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2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발달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발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agmatic Competence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ing on request strategies
Authors
이선명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숙달도를 달리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화용적 지식 습득 양상은 어떻게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가 이들의 L2 지식에 대한 특질에 관하여 무엇을 보여주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중간언어 화용론의 관점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 양상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초·중·고급, 숙달도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보여주는 요청 화행 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여, 언어 발달과 화용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입력되는 화행 중 가장 빈도가 높아 초급 학습자 집단에서도 입력의 부재로 실현이 되지 않을 확률이 가장 적은 ‘요청’ 화행을 택하여 화자가 요청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선택하는 전략 실현 양상을 한국인의 사용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함으로써 학습자 화용 능력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요청 전략은 정도성에 따라 각각 직접적인 단계, 관례적이고 간접적인 단계, 비관례적이고 간접적인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요청 상황의 변인을 요청 내용의 성격, 친소 관계, 권력 관계로 설정하여 학습자들이 이들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이를 적절히 구현해 내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KNS) 30명,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CKL) 집단을 언어 수준별로 각 30명씩 90명으로 구성, 총 120명으로부터 DCT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문제를 밝히고, 요청 화행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화행 연구에서 발달학적 연구의 필요성과 학습자 화행 발달에 관여하는 변인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이론적 토대로서 요청 화행의 개념과 책략 이론, 전략의 유형을 살피고, 분석틀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를 하였다. Ⅲ장에서는 언어 수준별 요청 전략 사용 양상을 추적하기 위한 실험의 도구와 절차를 다루고 Ⅳ장에서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선 분석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청 화행 실현에서 정도성의 사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발견을 하였다. 즉, 학습자가 화용적 실패를 경험하는 원인은 모국어의 부정적 전이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적합한 공손성을 나타내기 위한 언어적 자원의 결함에 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국인의 요청 화행 수행 양상에 근접하여 화용 발달을 보인다는 사실과 고급 단계 학습자의 경우에도 이러한 화용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는 못했다는 점이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지금까지의 중간언어 화행연구가 외국인 학습자의 화행 수행을 모어 화자의 그것과 비교함으로써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모국어의 영향은 어떠한지를 밝히는데 관심을 기울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언어 수준별 한국어 학습자 집단 간의 화행 실현 양상에는 특징적인 변이가 나타남을 밝혀, 중간 언어의 관점에서 발달 단계에 따른 학습자 언어의 역동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화용 능력이 언어 능력의 다른 요소들과 마찬가지로 학습 초기부터 습득되고 발달될 수 있다는 점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고급 학습자 집단만을 연구 대상으로 한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초급, 중급 학습자들도 연구 대상에 끌어들여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지니고 있는 학습자의 화용 능력의 실체를 추적해 보았다는 점이다.;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attern of the lingual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language pragmatics, by analyzing how the pattern of the acquisition of pragmatic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and what it is that such a change show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2 knowledge. This was to review the correlation between lingual development and the pragmatic competence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ttern of commending request strategies shown in each stage, by classifying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s beginners,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and by their pro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 ‘request’ speech act, of which probability of being unrealized due to the absence of inputs also in the beginner group is minimal because it is most frequently used from among speech acts, which are entered from the beginning stage of the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measured the pragmatic competence of learners 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pragmatic competence of learners, which is selected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a speaker’s request, on the basis of the use of Koreans. Herein, concerning request strategies, the study analyzed them by classifying as a direct stage, a conventionally indirect stage, and a non-conventionally indirect stage by degree. Also, the study set up the variables of a request situation, as the character of the requested contents, a familiarity relationship, and a power relationship, and analyzed whether the learners perceive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nd properly realize them. As per research subjects, the study assembled a group comprising 30 Korean national language speakers (KNSs) and 90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CKLs), comprising 30 CKLs in each group by lingual level, totaling 120 participants, and collected data from them by using DCT. When it comes to the composition of this research, first in ChapterⅠ, the study revealed the need for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research problems, and looked into variable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learners’ speech act as well as the need for developmental science research in a study on the speech act of the Korean language,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e request speech act. In Chapter Ⅱ, the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request speech act, the strategy theory, and strategy typ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made a basic discussion over the analysis framework. In Chapter Ⅲ, the study dealt with the tools and procedures of a test for tracking the type of the use of request strategies by lingual level, and in Chapter Ⅳ, the study verified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zed results. Lastly, in Chapter Ⅴ, the study wrapped up this research by reanalyzing the previous analysis comprehensively and mentioning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discovered the following in relation to the use of degree in the realization of the speech act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at is, learners may experience pragmatic failures not only because of the negative transfer of mother tongue, but also because there is a defect in a lingual resource for expressing adequate politeness. Also, as the lingual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becomes higher, they show pragmatic development, which looked close to the pattern of the performance of Koreans’ request speech act, and such pragmatic development was not sufficiently made also for advanced learners. With regard to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hold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e study demonstrated the dynamicity of learners’ languag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language pragmatics, by revealing the appearance of specific transition in the pattern of the realization of the speech act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groups by lingual level, whereas existing studies on the speech act of middle language focused on how much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speech act there is between foreign language learners and mother tongue speakers and how much the mother tongue is influential to the difference through the comparison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performance of speech act with that of mother tongue speakers. Second, it has not been considered up to now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the pragmatic competence may be acquired and developed from the early stage of learning just as other factors of lingual ability. Accordingly, research subjects have been restricted to an advanced learners group. However, this study sought the reality of learners’ pragmatic competence that was owned by the learners beginning in the early stage of learning, by attracting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also to become research subj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