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래-
dc.contributor.author권호진-
dc.creator권호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하악 구치부 최후방 유리단에 식립된 단일 임플란트의 기능유지율(Survival rate)을 조사하여 임플란트 치료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관련 요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에서 하악 대구치 부위 유리단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한 98명의 환자이며 연령, 성별, 임플란트 종류, 임플란트 길이와 직경에 따른 식립 분포를 조사하여 각각의 기능유지율을 비교하였다. 6년 누적기능유지율을 Life-table analysis를 통해 계산하였고 실패원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임플란트 주위 골 변화를 조사하여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1. 하악구치부 유리단에 단독으로 식립된 108개의 임플란트 중 4개가 제거되었으며 6년 누적기능유지율(survival rate)은 93.8%였다. 2. 연령별 기능유지율은 40대가 91.3%, 39세 이하는 100%, 50대는 96.9%, 60대 이상은 96.2%이었고,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95.5%, 여성이 96.8%이었으나 모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임플란트 종류에 따른 기능유지율은 Replace Select(R), Branemark MKIII(R) 각각 94.4%, 92%이었고 다른 임플란트는 모두 100% 생존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4. 임플란트 고정체의 길이에 따라서는 9.5mm 이하에서 100%의 기능유지율을 보였고 10-11.5mm 길이는 95.4%, 13mm 이상에서는 96.8%를 보였다. 직경에 따라서는 광폭(wider) 임플란트가 100%로 표준직경 임플란트의 94.6%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This study evaluated the 6-year cumulative survival rate(CSR) of single implants placed in mandibular posterior free end region and examined associated factors. One hundred and eight single implants placed in mandibular posterior free end region were selected from subjects who had visited the Dental Hospital of Ewha Womans University, from January 2002 through June 2008. One to six year CSR was calculated using the life-table analysis. In addition, associated factors, such as the implant system, length and diameter of the implant fixture, and the age and gender of pati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chi squre test. The crestal bone levels of implants were measured at 6months, 1year, 2years, 4years, and 6years. 1. Of 108 implants, four has failed. The 6 year CSR was 93.8%.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and gender of patients in the CSR. 3. The CSR between the implant systems were not significant. 4.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implant fixtures may not be related with cumulative survival rate. Therefore, the single implants placed in mandibular posterior free end region presented a reliable CSR, 93.8% for 6years. The length, diameter, and the implant syst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mulative survival ra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장애유아통합교육 = 5 B.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 10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연구 도구 = 19 C. 연구 절차 = 21 D. 자료 처리 = 2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3 A. 장애유아가 통합된 일반학급의 현황 = 23 B. 장애유아통합교육에서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 협력현황 = 27 C. 장애유아통합교육에서 일반교사가 특수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 = 34 Ⅴ. 논의 및 결론 = 42 A. 논의 = 42 B.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59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06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하악 최후방 구치부 유리단에 식립된 단일 임플란트의 6년 기능유지율-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6-Year Survival rate of the single implants placed in posterior mandibular free end-
dc.creator.othernameKwon, Ho-Jin-
dc.format.pageⅶ, 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