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연구자들마다 각자의 예술적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게 주장을 전개하고 이를 토대로 용법과 기법, 기질, 주제 등을 분류하고 민화에 등장하는 동물과 곤충, 꽃의 형태와 그림 속에 담겨져 있는 미신적 의미와 민담에 등장하는 형상에 대해 문헌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작품 제작과정은 반복적인 정확함의 형태를 위해 이장주입 성형기법과 가압 성형기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평면적이고 직선적인 형태가 요구되는 표현은 판 성형을 이용하였고 부분적으로 핀칭 기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이장주입성형의 경우 발색이 좋은 고온용소지를 사용하였고, 판 성형의 경우 건조시와 소성시의 파손 우려를 피하면서 발색에 좋은 조형백자(성신재토)를 사용하였고 이미지에 맞게 일본제품의 고화도 핑크안료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주로 투명유를 사용하였고 <작품6>은 옥색유(중앙도재)를 발라주었다. 시유는 담금 시유를 하고 각각의 작품의 형태나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무분 시유와 붓칠 시유도 하였다. <작품3>은 염화코발드를 0.3, 0.7, 1%사용하여 표현하였고 <작품2>은 2차 소성 후 테라시질라타(Terra sigillate)에 안료를 섞어 붓으로 바른 후 수세미로 문질러 3차 소성 하였다.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850℃를 마침온도로 8시간동안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1250℃를 마침온도로 같은 가마에서 12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하였다. 테라시질라타를 사용한 작품의 경우 2차 소성 후 0.3㎥ 전기가마에서 1000℃를 마침 온도로 10시간동안 3차 소성하였다. 본 논문은 민화에 깃들어 있는 종교정신과 주술적·미의식을 활용해 귀중한 우리 전통 문화적인 독창성과 전통 지혜에서 오는 공예적 느낌, 장식을 접목시켜 최상의 효과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민화에 나타나는 서민적인 편안함과 해학적인 아기자기한 장식을 감미해 현대 공예 소품적 미로 연구하고 연구자에게 표현방법과 장식성의 중요함을 알게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통기법의 표현과, 장식과 실용을 동시에 겸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세계화 된 현대 사회에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를 더욱 소중히 여기고, 앞으로 작업을 통해 실용성과 장식적 아기자기한 디테일을 겸비한 작품을 계속 연구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