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동춘자-
dc.creator동춘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9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982-
dc.description.abstract선과 선을 통한 율동이 민족적 미의식의 본질인 우리 민족의 전통미는 회화,조각, 건축등 각 예술분야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아름다움을 알고 모르는 차이가 아닌 아름다움을 느끼는 태도가 논리적인 서구와는 달리 자연과의 합일에서 오는 까닭에 지나침이 없으며 또한 부족함이 없이 때론 서투르기도 하나 어색함이 없는 소박하고 은근한 예술품에서 풍기는 기준은 그대로 우리 민족이 가진 민족성이며 전통미가 되고 있다. 그것은 변용에 민감 할 줄 아는 성품이 우리 선조들에게 있었다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며 단순한 미적감각에서라기 보다 또다른 절실한 의미가 그 기반에 깔려 있었기 때문에 함양되어진 것이다. 선사시대의 암각이나 토기제품으로부터 대한제국말의 사기나 목각에 이르기 까지 전시대를 통하여 우리민족이 만들어낸 수천수만의 생활용품이나 작품의 기능적인 형태와 성격 그리고 미관을 위해 시문된 문양을 모두 연구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한 사람의 힘으로 할 수 있는 동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조시대의 문양으로 연구범위를 제한하여 이에 나타난 율동적 효과를 다루려 함은 전통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에 기반을둔 한국인의 미의식 또는 조형능력을 이해하므로써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 있다. 이조시대로 범위를 제한한 것은 첫째 불교등 종교적 속박에서 벗어나 순수한 미적감각으로 작품을 제작했기 때문에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니며 둘째는 민족 고유의 문자사용으로 사실상 민족적통일시대로 비교적 현존하는 예술품이 많다는것과 셋째 오랜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예술의 발전과 계승으로 인한 예리한 조형현상과 예술미의 완성시대인 때문이다. 다음으로 율동적 효과를 분절과 대상으로 다루려 함은 율동적 형식이 인간의 조형활동을 통해 표상할 수 있는 자연의 생성과 변화를 가장 직접적으로 감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록 정신적 예속을 즐기는 이조인들의 생활태도는 그대로 예술에 반영되어 소박한 소망을 희구하는 바램이 창작활동의 한 근본 바탕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십장생이나 박쥐문 문자들을 즐겨 사용한 것은 편하게 장수를 누리고 싶은 욕망을 표현한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점으로 이룰 수 있는 모든 디자인의 구성요소중에서 이러한 이조인들의 미의식을 구형화해주는 절대적 요인은 선이며 선을 통한 율동등을 형성원리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예술이 선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더라도 알 수 있듯이 우리 민족의 전통미를 올바로 알기 위해서 선을 위주로 문양에 나타난 율동미를 연구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조시대에 나타난 선의 양상을 살펴보면 곧고 딱딱한 직선보다 부드럽고 유연한 곡선을 급격한 변화보다는 완만한 굴곡을 이루고 있으며 미의 절정을 이루기 위해 외경이나 질감에도 신경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양이 사문된 공예품의 종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으나 주로 자기류는 순수한 미적감상을 통한 창작활동으로 생활용품등에서는 서민의 잘 살고 싶은 소망을 나타낸 상징적인 문양이 많음을 볼 수 있다. 이조공예품에 표시된 문양의 종류와 특성을 잘 살펴보면 모단문은 「부귀의 꽃」으로 상징되어 도자기의 신부의 혼례복 병풍 가구등에 장식되었다. 연회문은 불교를 상징하는 꽃으로 불교미술품에 사용되었으나 배불숭유정책으로 분양자체의 표현양식에 변화를 주어 불교적 관념에서라기 보다 장식적인 목적을 위해 계속 사용되었다. 또한 국화문은 대부분이 야국으로 거의 모두가 도장으로 찍는 인화문으로 적은 노력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었다. 국화문은 도입하기 쉽고 타문양과도 잘 조화를 이루어 혼용된것도 많이 있다. 용문은 용이 신격을 상징한다고 하여 왕이나 왕비 이외에는 사용을 금하였다. 용은 변화의 상징이므로 무변화의 뜻을 가진 진주구술을 함께 표현하므로써 영원을 뜻하였다고 한다. 어문은 현대의 감각으로 도안화된것이 많이 사문되었으며 이러한 어문의 발전과 성행은 생선에 대한 단순한 애호라기 보다는 다산의 의미를 가졌다 하여 즐겨 사용되었다. 이밖에도 이조문양에 주로 장식된 것은 십장생문 추조문 산수 및 유수도, 조문, 운학문, 포도문등이 있으나 율동적 효과를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문양은 상기한 다섯가지로 문양자체에서 오는 생동감과 도식화되어 회화적 요소를 지님으로서 현대 감각을 가미하여 한국역사를 통해 이루어진 모든 예술품중 가장 뛰어나게 율동미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이들 문양에서 공통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첫째 외형에서 오는 유연함과 소박함이며 둘째로는 짜임새 있는 문양의 배치에서 느낄 수 있는 안정성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점이며 셋째는 강하지 않으나 민족성을 함축시킨듯한 부드러운 율동을 지니고 있다.; We still do not know sufficiently well the patterns engraved on rock surfaces, eathernware, woodenware and other innumberable daily utensils our ancestors fashioned in the course of a long history, nor do we know the esthetic motifs of these patterns and the cultural background from which they had been derived. But we know that they preferred to decorate their wares and utensils rather than produce items bare of patterns. So diverse indeed are the patterns that none of them are indentical with one another. This diversity of patterns may suggest the fact that our ancestors had a disposition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appearance, a disposition which seems to have been cultivated by their inner urge rather than simple esthetic sensibilities. Again we do not know what was their innor urge, and effort should be made to probe into it. The designs appearing on the ancient ceramics or Korea may be group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The first may be those in pursuit of the beauty of calmness, those dealing with the joy of solitude or peaceful seclusion in beautiful solitude. The second deals with the themes of good, wise, docile and pure heartedness the third higher satire which shows the pleasantries of good-natured humor. The fourth deals with harmonious abstract beauty, which at a glance looks like buffoonery, but a close look reveals that there are many designs which seem to have grasped the meaning of abstract, and unravel the secrets of abstract. The fifth and the last deals with the trans cendental beauty which found expression in the calligraphy and monochrom paintings by amateur artists or scholar-literati. Thus the representation of these elements of nature must have taken different form in different period by different people. The representation must have been evolved from the simpler to a more complex ones. Here by representation is meant that of a pattern of configuration, and by evolution is meant that of design. Although we still do not know what these three heavenly seals are made of, we may be able to trace the origin of patterns in these things whatever they are. And since they have something to do with heavenly things and the power to expell evil, they must have contained some designs or configurations that suggest the history of the Creation of Symbols of magic power. The basic elements of pattern are composed of dots and lines. But the line in this case is not taken as an extention of dots, but a pattern which has no beginning and ending. The circle and angular square may contain smaller inner circles and inner squares, and may be contained by large outer circles and squares. And there may be varieties of circles and squares. The circle is thought of not as made by linking the two ends of a line but rather as an expression of that which has neither beginning nor end. What that primordial urge is will be revealed through our continued effort. Instead of limiting the area of study to a certain region of a country materials must be collected throughout the world, and must be pulled together for comparative study. The more materials we have at hand, the easier it will become to shed light on them. The patterns of Korea have may elements that may be seen as on extension of nature. To impress patterns on a piece of rice-cake was not motivated by the quest for the beautiful, but an expression of prayer, with a wishful hope that it might serve as a magic blessing or malediction. The Yi Dynasty which succeeded the Koryo Dynasty whose fall accomparied the declining fortune of Koryo underglaze blue celedon, gave a new life to the debris of degenerated Koryo celadon, thus giving birth to the so-called 'punch'ong' ware. The design of 'punch'ong' ware which fallowed in the steps of those of Koryo underglaze blue celadon were freed from all restrictions and flourished. In these revitalized designs new forms of decorative art got their new wings; some patterns humorous, otheres were reduced to their skeletons, and still others were magnified byong proportion. There were, however, no changes in the major themes, except that the degenerated and shrunken designs of Koryo underglaze blue celadon found their new vitality in the Yi Dynasty 'punch'ong' ware. Excepting the fact that the designs of clouds and cranes, and daisies which were degenerated into new background patterns, the technique of expression was so completely freed from the former restrictions that the new designs became richer in variations. The shape of the wares was so roughly fashioned that to make the surface of the ware smooth and even, white day power was applied or the ware was dipped in a thick white day power mire, and then the design was drawn in iron glaze. This kind of wares were produced in the kyeryong-san and taste of the common people. Many animals and plants were drawn as the main themes and their execution was so free from hesitation and restriction that they became more attractive, doubled with humor, innocence and merriment. On the other hand, the geometric abstract designs appearing in the so-called "Flower-carred" 'punch'ong' were remind one of the awakening of abstract beauty. This kind of abstract designs flourished until the end of the Yi Dynasty in ceramic wares and wooden wares and tools, thus forming a peculiar feature of Korean handicraft designs. Unlike the designs of 'punch'ong' ware, those of underglaze blue white porcelain, underglaze iron white porcelain, and underglaze cinnabar white porcelain, were not originated from the Koryo inlaid underglaze blue celadon. These were the new invention of the newly-rising Yi Dynasty. Accordingly, great changes were made in the subjects of designs, the ten everlasting ones (the sun, the mountain, the water, the rock, the clouds, the pine, the herb of perennial youth, the turtle, the crane and the deer), the four gracious plants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and stylized propitious Chinese characters were widely utilized along with the arabescue designs. The bat is another propitious animal newly introduced from Ching China. These animals and plants symbolized the Confucian view of happiness which may be summarized as "prosperity of off springs" "wealth and nobility with many sons" and "long life, happiness and peace." However, the most favorite designs for the underglaze blue whithe porcelain were the ten everlasting ones. These abstract designs were transformation of the previous plant flowers and plants designs; In these designs we may find revelation of Korean people's innate power of abstr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문양 개념 3 A. 문양의 개념 및 이조문양의 특성 3 B. 문양의 발생 동기 4 C. 문양의 형성 요소 5 D. 문양의 형성 원리 12 Ⅲ. 율동적 효과 21 A. 율동미 22 1. 연판문에서의 율동 22 2. 기하문에서의 율동 26 3. 당초문에서의 율동 29 4. 국하문에서의 율동 33 B. 이조공예품에 나타난 문양의 율동 39 1. 식물문에 나타난 율동 39 2. 동물문에 나타난 율동 53 3. 기하문에 나타난 율동 59 Ⅳ. 결론 63 참고문헌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237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디자인에 나타난 율동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이조시대 문양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7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