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숙연-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43-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공공조직에서 그 비효율성을 이유로 조직 및 인사관리에 있어서 전반적인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공조직의 변화는 최근에 시작된 것은 아니지만,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 공공기관 경영혁신에 관한 관심이 특히 높아졌다.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은 필수적으로 조직개편과 인력조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공공기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불안감(job insecurity)이 심화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직무불안감은 그들의 행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불안감이 그들의 신뢰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런데 이러한 직무불안에 관한 연구는 그간 주로 사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공공조직은 높은 고용안정성을 특징으로 하였기 때문에, 현재 공공기관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직무불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사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온 직무불안감에 대한 연구를 공공조직에 적용시킨다는 것이 본 연구가 중요한 이유이다. 또한, 기존의 직무불안에 대한 연구는 직무불안을 다차원으로 구성하여 그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불안을 직위에 대한 위협과 무력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각의 차원이 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탐색적이지만 후속연구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직무불안감이 조직효과성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수인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직무불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 연구에서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과 적정수준의 불안은 조직성과를 높여준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무불안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내 신뢰의 차별적 매개효과를 검증해보았다. 과거의 조직관리 전략이 통제를 중심으로 한 방식이었다면 앞으로의 조직 관리방식은 신뢰를 매개로 한 조직몰입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신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신뢰대상의 다차원성을 고려한 경우가 거의 없으며 그 결과 직무불안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내 신뢰의 차별적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신뢰의 다차원성에 주목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가지고 선행연구 및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6개의 잠재변수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직위위협, 무력감이 독립변수이고, 조직신뢰, 상관신뢰, 동료신뢰가 매개변수이며, 조직몰입이 종속변수이다. 이상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공기관 선진화 추진 방안’에 포함된 기능조정 대상 공공기관 20군데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2.0과 AMOS 7.0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Cronbach's α계수를 확인하여 평가하고, 측정도구의 타당성 평가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병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과관계 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간 단일 차원으로 연구되어온 직무불안을 직위위협과 무력감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직위위협과 무력감의 조직 내 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무력감이 조직 내 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도적·환경적 변화로 인한 직위위협보다 개인의 심리적 불안에서 비롯한 무력감이 조직구성원들의 행태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인다. 둘째, 조직 내 신뢰의 각 차원 중 조직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조직의 승진절차나 작업지침 등 조직 제도에 대한 신뢰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직무불안의 조직몰입에 대한 직접적 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직위위협과 무력감 모두 그 직접적 영향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조직 내 신뢰는 직무불안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다고 볼 수 있으며, 즉 조직구성원이 직무불안감을 느꼈을 때 조직 내 신뢰가 저하되기 때문에 조직몰입 정도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신뢰의 차별적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조직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직무불안감이 그들의 조직몰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신뢰 정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조직구성원들이 같은 정도의 직무불안감을 느끼더라도 조직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으면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크게 감소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조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인사 및 조직 관리 방안의 혁신이 불가피한 현실에서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불안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매개변수로서의 조직신뢰의 중요성을 밝혀낸 것이다. 조직신뢰는 조직 내의 승진 절차나 작업지침 등 조직의 제도에 관한 것으로써, 조직은 조직구성원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Major reforms on the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management systems are being pursued by public organizations with a reason of their ineffectiveness.Even though the pursuit of the reforms has always been existence, with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Lee,Myung-bak,the reforming of public organization management has been more emphasized.Measures to strengthen their effectiveness inevitably include reorganization and lay-offs,significantly increasing job insecurity among employees in the public sector,and thus having negative impacts on their behavior.Hence,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ir perception of job insecurity affects on their trust i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s. While there is an expansive amount of studies on job insecurity of private companies,we know less about that in the public sector mainly because of high job stability on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In this regard,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job insecurity research to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also looks into job insecurity multi-dimensionally, and analyzes their differentiated effects on trust i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o doing,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job insecurity into 'the severity of threat' and 'powerlessness,'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effects on trust and commitment based on real practices.It gives another significance to this study in that it i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however it would be the basis of subsequent research. In addition,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a major variable to predi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impacts especially on the commitment since there have been contradicting arguments in previous studies:some studies say that job insecurit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and others say that a certain level of insecurity raise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Last but not least,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tiated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organizations in a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Up to date,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have focused on control.However,the future strategies are likely to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based on commitment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rust,there have been few past studies that had considered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of the target of trust,accordingly,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differentiated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in a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commitment.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multi-dimensional trust in organizations. In sum,this study intends to confirm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six latent variables:1) the severity of threat,2) powerlessness,3) organizational trust,4) trust in management, 5) trust among peers,6)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heoretical model for this study was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aforementional latent variables. The model classified the severity of threat and powerlessness as independent variables,organizational trust, trust in management and trust among peers as mediating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theoretical model was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450 employees in pubic institutions that are included in the 'Advanced Plan for Public Institutions'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SPSS 12.0 and AMOS 7.0 for windows were used for data analysis.This study also conducted the validity test, reliability test,explorator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the severity of threat and powerlessness.It turns out that powerlessness has a much larger impact on the trust and commitment than severity of threat,which shows that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powerless) has more effects on behaviors of employees than environmental threats(the severity of threat) resulted from systematic changes. Second,among all dimensions of trust,organizational trust has the most powerful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It is interpreted that the trust in the organiz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promotion procedures and job guidances is a very important for employees'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ird,the direct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marginal in both cases of the severity of threat and powerlessness.Therefore,trust in the organization tot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which means that when employees feel job insecurity,their organizational trust decreases,and thus, their commitment also falls down. Finally,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is the most powerful.It shows that how much their perceived job insecurity affect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largely dependent on the level of their organizational trust.That is, even if employees feel the same amount of job insecurity,its negative impa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employees have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public organizational management. Considering that the reforming of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measures in the public sector is inevitable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this study provides how to minimize negative impacts of job insecurity of employees in the public organization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of organizational trust as mediating variable.Organizational trust is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institutions such as promotion procedures or work guidelines.In this regard, public organizations should make consistent efforts to build trust from employe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 3 C. 연구의 대상 및 연구방법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주요개념의 규정 = 6 1. 직무불안(Job Insecurity) = 6 가. 직무불안의 개념 및 중요성 = 6 나. 직무불안의 다차원적 구조 = 9 2.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 11 가. 조직몰입의 개념 및 중요성 = 11 나. 조직몰입의 다차원적 구조 = 13 3. 조직 내 신뢰 = 16 가. 신뢰의 개념 및 중요성 = 16 나. 조직 내 신뢰의 다차원적 구조 = 21 B. 선행연구 검토 = 23 1. 직무불안 = 23 가. 직무불안의 선행요인(원인)에 관한 논의 = 23 나. 직무불안의 영향요인(결과)에 관한 논의 = 24 다. 직무불안과 조직몰입 = 26 라. 직무불안과 조직 내 신뢰 = 28 2. 조직몰입 = 30 가. 조직몰입의 선행요인(원인)에 관한 논의 = 30 나. 조직몰입의 영향요인(결과)에 관한 논의 = 32 3. 조직 내 신뢰 = 34 III. 조사 설계 = 37 A. 연구모형 = 37 B. 조사도구의 설계 = 39 1.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척도의 구성 = 39 가. 직무불안 = 39 나. 조직몰입 = 41 다. 조직 내 신뢰 = 42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44 3. 자료 분석방법 = 47 IV. 조사결과 및 분석 = 49 A. 연구대상 표본의 특성 = 49 B. 측정도구의 평가 = 51 1. 신뢰성 분석 = 51 2. 타당성 분석 = 53 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 53 나.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57 3. 평균 및 상관관계 분석 = 68 V. 연구모형의 구성 = 71 A. 최종 연구모형 구성 = 71 1.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 = 71 2. 직접 영향력 검정 = 73 3. 간접 영향력 검정 = 79 4. 검정결과에 대한 논의 = 81 VI. 결론 = 85 A. 연구 결과의 종합 및 의의 = 85 B.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 88 참고문헌 = 90 [부록] 설문지 = 103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21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직무불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직 내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Trust-
dc.creator.othernameLee, Hyunjeong-
dc.format.pageⅹ,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