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정수-
dc.contributor.author홍희정-
dc.creator홍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51-
dc.description.abstractKorean higher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in quantitative aspects greatly since it had been generalized after 1980s. However, the beginning of "Knowledge-based Society" after 1990s became the turning point for the trend of Korean Higher education. It was possible for Korean higher education to improve "the equality of opportunity to be educated" through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at the same time for Korean higher education to avoid the criticism that quality of education is lower than the other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n universities lo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effor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has been putting by the government. First of all, change of the high cost-low efficiency structures in national universities and encouraging universities to have autonomy are recommend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corporation, merger and abolition of universities a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here are also opinions that the government has to distribute the financial supports by the performance evaluation rather than the institution type. They insist that 80% of Korean universities are the private universities and the 75%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go to private universities. Therefore, the financial support has to be allowed by the performance not by institution type. It is time for Korea to discuss about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ver the quantitative one. For that matter, the study abou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is very needed. However, evaluation on educational performance is not easy in some reasons. First,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universities are not private goods, so it is difficult to evaluate just in monetary way. Second, there is no clear standards for performance such as profit in private sector. For these reasons,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has not been studied in separated field yet. Despite this difficulty, this research focuses on educational performance, because managing and evaluating universities are the unavoidable task nowadays. This research uses educational data from 「2008 우수인력양성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to analyz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empirically. This research sets the institution type,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and the scale as a main factors expected to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ased on the framework in which performance of universities will be different by those factors, this study set up three hypothesises and examines them. This research tri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Model Ⅰ,Ⅱ, and Ⅲ. Each dependent variable of Models as follows. ModelⅠ is the supplement rate of the student, Model Ⅱ is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Model Ⅲ is the condition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performance. The reason to devide the research in three parts is for analyzing the factors clearly. The results of it as follows. First, in aspect of the supplement rate of the studen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classification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stitution type,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and scale affects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the institution type*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Second, in aspect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classification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Moreo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stitution type,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not affec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while the scale and the institution type*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In these regard, some facts can be founded. First, the larger the university is, the higher the educational performance is. Second,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not affec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as separated variables, but they do when they interact. In other words, when the university is national and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ose of universities which are national-non metropolitan area, private-metropolitan area, or private-non metropolitan area. Third, in aspect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the coedition of education,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classification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es not affec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while the scale and the institution type*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This means that the institution type and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do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universities as separated variables, but do as they become one variable by interac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o policy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focus on main indexes rather than the composite ones, when measuring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The power of explanation gets weaker as we moved from Model Ⅰ→Ⅱ→Ⅲ. It can be explained that factors added in Model Ⅱ,Ⅲ changed the result as they interact with other variables. Second, there should be more creative effort to improv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 As it was founded in the research, there is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by physical location of the universities. Those in metropolitan area show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in rural. Therefore, this distintion should be reflected when distributing financial support to develop universities in balanced way. Third, there is need to make universities larger. From the research resent, it was drowned that the larger the university is, the higher the performance is and the scale of university has important 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Small-scale specialized universities are necessary, but there are too many those small-scale universities with serious financial crisis. In this situation, it is hard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universities. To improve this, phenomenon of M&A between universities has to be strongly considered. Moreover, more effort should be put into the merger and abolition of universities to make universities have more competitiveness.;우리나라는 근대 교육의 도입기를 거쳐 1980년대 이후 고등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시작된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는 그동안 양적 성장 일면도의 고등교육에 있어서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 지금까지 고등교육의 양적 팽창을 통하여 교육 기회의 평등이라는 중요 가치가 실현될 수 있었지만, 교육 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하였기에 교육의 질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대학의 국제경쟁력은 잃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 주도하에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먼저 국립대학의 고질병이라 불리던 고비용-저효율 구조를 타파하고 대학의 자율성을 고취시켜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립대학의 통?폐합과 국립대학 법인화와 같은 대안들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기존 국립대학에 대한 지원금을 설립 구분 없이 대학의 성과에 따라 배분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전체 대학 중 사립대학이 80%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대학생 중 사립대 재학생이 75%를 차지하고 있기에, 설립주체에 따라 재정을 지원하는 것은 이미 설득력을 잃었으므로 앞으로는 설립주체가 아닌 각 대학들이 성취한 성과를 기준으로 재정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이제는 고등교육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대학의 질적 향상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교육성과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의 가치는 단순히 화폐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사적재와 다르고, 영리조직의 이익과 같이 측정 가능한 대표적인 성과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대학의 성과 측정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은 대학교육성과에 대한 논의가 별도의 독립된 영역에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성과 관리와 평가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성과에 대한 내용을 주요 사안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성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08 우수인력양성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교육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Model Ⅰ, Model Ⅱ, Model Ⅲ을 설정하여 각각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시도 하였다. Model Ⅰ의 종속변수는 재학생충원율, Model Ⅱ의 종속변수는 교육성과, Model Ⅲ의 종속변수는 교육여건과 교육성과이다. 이렇게 연구를 세 가지로 나누어 보는 것은 핵심요인에서 시작하여 연구범위를 넓혀감으로써 성과개념을 명확화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재학생충원율에 대한 연구결과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 구분에 따른 대학교육성과 차이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와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가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는 유의도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재학생충원율과 취업률의 합인 교육성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 구분에 따른 대학교육성과 차이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와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가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의 규모와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은 규모가 클수록 대학교육성과가 높다는 판단을 할 수 있으며,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이 단독 변수로 쓰일 때는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경우에는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국립대학이면서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일 때, 다른 경우 교육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교육여건까지 감안한 Model Ⅲ의 연구결과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 구분에 따른 대학교육성과 차이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의 설립주체, 소재지역, 규모와 대학의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가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학의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의 규모와 설립주체 및 소재지역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도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odel Ⅱ와 마찬가지로 설립주체와 소재지역이 단독 변수로 쓰일 때는 대학교육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경우에는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성과를 측정할 때 다양한 지표가 아닌 핵심지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Model Ⅰ→Model Ⅱ→ Model Ⅲ으로 갈수록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해주는 설명력이 떨어진다. 이는 핵심요인만 변수로 두었던 Model Ⅰ에서 연구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Model Ⅱ와 Model Ⅲ에 포함되는 요인들이 다른 변수들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구결과를 변화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의 교육성과 향상을 위해서 획기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학의 소재지역에 따라 대학교육성과에 차이가 있었고,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육성과가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육성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대학에 지원을 할 경우에는 이러한 지역적 상황을 반영하여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비수도권 대학의 발전과 육성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셋째, 대학을 대규모화 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학의 규모는 대학교육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규모가 클수록 교육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성화된 소규모 대학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현재 재정난이 심각한 소규모 대학들이 무분별하게 난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교육의 성과향상은 사실상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대학 간 M&A를 할 필요가 있으며, 최근 대학 간 통?폐합 등의 노력을 보다 가속화 하여 대학교육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내용 = 4 제3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5 제2장 이론적 배경 = 7 제1절 대학교육성과의 개념 = 7 1. 대학교육성과의 개념 = 7 2. 대학교육성과와 유사한 개념 = 8 제2절 선행연구 고찰 = 10 1. 대학의 설립주체와 대학교육성과 = 11 2. 대학의 소재지역과 대학교육성과 = 14 3. 대학의 규모와 대학교육성과 = 18 제3장 연구설계 = 23 제1절 연구분석틀 및 가설의 설정 = 23 제2절 변수와 측정지표 = 27 1. 변수의 정의 = 27 2. 지표 설명 = 32 제4장 실증적 분석 = 39 제1절 분석대상의 특성 = 39 제2절 대학교육성과 분석 Model Ⅰ = 40 1. T-test 분석 및 ANOVA 분석 = 40 2. 다중회귀분석 = 44 제3절 대학교육성과 분석 Model Ⅱ = 47 1. T-test 분석 및 ANOVA 분석 = 47 2. 다중회귀분석 = 51 제4절 대학교육성과 분석 Model Ⅲ = 53 1. T-test 분석 및 ANOVA 분석 = 53 2. 다중회귀분석 = 57 제5절 분석결과 = 59 제5장 결론 = 66 제1절 연구결과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 66 1. 연구결과요약 = 66 2. 정책적 시사점 = 68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 69 참고문헌 = 72 [부록 1] 선행연구 상세목록 = 80 [부록 2] 2008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순위 목록 = 84 [부록 3] 다중회귀분석 결과표 = 89 [부록 4] 다중회귀분석 결과표 = 90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51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학교육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mpirical Analysis about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dc.creator.othernameHong, HeeJeong-
dc.format.pagexi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