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0 Download: 0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텍스트 응결장치 사용 양상 연구

Title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텍스트 응결장치 사용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tterns of Using Cohesive Devices for Written Texts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김성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에 있어서 텍스트 언어학(text linguistics)적인 관점에서 출발할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즉, 한국어 학습자가 산출한 글은 한국어 단어와 문장의 단순한 결합이 아니라 하나의 완결된 텍스트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습자의 텍스트가 완결된 텍스트가 되기 위해서는 응결성(Cohesion)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응결 장치(cohesive device)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글쓰기를 할 때 응결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이를 위해 응결장치를 사용하는지, 이것은 숙달도(proficiency)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를 함께 검토했다. 연구대상은 한 기관의 통일된 교수요목에 의해 한국어 수업을 이수하고 있는 초, 중, 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문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동일 주제 논설문이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논설텍스트에 나타난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을 연구함에 있어서 지시대용(reference), 어휘(lexical cohension), 접속(conjunction)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숙달도와 응결 장치 사용 빈도면에서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숙달도 단계에 따라 응결 장치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항목이 다양해진다. 초급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인지적 부담이 낮은 동일어 반복을 선호했으며 중급 학습자는 초급 학습자에 비하여 다양한 응결 장치를 사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었다. 중급 학습자의 글에서 나타나는 유의어, 주제관련어휘의 사용은 초급에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 유형이었다. 고급 학습자의 경우 이전 단계의 학습자에 비해 보다 다양한 응결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특히 초, 중급 단계에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 지시대용의 사용, 여러 접속 응결 장치 사용이 특이할 만한 점이었다. 또한 일부 응결 장치의 경우 높은 단계 학습자보다 낮은 단계의 학습자들이 더 활발하게 사용했다. 이것은 숙달도가 낮은 단계에서는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응결 장치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모든 응결 장치를 골고루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나 학습자 집단에 비해서는 질과 양적인 면에서 다양했으나 모든 항목을 사용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전략이 다르기 때문이며 학습자들도 텍스트 종류에 따라 응결 장치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인 모어 화자 간 가장 현저한 차이는 지시대용의 응결 장치 사용이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응결 장치는 거의 사용하지 못했고 일부 학습자의 작문에서 바로 앞의 내용을 지시하는 화제유지 응결 장치가 소수 발견되었다. 본고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같이 응결성 있는 작문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소수의 응결 장치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종류와 상황에 맞는 다양한 응결 장치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할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작문 80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의 결과를 모든 한국어 학습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응결성을 확보하는 것은 비단 응결 장치만이 아니기 때문에 추후 논의에서는 텍스트의 응결성을 확보하는 다른 기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 for a text linguistic perspective in relation of the discussion of Korean writing education. That is, articles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should be a complete text, not a simple combination of Korean words and sentences. To become complete, their texts should have cohesion, which can be achieved by cohesive devices.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d whether Korean language learners maintain cohesion when writing, whether they use a cohesive device for this purpose, and how different this become depending on their proficiency. In addition, for a comparison purpose, the study looked into how native Korean speakers use cohesive devices as well. The study selected essays of Chinese students at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 level who learned the Korean language at an institute under the unified curriculum and those of Native Korean speakers on the same topic as a sample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to analyze patterns of using cohesive devices in essays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discussion focused on reference, lexical cohesion, and conjun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first, proficiency of learners and their use of cohesive devices were not always in proportion. It was found that even if proficiency increased, frequency of cohesive devices did not increase, but items became varied. Learners at a beginner level were found to prefer repeating same words, which imposes less cognitive burden, those at an intermediate level, compared to those at a beginner level, were found to attempt various cohesive devices. Synonyms and topic-related lexicon found in learners at an intermediate level were rarely used by beginners. At an advanced level, students were found to use more diverse cohesive devices than those at the previous levels,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y used references and various connection cohesive devices, which were seldom used by both beginner and advanced level students. In addition, some cohesive devices were found to be more widely used by beginner level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at an advanced level, which implies that at a lower level of proficiency, students are unable to use various strategies and therefore, they focus a certain set of cohesive devices. Second, it was assumed that Native Korean speakers would use all cohesive devices evenly, but they did not do so, although they used the devices more diversely in quality and number than the student group. This revealed that since different text types require different strategies, learners should be instructed to use cohesive devices by text type in a strategic manner. Third, the most notable difference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was the use of reference cohesive devices.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rarely used cohesive devices, and a small number of topic maintaining cohesive devices to refer to what was mentioned just before were found in some learners’ writing. This paper implie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should be taught to write a cohesive article as native Korean speakers do. Rather than using a small number of cohesive devices intensely, a variety of cohesive devices fit to text types and contexts should be used skillfully. Since the study was based on 80 essays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only, it is hard to apply the results all Korean language learners. Furthermore, cohesion can be achieved by various means including cohesive devices, 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further studies on other tools to secure cohesion of a tex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