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기독교인을 위한 용서 집단상담 모델에 관한 연구

Title
기독교인을 위한 용서 집단상담 모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선나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용서를 실천하려는 기독교인들이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용서하는 방법을 배우고 상담에서 내담자에게 적용하기 위한 용서상담모델을 만드는 것에 대한 것이다. 용서에 대한 바른 이해와 용서하는 과정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참된 용서를 가능하게 하여 용서가 주는 여러 가지 유익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용서에 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용서는 부당하고 깊은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자기치유와 자기회복의 문제해결 방법이다. 이러한 용서는 어떤 결심이나 선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용서의 과정으로 먼저 피해자에게는 분노하고 좌절하고 상실을 애통해 하는 치료의 시간이 필요하다. 즉 피해자는 악행을 기억하고 그 악행에 따른 부정적인 감정을 낱낱이 경험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애통의 과정을 거친 뒤 다양한 용서전략을 사용해 용서하게 되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이 공감이다. 공감 외 용서전략으로는 인지적 재해석, 상처를 입힌 사람에게 동정심 발달시키기, 자신과 상처를 준 사람이 비슷한 존재라는 사실을 통찰하기, 상처를 받은 사람이 자신의 상처를 흡수하기가 있다. 용서는 상처치유하기와 용서의 과정을 포함한다. 상처의 치유, 즉 자기 존중감의 회복이 없는 용서는 진정한 용서가 주는 유익을 다 누릴 수 없다. 자기 존중감의 회복은 가해자의 악행을 기억하고 그에 따른 부정적인 감정 곧 분노, 슬픔, 상실감 같은 것을 느끼고 그것을 표현함으로 이뤄지고 용서는 가해자에 대한 인지적 공감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용서집단상담을 위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 사전에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처가 어느 정도 치유되면 공감과, 인지적 재해석, 상처수용을 통해 용서가 될 것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많은 집단원들은 자기존중의 회복 과정을 거치면서 치유를 경험하였고 용서가 가능해 지기 시작하였다. 용서는 가해자에 대한 공감이나 인지적 재해석, 상처수용하기를 통해서 완성되어 갔다. 용서는 시간을 두고 진행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용서상담을 끝낼 때 엔라이트(Robert D. Enright)의 태도검사지를 통해 측정해 본 그들의 용서정도는 ‘전혀 용서하지 않았다’를 1로 두고 ‘완전히 용서하였다’를 5로 둘 때 대체로 4로 나타났다. 용서집단상담모델은 사전 상담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용서집단상담모델의 단계는 용서이해하기, 자존감 높이기, 악행기억하기, 부정적인 감정 느끼기, 가해자에게 말하기, 하나님에게 말하기, 인지적 재해석 및 공감하기, 경험을 통합하기, 그리고 영적 성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델의 특징은 용서를 실천하기 전에 먼저 상처의 치료에 초점을 둔 점이다.;This study is about to know how Christians forgive someone in a psychologically healthy way and to develop a forgiveness pastoral counseling model for clients in counseling practice. A correct understanding of forgiveness and correct knowledge of the process of forgiveness probably enable true forgiveness, giving various advantages of forgiveness. For this purpose, various aspects of forgiveness were examined Forgiveness is a method of problem-solving for positive self-healing and self-recovery to use in case of unjust and deep wound to the heart. The forgiveness occurs through a fixed process, not by certain decision or announcement. As a process of forgiveness, a victim requires time for treatment through rage, frustration, and lament for loss. In other words, the victim needs to remember misdeeds and experience each of negative emotions that result from them. After the process of lament, the victim uses various strategies to forgive, most importantly sympathy. In addition to sympathy, forgiveness strategies include cognitive reinterpretation, development of pity for an assaulter, insight of the fact that he or she is a similar being to the assaulter, and absorption of his or her own wound. Forgiveness includes the process of curing wound and the process of forgiveness. As the process of curing wound is also that of self-respect, forgiveness without the process is dangerous, interfering with enjoying all advantages of healthy forgiveness. The recovery of self-respect can get to remember misdeeds with self-esteem and feel and express the resultant negative emotions such as rage, sorrow, and the sense of loss and the process of forgiveness to use such forgiveness strategies as sympathy. To develop forgiveness group counseling model, I operated group counseling.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when a wound is somewhat cured, forgiveness would occur through sympathy, cognitive reinterpretation, and wound acceptance was supported. Many group members experienced curing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spect, consequently starting to discover forgiveness. Forgiveness became complete through addition of sympathy to an assaulter, cognitive reinterpretation, and wound acceptance to the newly-discovered forgiveness. Since forgiveness is a time-consuming process, the attitude scale by Robert D. Enright from 1 (never forgive) to 5 (completely forgive) generally showed 4 at the end of forgiveness counseling. This model was completed into group model by complementing the clinically verified model. The completed group counseling model is comprised understanding forgiveness, enhancing self-esteem, remembering misdeeds, getting negative feelings, talking to an assaulter, and talking to God, cognitive reinterpretation and sympathy, combining experiences, and spiritual matu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s a forgiveness group counseling model with the greatest emphasis on cur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