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표현력을 기르기 위한 신체의 공간형성에 관한 연구

Title
표현력을 기르기 위한 신체의 공간형성에 관한 연구
Authors
김경옥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에서 무용을 교육하는 이유는 학생들이 신체를 통해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습득케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은 무용이란 어떤 특수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자신이 직접 무용을 만들거나 실시하는데 대하여 거리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자신의 내적 충동을 표현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창작무용 발표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창작무용 발표회의 과정 중에서 선행 연구가 없어서 훈련하는데 불편을 느꼈던 공간 형성능력에 관한 연구이다. 무용의 제재는 신체이므로 신체를 통해서 어떤 모양을 만들고, 구성하면서 자기 자신의 신체를 감득하고, 공간감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준다. 현재 중등학교 체육과 교과과정 중 무용의 창작과정 속에서는 「시간과 공간적 변화」라고 하여 1학년에 속해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공간에서 가장 기본적이 Symmetry 와 Asymmetry을 중심으로 신체의 공간 형성능력을 2학년 1학기에 무용 창작과정으로 실시하였다. 워낙 선행연구가 적은 분야이기 때문에 이를 실시하는 방법을 정하는데 어려웠으나, 무용교육에 관심을 갖고 계신 몇 분의 전문인들과 현직 무용교사들의 조언 및 표현력 개발을 위한 여러 참고문헌의 방법 등을 자료로 하여 체계를 세웠다. 실시하는 시간은 5시간으로 정하였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신체의 Symmetry 와 Asymmetry에 의한 표현 2. 직선과 곡선을 이용한 신체의 훈련 3. 신체의 Symmetry 와 Asymmetry에 의한 공간을 이용한 표현 (주어진 주제에 의한 표현) 4. 자연을 통한 신체의 Design(모양) 꾸미기 5. 상상력을 통한 신체의 표현 위와 같은 방법으로 1학년 때부터 신체 육성법에 의한 훈련, 즉흥훈련에 의해 기초가 다져진 학생들에게 실시한 결과 수준 높은 창작무용 발표회를 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서 1학년 학생들에게 실험을 하였다. 1. 사전검사 2. 최종검사 3. 작문검사 검사결과 사전 검사 시에는 52점에 불과한 낮은 공간 형성능력 및 표현을 했던 학생들이 5차시 후에는 86점의 높은 공간 형성능력과 표현을 할 수가 있었고, 무용에 대한 흥미도와 각자에게 자신감을 갖게 해주는 도가 높아졌음을 작문검사를 통하여 알 수가 있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이러한 교육방법을 교육과정에 반영시킨다면 무용교육의 목표를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학생들에게 이러한 과정을 통한 창작무용 발표회를 가지게 한다는 것은 전인교육을 위한 교육의 근본방침에도 부합되어 매우 바람직하다고 믿는 바이다.;The education of dance at school aims at acquiring the power of expressing one's own thought and feeling through the body. But a lot of students pretend that dance is available on the limited persons, thus feel distant from doing or creating dance. To give such student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inner impulse, a created dance exhibition was conducted. This study intends to inquire into the spatial formation which they feel is difficult in training because there is no precedent study in the process of creative dance exhibition. The material of dance is the body, thus through the body forming a certain type of expression is helpful to feeling extensity and improve power of expression. We can find a "Time and Spatial Variation" unit for dance creation in the 1st grade of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t junior high school. With emphasis on the symmetry and asymmetry that are fundamentals in space, spatial formation capacity of the body as a dance creation was tested at the first semester of 2nd grade. Difficulties were followed in the choice of the method owing to lack of precedented study. Referring to the advices of dance specialists, dance teachers and methodology in the literature, an optimum method was taken. It takes 5 hours in practising this metho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1. Expression by the symmetry and asymmetry of the body. 2. The training of the body by the use of the straight line and curve. 3. Spatial expression by the use of symmetry and asymmetry of the body (expression by the given theme). 4. The design decoration of the body through the nature. 5. Physical expression by imagination. In terms of the aforementioned procedure, the students who have been from 1st grade trained for physical training, rhythm training, impromptu education could give rise to an advanced creative dance exhibition. To prove this method, an experiment for 1st grade students was practised. 1. Preliminary test 2. Final test of five times 3. Composition test The result shows that those students who acquired a low mark of 52 from preliminary test can acquire 86 marks from final test of five times in expressing spatial formation, and have keener interest in and more confidence in dance. The resultant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applying this kind of educational method can attain the target of dance education earlier than expected. It is desirable that practising this kind of creative dance exhibition would contribute to and build a firm foundation of, the education of th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