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민자-
dc.creator전민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9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979-
dc.description.abstract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 of music are fourteen different kinds in all. On the basis of these textbook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se textbooks are systematic, reliable and universal in its approach for the studying of middle school music. Not only to examine the system of textbooks, this study also aims to research for the obstructive factors between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field of the appreciation of music by analyzing the system, continuity, and the common and different factors specified on these textbooks. It is desirable to research these factors when the nationalism is strongly emphasized after the Proclam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though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eglected up to date. The aim of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analyze and research the field of the appreciation of music specified in fourteen different middle school textbooks and "Education Curriculum"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 The field of the appreciation of music is classified as the type of musical performance, the kids of music, the understand of the periodical style of music, musical instruments and voices as specified in "Education Curriculum"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item of "The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is established in order to modify the introduction of the instru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eparately from the western music since the instrumet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introduced as Korean traditional music itself. B.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appreciation of music,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current textbooks of middle school,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own: 1.The analysis of the field of appreciation of music: (a) The textbooks which are not written down the explained Korean musicians...two kinds. (b) The textbook which are not written down the foot-prints of our traditional music...seven kinds. (c) The textbooks which are not gathered the type of the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nine kinds (d) The textbooks which are not included the classification of our traditional music...three kinds. (e) The textbooks which are not written down the appreciation repertory of our traditional music...six kinds. The percentage of our traditional music specified on these textbooks is 5.6% in comparison with that of western music, 94.3% 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drawn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eglected up to date, specially emphasized after the Proclam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2.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textbooks. (a) The difference of notation is 30 points. (b) The difference of composer's name is 5 points. (3) The difference of era is 9 points. On the basis of analysis of 36 pieces among 161 music pieces specified on the current textbook of music, it is founded that the differences are the theme, rhythem, time, the theth text of song, staff and note. In conclusion, the factors obstructing the study of music at school, which is occurred by these differences and contractions, which is occurred by these differences and contractions, should be removed by the research of the unification of traditional theory. It is desirable to modify the textbook by reviewing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and the examination of teaching materials. The proper music program for students will be developed and achieved by constant study and research with the assistance of professiona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or.;현재 사용중인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모두 14종이다. 이들 교과서들이 음악학습을 위하여 어느정도 조직 구성되어있는지 민족의식이 어느 때 보다도 중시되어야 할 이때에 외면당하고 있는 국악감상교육과 음악감상부분의 계열성, 계속성, 통일성의 문제와 교과서 상호간의 공통성 상이성을 분석함으로서 음악감상교육에 교과서가 내포하는 저해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교부에서 나온 교육과정 중 음악감상부분과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에 있어 감상부분을 분석 검토하고자 한다. A.먼저 문교부에서 나온 교육과정에서 감상부분을 반췌해 보면 연주의 형태, 악곡의 종류, 음악의 시대 양식에 대한 이해, 악기 및 인성으로 나누어져 있고 국악기에 있어서는 악기에 대해서만이 나와 있으나 국악기에 있어서 이를 다시 수정하고 또 국악은 양악을 위한 일반적인 항목과 독립시켜 따로 그 항목이 필요할 듯 하여 국악기의 소개를 위주로 하고 국악기의 이해의 항을 다시 작성해 보았다. B.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감상부분에 대한 분석과 상이성에 대한 분석을 보면 1.감상부분에 대한 분석 설명된 우리나라 음악가를 전혀 수록하지 않은 교과서 -2종 우리나라의 발자취를 전혀 수록하지 않은 교과서 -7종 국악의 연주형태를 전혀 수록하지 않은 교과서-9종 우리나라 음악의 분류를 전혀 수하지 않은 교과서-3종 우리나라 음악의 감상곡을 전혀 수록하지 않은 교과서-6종 이 되며 그것도 외국의 감상곡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감상곡 5.6%, 외국의 감상곡은 94.3% 이다. 국민교육헌장의 반포 등으로 민족주체성을 찾는 교육이 그 어느때 보다도 강조되는 이때에 교과서는 국악교육에 관해서는 전혀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2.상이성에 대한 분석 표기법이 상이한 것이 30군데 작곡자의 이름이 상이한 것이 5군데 작곡자의 연대가 상이한 것이 9군데 이고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곡 161곡 중 교과서에 다섯군데 이상 수록된 36곡을 분석해 본 결과 주제, 박자, 리듬,가사, 보표, 장식음, 부호 등이 상이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여러 가지 상이한 내용으로 인하여 음악수업의 현장에서 많은 혼란을 자아내는 현상을 없애고 올바른 음악감상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재검토 특히 국악내용의 재검토와 교과서의 통일성에 관하여 교과서를 만드는 분들이 일관성있는 통합작업에 힘써야 하겠다. 그리고 음악감상곡에 있어 학생들에게 적절한 프로그램(Program)의 선정문제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문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이론적 배경 5 A.음악감상교육과 교과서의 의의 5 B.교육과정에 있어서의 음악감상 9 C.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 15 Ⅲ.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감상부분에 대한 분석과 상이성에 대한 분석 16 A.감상부분에 대한 분석 16 1.설명된 작곡가 16 2.음악사 19 3.인성의 종류 22 4.악기의 종류 25 5.연주의 형태 35 6.악곡의 종류 39 7.우리나라 음악의 분류 41 8.유명한 연주가 43 9.감상곡명 45 B.상이성에 대한 분석 56 1.악보의 상이성(주제, 박자, 리듬, 부호, 장식음) 57 2.표기법의 상이성(곡명,작곡가) 64 3.작곡가 연대 71 Ⅳ.결론 73 참고문헌 76 관련자료 78 영문초록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375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 2, 3학년 감상부문을 중심으로-
dc.format.page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7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